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디지털융복합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591101 


 

난임여성의 자아존중감, 신체상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http://www.riss.kr/link?id=A103591101 

 

 

저자명 : 황란희

학술지명: 디지털융복합연구(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권호사항 : Vol.15 No.10 [2017]

발행처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발행처 URL : http://www.policy.or.kr

자료유형 : 학술저널

수록면 : 537-549(13)

언어 : Korean

발행년도 : 2017

주제어 : 난임 , 여성 , 자아존중감 , 신체상 , 우울 , Infertility , Women , Self-Esteem , Body Image , Depressio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난임여성의 자아존중감, 신체상 및 우울 정도와 그들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우울의 영향요 인을 규명하여 우울 중재를 위한 프로그램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평균 29.08±5.17 점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은 연령, 학력, 직업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신체상은 평균 75.66±12.11점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상은 결혼기간,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대상자의 우울은 평균 10.81±7.84점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은 연령, 학력, 가족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난임 관련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 신체상 및 우울은 각각 비용부담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과 신체상(r=.688, p=.000)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과 우울은(r=-.710, p=.000)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상은 우울(r=-.526, p=.000) 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아존중감(b=-0.66, p=.000), 시부모와 동거하는 경우(b=-7.92, p=.001), 연령이 41세 이상인 경우(b=-1.72, p=.033)이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자 및 자료수집

2.3 윤리적 고려

2.4 연구도구

2.5 자료분석 방법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대상자의 난임 관련 특성

3.3 대상자의 자아존중감, 신체상 및 우울 정도

3.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 신체상 및 우울의 차이

3.5 대상자의 난임 관련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 신체상 및 우울의 차이

3.6 대상자의 자아존중감, 신체상 및 우울의 상관관계

3.7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ACKNOWLEDGMENTS

REFEREN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168 9 보건의료 Personal Care in Learning Health Care Systems 2015  135
3167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국내이행을 위한 한국의 입법추진동향과 과제/ 박종원 2015  135
3166 18 인체실험 연구윤리 교육활동에 대한 조명과 사례연구를 적용한 중등교육과정의 연구 / 이상희 2013  135
3165 9 보건의료 의약품 거래규제에 관한 일고찰 / 이종인, 이승신 2012  135
3164 9 보건의료 바이오의약품의 허가과정 / 유무영 2006  135
3163 20 죽음과 죽어감 치료중단행위에 대한 의료형법적 고찰 : 의학적 충고에 반한 퇴원 사례를 중심으로 / 조인호 2008  135
» 14 재생산 기술 난임여성의 자아존중감, 신체상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 황란희 2017  135
316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결과물과 저작권 / 신창환 2016  135
316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 교육 프로그램이 일반 성인의 호스피스 인식, 죽음에 대한 태도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 최금희 외 2018  135
3159 8 환자 의사 관계 임플란트 시술상 의료과오의 소송상 쟁점에 관하여 / 한태일 2018  135
3158 13 인구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와 출산에 영향 미치는 요인 / 조아라 2018  135
3157 12 낙태 낙태죄의 위헌성에 관한 고찰 / 신옥주 2018  135
3156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공여자 및 수혜자의 CYP3A5 유전형에 따른 장기 생존 분석연구 / 김용환 2018  135
3155 9 보건의료 한국적 상황에서 공공의료 활성화를 위한 현실적 대안 / 서경화 2019  135
3154 9 보건의료 상급종합병원의 국제의료서비스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 홍혜정 2019  135
3153 4 보건의료 철학 의사의 정당한 사유에 의한 의료계약 해지권 검토 : 환자의 진료협력의무 위반을 중점으로/ 민국현 2018  135
3152 18 인체실험 황우석 사태 이후 서울대 IRB / 서이종 2015  135
3151 9 보건의료 고령화시대의 장애인 특수교육을 위한 제언 / 김송석 2019  135
3150 15 유전학 개인 유전체 기반 맞춤 의료 현황과 발전과제 / 정기철 외 2015  136
3149 19 장기 조직 이식 새로운 미디어 공공 캠페인으로서 교육적-오락물의 설득 효과에 대한 탐구 / 이병관, 최명일 2008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