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3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531203 


보건의료와 출산 간의 연계성에 관한 거시-미시 접근

= Macro and Micro Approaches to Link between Health Care and Childbirth

 

http://www.riss.kr/link?id=A103531203 

 

저자명 : 김동식 ,김영택 ,박수범 ,우영지 ,동제연 ,정지원

학술지명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권호사항 : Vol.2016 No.- [2016]

발행처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자료유형 : 학술저널

수록면 : 1-299(299)

언어 : Korean

발행년도 : 2016

주제어 : preconception health care ,reproductive health ,health ,behaviors ,임신 전 건강 관리 ,생식건강 ,건강행태

 

초록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최근 전 가임기 연령대에서 미숙아와 저체중아 출산 및 난임 비율 등이 늘어나면서 저출산의 대응책으로 가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한 생애적 건강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여전히 우리 사회는 임신·출산기에 국한된 보건의료적 접근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저출산 현상에 대한 보건의료적 대응을 전 가임기의 건강관리에 초점을 두고, 그 필요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들을 기존 자료와 실태조사 분석을 통해 제시한다. 또한 분석 결과에 근거해 보건의료와 저출산 간의 연계성에 관한 미시·거시적 접근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크게 네 가지 내용의 연구를 실시하였는데, 첫째는 생애적 관점의 건강한 임신과 출산에 관련된 선행연구와 이론적 고찰을, 둘째는 국내외 임신·출산과 관련한 생애별 건강관리 정책을 살펴봄으로써 시사점 도출을, 셋째는 저출산 현상에 대한 보건의료적 미시 분석(일반 국민 대상 SNS 분석, 임신·출산 건강위험 및 보건의료 이용 실태 등 포함), 그리고 마지막은 저출산 현상에 대한 보건의료적 거시 분석(저출산 현상과 보건의료 역할 및 발전 방향 관련 전문가 의견조사 중심)을 실시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3 12 낙태 낙태절차에 관한 미국 연방대법원 결정이 우리나라 낙태규제에 주는 시사점 / 오영인 2017  196
12 1 윤리학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가족위기 특성과 정책과제 / 김유경 2017  187
11 24 기타 주제전문사서로서의 정신보건사서 양성 교육과정 개발 / 임성관 2017  182
10 9 보건의료 보건의료 안전이슈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시스템 모형개발 / 김은정 외 2014  161
9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법제 하에서 인공지능기술의 의료영역 도입의 의의와 법적 문제 / 배현아 2017  139
8 20 죽음과 죽어감 헤게모니 경합의 장(場)인 정신보건: 중국 개혁시기 여성주의 NGO와 의료전문가의 자살예방 접근방식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 이현정 2011  137
7 9 보건의료 국민의 적정 부담을 위한 비급여 관리 방향 / 공진선 2017  123
6 9 보건의료 보건의료법학에 있어 역사적 연구방법 / 박지용 2017  120
5 9 보건의료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범주 문헌고찰: 이론기반 실증연구 중심으로 / 고영곤 외 2018  105
4 7 의료사회학 의료기술의 평가와 급여 결정 방향 / 박종연 2017  96
3 9 보건의료 의사의 설명의무 범위와 보건의료적 제언 / 정창우 2017  82
» 9 보건의료 보건의료와 출산 간의 연계성에 관한 거시-미시 접근 / 김동식 외 2016  75
1 9 보건의료 Applying a Global Justice Lens to Health Systems Research Ethics: An Initial Exploration 2015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