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94
발행년 : 201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석사)-- 강원대학교 법무전문대학원 : 법학과 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904018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에 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T12904018 

저자 :  박종익 

형태사항 : 128 p. ; 26cm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강원대학교 법무전문대학원 : 법학과 2012. 8

발행국 : 강원도

언어 : 한국어

출판년 : 2012

주제어 : 자살예방자살예방법자기결정권생명존중생명존중문화

 

초록

생명권은 국가나 타인이 개인의 생명을 침해하는 경우 이를 배제할 것을 요구할 수 있는 대타적(對他的) 방어권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고에서는 국가가 제3자에 의한 생명권 침해로부터 개인을 보호하여야 할 의무의 테두리 안에서 생명이란 최고의 가치를 보장하는 권리이면서 모든 인권보장의 대전제가 되는 생명권의 의미를 재조명함으로써 2012331일부터 시행되고 있는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이하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자살예방법이라고 약칭한다)에 대하여 그 필요성 및 실효성에 관해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목차

목 차

1장 서 론 1

1절 연구의 목적 1

. ‘자살의 의미에 대한 재인식의 필요성 1

. ‘자살에 대한 법적 접근 2

2절 연구의 방법과 순서 4

. 연구의 방법 4

. 연구의 순서 5

2장 자살예방법의 기본구조 7

1절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에 관한 법률의 개요 7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에 관한 법률의 의의 및 제정배경 7

1. 의의 7

2. 제정배경 8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에 관한 법률의 구조 9

1. 총칙(1-6) 9

2. 기본계획 수립 등(7-10) 10

3. 자살예방대책 등(11-14) 10

4. 생명존중문화 조성 등(15-19) 11

5. 보칙(20-24) 11

6. 벌칙(25) 11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에 관한 법률의 하위법령 12

1. 시행령 12

2. 시행규칙 12

2절 자살예방에 관련한 타국의 입법례 12

. 일본 13

1. 자살대책기본법 14

2. 정부부처의 다양한 자살예방대책 - 인터넷 상의 자살관련

정보를 중심으로 15

(1) 경찰청 16

(2) 총무성(總務省) 17

(3) 경제산업성(經濟産業省) 18

. 독일 19

1. 불법유해정보 관련 법체계 20

2. 자살 관련 유해정보 규제 21

(1) 청소년보호법 22

(2) 청소년미디어보호협정 24

. 미국 25

1. 일반적인 자살 예방 관련 법체계 25

2. 불법유해정보 관련 법체계 26

(1) 통신품위법, 아동온라인보호법, 아동인터넷보호법 27

(2) 아동온라인프라이버시보호법 28

. 호주 29

. 핀란드 31

3장 자살의 의미와 그 사회적 실태 34

1절 자살의 개념 및 원인 34

. 자살의 개념적 표지 및 구별개념 34

1. 사전적 의미 34

2. 의학적 의미 35

(1) 자살 35

(2) 자살시도 36

(3) 자살위협 36

(4) 자살사고 36

3. 규범적 의미 36

. 자살의 주요한 요인 37

1. 개인적 요인 39

(1) 우울증, 알코올 장애 등 정신질환 39

(2) 심리적 스트레스와 개인적인 취약성-청소년을 중심으로 39

(3) 노인인구의 증가 및 신체질환 40

2. 사회적 요인 41

(1) 인간의 존엄성 인식의 약화 41

(2) 소득불평등 및 경제적인 어려움 42

(3) 가족의 해체 및 사회지지망의 약화 43

. 자살의 원인과 사회적 낙인 44

1. ‘심리적 부검의 의미와 중요성 44

(1) ‘심리적 부검의 의미 44

(2) ‘심리적 부검의 중요성과 현실적인 어려움 45

2. 자살에 대한 사회적 의미와 낙인 46

(1) 정신질환과 사회적 편견 46

(2) 자살에 대한 낙인 46

2절 자살사망률의 역학과 자살방법의 접근성 47

. 자살사망률의 역학 47

1.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살사망률 48

2. 지역적 특성에 따른 자살사망률 50

. 자살방법에 대한 접근성 제한 그리고 그에 따른 사회적 실태 51

1. 자살행동의 결정에 대한 이론 51

(1) 차단된 도피모델 52

(2) 대인관계-심리이론 52

2. 자살방법의 선택에 대한 요소 52

(1) 물리적 접근성 53

(2) 인지적 접근성 54

3. 자살방법의 접근성 제한 및 효과 54

(1) 자살방법의 변화와 추이의 특징 55

(2) 물리적 접근의 제한 55

(3) 인지적 접근의 제한 60

. 소결- 우리나라에서 자살방법 접근제한을 위한 정책 제안 64

4장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헌법적 접근- 66

1절 생명권의 포기와 존엄사의 권리 66

. 헌법상 생명권의 개념 66

1. 생명권의 의의 66

2.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 67

(1) 문제제기 67

(2) 학설검토 68

(3) 소결 70

. 생명권의 내용과 효력 71

1. 생명권의 내용의 구체화 71

(1) 대국가적 방어권 71

(2) 국가의 생명보호의무 71

(3) 생명조성의 국가적 의무 72

(4) 생명권의 내용에 포함되는지의 여부 73

2. 생명권의 효력 73

. 생명권의 포기와 존엄사의 권리 74

1. 생명권 보호 74

2. ‘자신의 생명권 포기에 관한 허용요건 74

2절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의 헌법적 근거 77

. 자기결정권의 의의 77

.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의 헌법적 근거 78

1. 개관 78

2. 우리나라의 경우 78

3. 소결 79

. 자기결정권의 내용과 한계 80

1. 자기결정권의 내용 80

(1) 자기결정권의 유형 80

(2) 자기결정권의 구체적 내용 80

2. 자기결정권의 한계 81

. 생명에 대한 자기결정권 82

3절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 제한의 헌법적 정당성 83

. 자살관여방조 및 촉탁승낙살인행위 처벌의 헌법적 정당성 검토 83

. 존엄사와 자기결정권, 생명권과의 관계 85

1. 생명권 포기의 한계와 자기결정권의 제한의 교차점: 헌법 제37조 제285

2. 존엄사와 자기결정권 87

3. 자기결정권과 생명권보호의 이익형량 88

.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과 생명권 보호 89

1. ‘자살과 존엄사에 대한 헌법적 정당성 검토 89

2.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의 과제와 전망 91

5장 자살예방을 위한 법적제도적 대안 93

1절 자살예방체계 구축에 따른 재정적 수요 93

1. 자살실태조사 94

2. 자살예방센터의 설치 94

3. 정신건강 선별검사 도구 개발보급 95

4. 자살예방 상담 및 교육 95

2절 효과적 자살예방을 위한 정책과제 96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인식개선 96

1. 관 협력을 통한 범국민 생명존중 문화 조성 96

2. 자살자 및 자살시도자에 대한 태도의 변화 97

3. 자살 발생 후 유가족에 대한 사후관리 대책 98

. 자살정보 및 자살 수단 등에 대한 접근차단 100

1. 자살유해정보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실시 100

2. 자살사건 보도시 언론보도 권고지침을 준수 101

. 자살 시도 위기 개입 및 시도자 등에 대한 관리체계 구축 101

1. 자살상담의 연계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 101

2. 자살시도자 위기개입 서비스 연계 체계 구축 102

3절 자살예방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103

. 우리나라 자살예방법의 전반적인 문제점 103

. 현행 자살예방법의 실효성 및 개선방안 검토 105

1. 생명존중사상의 기본질서에 따른 자살예방법제의 실효성 확보 105

(1) 국민인식 개선 105

(2) 미디어환경 개선 106

(3) 법제도적 환경 개선 107

2. 현실적합성과 법적안정성에 따른 개선방안 마련 108

. 자살예방법의 법적보완 및 향후 개정방안 111

1. 법적기구의 설립 111

(1) 중앙자살예방정책위원회의 설치 111

(2) 자살예방센터의 법적 역할 분담 111

(3) 자살예방연구센터 설치운영 112

2. 비밀누설금지조항의 개정 112

3. 자살유해사이트 운영자 처벌 조항의 신설 114

4. 자살미수자에 대한 관리 대책 마련 115

5. 모니터링 사업관련 감독기관 명문규정 필요 116

6장 결론 118

참고 문헌 12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74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윤리적 가치관이 심폐소생술금지 태도에 미치는 영향/김미연, 문미영 2018  209
273 15 유전학 생명의료윤리 교육방법으로서 결의론에 관한 연구/박인숙 2018  184
272 2 생명윤리 생명과학 입장에서 본 생명윤리 / 성혜, 남명진 2009  477
271 2 생명윤리 미국 생명의료윤리학의 최근 동향 / 엄영란 2001  171
270 14 재생산 기술 <네버렛미고>를 통해본 복제 인간 윤리 / 김미혜 2017  517
269 14 재생산 기술 푸코로 읽는 영화 〈네버 렛 미 고〉의 휴머니즘/ 최영미, 조이운 2018  344
268 2 생명윤리 인격주의 생명윤리 관점으로 본 ‘자기결정’에 대한 고찰 / 오석준 2018  308
267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좋은 죽음 인식, 자아존중감이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최은정 2018  671
266 4 보건의료 철학 융합 시대의 임상실습 전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대한 영향요인 확인 / 조영희 2017  195
265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김근면 2017  182
264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공학특허에 있어서 인권 문제 / 박성호 2008  241
26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법 시행을 앞둔 윤리적 논쟁점과 방향제시 /김광연 2017  370
262 5 과학 기술 사회 미토콘드리아 대체 기술 적용의 윤리적·법적 문제 / 배현아 2017  184
261 14 재생산 기술 헌재 2010.5.27. 선고, 2005헌마346 전원재판부 결정내의 인간배아 발생의 자연과학적 인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최진일 2017  283
260 14 재생산 기술 배아연구 잉여 냉동배아를 이용하는 데는 윤리적인 문제가 따르지 않는가 / 임종식 2001  309
259 14 재생산 기술 의학치료목적의 생명복제기술에 대한 특허법적 보호문제 / 윤석찬 2002  199
258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기술의 발전과 인간의 존엄 : 생식체계(Reproduction System)에 관한 미국의 입법과 판례를 중심으로 / 박선용 2006  188
»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에 대한 연구 / 박종익 2012  319
256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이현아 외 2017  220
255 15 유전학 의료윤리분야 유전기술의 발전에 따른 도덕적 정당성 논쟁에 대한 고찰/정창록 2017  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