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95
발행년 : 201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석사)-- 강원대학교 법무전문대학원 : 법학과 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904018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에 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T12904018 

저자 :  박종익 

형태사항 : 128 p. ; 26cm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강원대학교 법무전문대학원 : 법학과 2012. 8

발행국 : 강원도

언어 : 한국어

출판년 : 2012

주제어 : 자살예방자살예방법자기결정권생명존중생명존중문화

 

초록

생명권은 국가나 타인이 개인의 생명을 침해하는 경우 이를 배제할 것을 요구할 수 있는 대타적(對他的) 방어권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고에서는 국가가 제3자에 의한 생명권 침해로부터 개인을 보호하여야 할 의무의 테두리 안에서 생명이란 최고의 가치를 보장하는 권리이면서 모든 인권보장의 대전제가 되는 생명권의 의미를 재조명함으로써 2012331일부터 시행되고 있는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이하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자살예방법이라고 약칭한다)에 대하여 그 필요성 및 실효성에 관해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목차

목 차

1장 서 론 1

1절 연구의 목적 1

. ‘자살의 의미에 대한 재인식의 필요성 1

. ‘자살에 대한 법적 접근 2

2절 연구의 방법과 순서 4

. 연구의 방법 4

. 연구의 순서 5

2장 자살예방법의 기본구조 7

1절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에 관한 법률의 개요 7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에 관한 법률의 의의 및 제정배경 7

1. 의의 7

2. 제정배경 8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에 관한 법률의 구조 9

1. 총칙(1-6) 9

2. 기본계획 수립 등(7-10) 10

3. 자살예방대책 등(11-14) 10

4. 생명존중문화 조성 등(15-19) 11

5. 보칙(20-24) 11

6. 벌칙(25) 11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에 관한 법률의 하위법령 12

1. 시행령 12

2. 시행규칙 12

2절 자살예방에 관련한 타국의 입법례 12

. 일본 13

1. 자살대책기본법 14

2. 정부부처의 다양한 자살예방대책 - 인터넷 상의 자살관련

정보를 중심으로 15

(1) 경찰청 16

(2) 총무성(總務省) 17

(3) 경제산업성(經濟産業省) 18

. 독일 19

1. 불법유해정보 관련 법체계 20

2. 자살 관련 유해정보 규제 21

(1) 청소년보호법 22

(2) 청소년미디어보호협정 24

. 미국 25

1. 일반적인 자살 예방 관련 법체계 25

2. 불법유해정보 관련 법체계 26

(1) 통신품위법, 아동온라인보호법, 아동인터넷보호법 27

(2) 아동온라인프라이버시보호법 28

. 호주 29

. 핀란드 31

3장 자살의 의미와 그 사회적 실태 34

1절 자살의 개념 및 원인 34

. 자살의 개념적 표지 및 구별개념 34

1. 사전적 의미 34

2. 의학적 의미 35

(1) 자살 35

(2) 자살시도 36

(3) 자살위협 36

(4) 자살사고 36

3. 규범적 의미 36

. 자살의 주요한 요인 37

1. 개인적 요인 39

(1) 우울증, 알코올 장애 등 정신질환 39

(2) 심리적 스트레스와 개인적인 취약성-청소년을 중심으로 39

(3) 노인인구의 증가 및 신체질환 40

2. 사회적 요인 41

(1) 인간의 존엄성 인식의 약화 41

(2) 소득불평등 및 경제적인 어려움 42

(3) 가족의 해체 및 사회지지망의 약화 43

. 자살의 원인과 사회적 낙인 44

1. ‘심리적 부검의 의미와 중요성 44

(1) ‘심리적 부검의 의미 44

(2) ‘심리적 부검의 중요성과 현실적인 어려움 45

2. 자살에 대한 사회적 의미와 낙인 46

(1) 정신질환과 사회적 편견 46

(2) 자살에 대한 낙인 46

2절 자살사망률의 역학과 자살방법의 접근성 47

. 자살사망률의 역학 47

1.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살사망률 48

2. 지역적 특성에 따른 자살사망률 50

. 자살방법에 대한 접근성 제한 그리고 그에 따른 사회적 실태 51

1. 자살행동의 결정에 대한 이론 51

(1) 차단된 도피모델 52

(2) 대인관계-심리이론 52

2. 자살방법의 선택에 대한 요소 52

(1) 물리적 접근성 53

(2) 인지적 접근성 54

3. 자살방법의 접근성 제한 및 효과 54

(1) 자살방법의 변화와 추이의 특징 55

(2) 물리적 접근의 제한 55

(3) 인지적 접근의 제한 60

. 소결- 우리나라에서 자살방법 접근제한을 위한 정책 제안 64

4장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헌법적 접근- 66

1절 생명권의 포기와 존엄사의 권리 66

. 헌법상 생명권의 개념 66

1. 생명권의 의의 66

2.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 67

(1) 문제제기 67

(2) 학설검토 68

(3) 소결 70

. 생명권의 내용과 효력 71

1. 생명권의 내용의 구체화 71

(1) 대국가적 방어권 71

(2) 국가의 생명보호의무 71

(3) 생명조성의 국가적 의무 72

(4) 생명권의 내용에 포함되는지의 여부 73

2. 생명권의 효력 73

. 생명권의 포기와 존엄사의 권리 74

1. 생명권 보호 74

2. ‘자신의 생명권 포기에 관한 허용요건 74

2절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의 헌법적 근거 77

. 자기결정권의 의의 77

.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의 헌법적 근거 78

1. 개관 78

2. 우리나라의 경우 78

3. 소결 79

. 자기결정권의 내용과 한계 80

1. 자기결정권의 내용 80

(1) 자기결정권의 유형 80

(2) 자기결정권의 구체적 내용 80

2. 자기결정권의 한계 81

. 생명에 대한 자기결정권 82

3절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 제한의 헌법적 정당성 83

. 자살관여방조 및 촉탁승낙살인행위 처벌의 헌법적 정당성 검토 83

. 존엄사와 자기결정권, 생명권과의 관계 85

1. 생명권 포기의 한계와 자기결정권의 제한의 교차점: 헌법 제37조 제285

2. 존엄사와 자기결정권 87

3. 자기결정권과 생명권보호의 이익형량 88

.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과 생명권 보호 89

1. ‘자살과 존엄사에 대한 헌법적 정당성 검토 89

2.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의 과제와 전망 91

5장 자살예방을 위한 법적제도적 대안 93

1절 자살예방체계 구축에 따른 재정적 수요 93

1. 자살실태조사 94

2. 자살예방센터의 설치 94

3. 정신건강 선별검사 도구 개발보급 95

4. 자살예방 상담 및 교육 95

2절 효과적 자살예방을 위한 정책과제 96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인식개선 96

1. 관 협력을 통한 범국민 생명존중 문화 조성 96

2. 자살자 및 자살시도자에 대한 태도의 변화 97

3. 자살 발생 후 유가족에 대한 사후관리 대책 98

. 자살정보 및 자살 수단 등에 대한 접근차단 100

1. 자살유해정보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실시 100

2. 자살사건 보도시 언론보도 권고지침을 준수 101

. 자살 시도 위기 개입 및 시도자 등에 대한 관리체계 구축 101

1. 자살상담의 연계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 101

2. 자살시도자 위기개입 서비스 연계 체계 구축 102

3절 자살예방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103

. 우리나라 자살예방법의 전반적인 문제점 103

. 현행 자살예방법의 실효성 및 개선방안 검토 105

1. 생명존중사상의 기본질서에 따른 자살예방법제의 실효성 확보 105

(1) 국민인식 개선 105

(2) 미디어환경 개선 106

(3) 법제도적 환경 개선 107

2. 현실적합성과 법적안정성에 따른 개선방안 마련 108

. 자살예방법의 법적보완 및 향후 개정방안 111

1. 법적기구의 설립 111

(1) 중앙자살예방정책위원회의 설치 111

(2) 자살예방센터의 법적 역할 분담 111

(3) 자살예방연구센터 설치운영 112

2. 비밀누설금지조항의 개정 112

3. 자살유해사이트 운영자 처벌 조항의 신설 114

4. 자살미수자에 대한 관리 대책 마련 115

5. 모니터링 사업관련 감독기관 명문규정 필요 116

6장 결론 118

참고 문헌 12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9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추정적 의사 / 김필수 2012  61124
94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 존중의 원칙 : 정치적 이념과 철학적 이념 / 최경석 2015  52562
93 8 환자 의사 관계 독일의 환자사전의사표시법 / 이석배 2010  19874
9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기준과 절차 : 대법원 2009. 5. 21. 선고 2009다17417 판결이 가지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 이석배 2009  7185
91 12 낙태 사례연구 : 영국,미국,독일,프랑스의 낙태 규제 입법과 판례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이희훈 2014  4749
90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동의와 자율성의 법적ㆍ윤리적 고찰 / 이한주 2014  3972
8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후견주의와 환자의 자기결정권 - 의사의 설명의무를 중심으로 - / 이석배 2007  3836
88 8 환자 의사 관계 생명윤리에서 생명권과 자기결정권 / 이석배 2007  3696
87 1 윤리학 헌법상 행복추구권의 의미와 실현구조 / 장영수 2017  2072
86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자기 결정에 대한 말기 암 환자, 가족 및 의료진의 태도 / 김은숙 2011  1334
85 8 환자 의사 관계 설명의무와 지도의무 -설명의무에 관한 최근 판례의 동향- / 안법영, 백경희 2013  1323
84 20 죽음과 죽어감 우리나라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판례 평석 : 대법원 2009다17417 판결 및 헌법재판소 2008헌마385 결정을 중심으로 / 이희훈 2013  1227
8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형법이론적 근거 / 손미숙 2016  1185
82 12 낙태 합리적인 낙태규제 방안 : 낙태는 자유인가 살인인가? / 김재윤 2013  974
81 11 피임 윤리적 관점에서 본 응급피임약/최진일 2015  958
80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와 연명치료중단에서의 생명권의 보호범위 / 엄주희 2013  875
79 12 낙태 논문 : 낙태 비범죄화론 / 조국 2013  871
78 20 죽음과 죽어감 ‘업무로서 행해지는 자살방조’의 범죄화 / 김성규 2017  677
77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에 관한 자기결정권과 존엄사 / 김은철, 김태일 2013  663
76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있어 Informed Consent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와 영국의 동의 체계 및 동의 서식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 김은애 2012  6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