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석사)-- 강원대학교 법무전문대학원 : 법학과 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904018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에 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T12904018 

저자 :  박종익 

형태사항 : 128 p. ; 26cm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강원대학교 법무전문대학원 : 법학과 2012. 8

발행국 : 강원도

언어 : 한국어

출판년 : 2012

주제어 : 자살예방자살예방법자기결정권생명존중생명존중문화

 

초록

생명권은 국가나 타인이 개인의 생명을 침해하는 경우 이를 배제할 것을 요구할 수 있는 대타적(對他的) 방어권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고에서는 국가가 제3자에 의한 생명권 침해로부터 개인을 보호하여야 할 의무의 테두리 안에서 생명이란 최고의 가치를 보장하는 권리이면서 모든 인권보장의 대전제가 되는 생명권의 의미를 재조명함으로써 2012331일부터 시행되고 있는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이하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자살예방법이라고 약칭한다)에 대하여 그 필요성 및 실효성에 관해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목차

목 차

1장 서 론 1

1절 연구의 목적 1

. ‘자살의 의미에 대한 재인식의 필요성 1

. ‘자살에 대한 법적 접근 2

2절 연구의 방법과 순서 4

. 연구의 방법 4

. 연구의 순서 5

2장 자살예방법의 기본구조 7

1절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에 관한 법률의 개요 7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에 관한 법률의 의의 및 제정배경 7

1. 의의 7

2. 제정배경 8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에 관한 법률의 구조 9

1. 총칙(1-6) 9

2. 기본계획 수립 등(7-10) 10

3. 자살예방대책 등(11-14) 10

4. 생명존중문화 조성 등(15-19) 11

5. 보칙(20-24) 11

6. 벌칙(25) 11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에 관한 법률의 하위법령 12

1. 시행령 12

2. 시행규칙 12

2절 자살예방에 관련한 타국의 입법례 12

. 일본 13

1. 자살대책기본법 14

2. 정부부처의 다양한 자살예방대책 - 인터넷 상의 자살관련

정보를 중심으로 15

(1) 경찰청 16

(2) 총무성(總務省) 17

(3) 경제산업성(經濟産業省) 18

. 독일 19

1. 불법유해정보 관련 법체계 20

2. 자살 관련 유해정보 규제 21

(1) 청소년보호법 22

(2) 청소년미디어보호협정 24

. 미국 25

1. 일반적인 자살 예방 관련 법체계 25

2. 불법유해정보 관련 법체계 26

(1) 통신품위법, 아동온라인보호법, 아동인터넷보호법 27

(2) 아동온라인프라이버시보호법 28

. 호주 29

. 핀란드 31

3장 자살의 의미와 그 사회적 실태 34

1절 자살의 개념 및 원인 34

. 자살의 개념적 표지 및 구별개념 34

1. 사전적 의미 34

2. 의학적 의미 35

(1) 자살 35

(2) 자살시도 36

(3) 자살위협 36

(4) 자살사고 36

3. 규범적 의미 36

. 자살의 주요한 요인 37

1. 개인적 요인 39

(1) 우울증, 알코올 장애 등 정신질환 39

(2) 심리적 스트레스와 개인적인 취약성-청소년을 중심으로 39

(3) 노인인구의 증가 및 신체질환 40

2. 사회적 요인 41

(1) 인간의 존엄성 인식의 약화 41

(2) 소득불평등 및 경제적인 어려움 42

(3) 가족의 해체 및 사회지지망의 약화 43

. 자살의 원인과 사회적 낙인 44

1. ‘심리적 부검의 의미와 중요성 44

(1) ‘심리적 부검의 의미 44

(2) ‘심리적 부검의 중요성과 현실적인 어려움 45

2. 자살에 대한 사회적 의미와 낙인 46

(1) 정신질환과 사회적 편견 46

(2) 자살에 대한 낙인 46

2절 자살사망률의 역학과 자살방법의 접근성 47

. 자살사망률의 역학 47

1.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살사망률 48

2. 지역적 특성에 따른 자살사망률 50

. 자살방법에 대한 접근성 제한 그리고 그에 따른 사회적 실태 51

1. 자살행동의 결정에 대한 이론 51

(1) 차단된 도피모델 52

(2) 대인관계-심리이론 52

2. 자살방법의 선택에 대한 요소 52

(1) 물리적 접근성 53

(2) 인지적 접근성 54

3. 자살방법의 접근성 제한 및 효과 54

(1) 자살방법의 변화와 추이의 특징 55

(2) 물리적 접근의 제한 55

(3) 인지적 접근의 제한 60

. 소결- 우리나라에서 자살방법 접근제한을 위한 정책 제안 64

4장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헌법적 접근- 66

1절 생명권의 포기와 존엄사의 권리 66

. 헌법상 생명권의 개념 66

1. 생명권의 의의 66

2.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 67

(1) 문제제기 67

(2) 학설검토 68

(3) 소결 70

. 생명권의 내용과 효력 71

1. 생명권의 내용의 구체화 71

(1) 대국가적 방어권 71

(2) 국가의 생명보호의무 71

(3) 생명조성의 국가적 의무 72

(4) 생명권의 내용에 포함되는지의 여부 73

2. 생명권의 효력 73

. 생명권의 포기와 존엄사의 권리 74

1. 생명권 보호 74

2. ‘자신의 생명권 포기에 관한 허용요건 74

2절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의 헌법적 근거 77

. 자기결정권의 의의 77

.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의 헌법적 근거 78

1. 개관 78

2. 우리나라의 경우 78

3. 소결 79

. 자기결정권의 내용과 한계 80

1. 자기결정권의 내용 80

(1) 자기결정권의 유형 80

(2) 자기결정권의 구체적 내용 80

2. 자기결정권의 한계 81

. 생명에 대한 자기결정권 82

3절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 제한의 헌법적 정당성 83

. 자살관여방조 및 촉탁승낙살인행위 처벌의 헌법적 정당성 검토 83

. 존엄사와 자기결정권, 생명권과의 관계 85

1. 생명권 포기의 한계와 자기결정권의 제한의 교차점: 헌법 제37조 제285

2. 존엄사와 자기결정권 87

3. 자기결정권과 생명권보호의 이익형량 88

.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과 생명권 보호 89

1. ‘자살과 존엄사에 대한 헌법적 정당성 검토 89

2.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의 과제와 전망 91

5장 자살예방을 위한 법적제도적 대안 93

1절 자살예방체계 구축에 따른 재정적 수요 93

1. 자살실태조사 94

2. 자살예방센터의 설치 94

3. 정신건강 선별검사 도구 개발보급 95

4. 자살예방 상담 및 교육 95

2절 효과적 자살예방을 위한 정책과제 96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인식개선 96

1. 관 협력을 통한 범국민 생명존중 문화 조성 96

2. 자살자 및 자살시도자에 대한 태도의 변화 97

3. 자살 발생 후 유가족에 대한 사후관리 대책 98

. 자살정보 및 자살 수단 등에 대한 접근차단 100

1. 자살유해정보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실시 100

2. 자살사건 보도시 언론보도 권고지침을 준수 101

. 자살 시도 위기 개입 및 시도자 등에 대한 관리체계 구축 101

1. 자살상담의 연계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 101

2. 자살시도자 위기개입 서비스 연계 체계 구축 102

3절 자살예방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103

. 우리나라 자살예방법의 전반적인 문제점 103

. 현행 자살예방법의 실효성 및 개선방안 검토 105

1. 생명존중사상의 기본질서에 따른 자살예방법제의 실효성 확보 105

(1) 국민인식 개선 105

(2) 미디어환경 개선 106

(3) 법제도적 환경 개선 107

2. 현실적합성과 법적안정성에 따른 개선방안 마련 108

. 자살예방법의 법적보완 및 향후 개정방안 111

1. 법적기구의 설립 111

(1) 중앙자살예방정책위원회의 설치 111

(2) 자살예방센터의 법적 역할 분담 111

(3) 자살예방연구센터 설치운영 112

2. 비밀누설금지조항의 개정 112

3. 자살유해사이트 운영자 처벌 조항의 신설 114

4. 자살미수자에 대한 관리 대책 마련 115

5. 모니터링 사업관련 감독기관 명문규정 필요 116

6장 결론 118

참고 문헌 12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948 5 과학 기술 사회 딥러닝 기반의 의료영상 분석 성능에 대한 영상처리를 통한 데이터 증강방법의 효과에관한연구/ 김상욱, 김휘영 2018  283
2947 12 낙태 낙태죄 폐지에 대한 법적 이해에 대하여 / 신동일 2018  283
2946 4 보건의료 철학 임상 간호사의 윤리적 민감성 측정도구 개발 / 정민영 2017  283
2945 14 재생산 기술 임신·출산 지원 보건의료정책의 현황과 추진 방향 / 이소영 2017  283
2944 14 재생산 기술 헌재 2010.5.27. 선고, 2005헌마346 전원재판부 결정내의 인간배아 발생의 자연과학적 인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최진일 2017  283
2943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 태도, 스트레스 및 사전의료의향서 인식 / 엄정경 2017  283
2942 1 윤리학 연구논문 : 베트남 국제사법의 특징과 유의점 -재산관계의 준거법을 중심으로- / 한종규 2016  283
2941 15 유전학 GMO의 비의도적 유출과 개발기업의 책임 / 김은진 2015  283
2940 15 유전학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안)과 바이오뱅크를 이용한 연구에서의 피험자 보호방안 / 이정현 2010  283
2939 20 죽음과 죽어감 타이완 「안녕완화의료조례」 법제화의 시사점 / 양정연 2014  283
2938 7 의료사회학 현행 임상시험종사자 교육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인순 2018  282
2937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중 안전사고 경험에 따른 환자안전관리 지식, 태도, 수행자신감 정도 / 문미영 2018  282
2936 1 윤리학 연구논문 : 정치인의 이미지가 유권자의 후보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미국 대통령 예비선거 과정을 중심으로- / 박선영 2016  282
2935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ABS) 시행 이후 중국 관련법제 및 향후 정책에 따른 우리의 대응방안/강문경, 배정생 2014  282
2934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을 대하는 현대의학의 태도 비판 / 박중철 2017  281
2933 1 윤리학 인공지능로봇을 위한 윤리 가이드라인 연구 - 인공지능로봇윤리의 4원칙을 중심으로 - / 변순용 2018  281
2932 9 보건의료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에 나타난 자(慈)의 원리와 한국 HIV·AIDS 감염인의 인권을 위한 의료인의 역할/정창록 외 2014  281
2931 9 보건의료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개인형 맞춤 의료 대책 방안 연구 : 감염병 중심으로 / 허준구 2016  281
2930 9 보건의료 사회적 낙인, 영성, 자아존중감이 HIV/AIDS 감염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강선경 2015  281
292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결정에서 의학적 무의미함(medical futility)/김진경 2010  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