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지식재산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244339 


한국의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에서 제네릭 시장독점제도의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troduce Necessary of the Generic Market Exclusivity under The Drug Approval-Patent Linkage in Korea


http://www.riss.kr/link?id=A100244339 

 

  • 저자명 : 정용익(Yongik, Jeong)

  • 학술지명 : 지식재산연구(The Journal of Intellectural property)

  • 권호사항 : Vol.9 No.4 [2014]

  • 발행처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01-129(29)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4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제네릭 시장독점 ,의약품 특허연계 ,해치-왁스먼법 ,특허도전 ,역지불 합의 ,약사법 개정안 ,generic exclusivity ,drug patent linkage ,first generic,authorized generic ,reverse payment ,Draft Amendment to Pharmaceutical Affairs Act

 

  • 초록

2012년 발효된 한·FTA3년이 경과함에 따라, 그동안 유예되었던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가 2015년부터 본격 시행될 예정이며, 이와 동시에 제네릭 시장독점제도도 그 시행을 준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네릭 시장독점제도가 특허도전 활성화를 통한 제네릭 진입을 촉진한다는 근거와 함께 제도 도입에 따른 부작용 발생 가능성도 동시에 검토하였다. 그 결과 제네릭 시장독점제도가 제네릭 진입 활성화의 유일한 방법도 아니고, 독점권이 없더라도 제네릭이 개발이 중단되는 것은 아니지만, 독점권의 부여가 제네릭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강력한 유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보다 명확히 확인할 수 있었다. 제네릭 시장독점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특허도전 대상을 확대하고 그 시기를 앞당겨 제네릭 진입이 촉진되며, 영업 위주의 우리나라 제약산업의 경영관행을 혁신할 수 있는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다만, 제네릭 독점제도 도입 시 발생할 수 있는 제네릭 개발자와 특허권자의 담합에 따른 역지불 합의의 증가 가능성, 제네릭 진입의 지연 등 문제 발생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있으나, 품목허가 신청 전에 특허도전이 가능한 우리나라 특허제도의 특성과 제네릭 제약기업이 다수를 차지하는 제약산업의 특성을 고려할 때, 이에 대한 방지책 마련을 통해 문제해결이 가능할 것이다. 하나의 제도는 새로 도입됨에 따라 항상 긍정과 부정의 양측면을 가지게 되며, 그 효과도 항상 같은 것은 아니다. 제네릭 시장독점제도의 도입에 있어서도 긍정적 측면은 최대화하고 부정적 요인은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제네릭의 시장진입 촉진과 국내 제약산업의 한 단계 도약을 통해 국민들의 의약품에 대한 접근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성과를 이루어내야 할 것이다.

 

 

 

  • 목차

초록

. 서론

. 미국의 제네릭 시장독점제도 고찰

. 제네릭 시장독점제도의 의약품 시장에의 영향 및 관련 쟁점

. 한국의 제네릭 시장독점제도 도입방안

.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7
4108 5 과학 기술 사회 사물인터넷 시대의 개인정보 보호의 과제 - 일본의 2015년 9월 개정 개인정보보호법을 중심으로 / 손영화 2017  75
4107 9 보건의료 보건의료관련 학과 간 환자안전 교육 / 하성민 외 2019  75
4106 2 생명윤리 의사윤리 개정의 필요성과 개정방향 / 유상호 2015  76
4105 9 보건의료 고위험병원체 관련 범죄에 대한 형사입법 고찰/이인영 2009  76
4104 9 보건의료 혁신기반 의료산업 발전 방안 / 김석관 2012  76
4103 19 장기 조직 이식 기획논문 : 뇌사와 장기이식 ;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의 이해 2000  76
4102 2 생명윤리 독일 장기와 조직의 기증, 적출 및 이식에 관한 법 개정에 대한 일고찰 / 이현아, 김명희 2017  76
» 9 보건의료 한국의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에서 제네릭 시장독점제도의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정용익 2014  76
4100 1 윤리학 강제입원의 위법과 손해배상책임 / 신권철 2017  76
4099 2 생명윤리 미국에서의 생명정치(Bio-Politique), 1890년대-1930년대 / 김호연 2018  76
4098 9 보건의료 일반병원직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 요구도에 관한 융합 연구 / 권춘혜 2017  76
4097 23 연구윤리 새로운 의료시술의 도입과 임상적용 시의 윤리적 절차 / 강명신 외 2013  76
4096 20 죽음과 죽어감 비뇨의학전문의로서 연명의료결정법의 이해 / 허정식 2018  76
4095 13 인구 한국의 초저출산과 국민연금 기금의 사회적 투자 / 조원희 외 2018  76
4094 9 보건의료 프랑스의 공법상 의료피해구제제도에 관한 연구 / 황정현 2018  76
4093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복음적 이해와 목회상담적 돌봄방안 / 양병모 2018  76
4092 12 낙태 온라인 기반 낙태 이슈 변화 분석 / 김찬우 2018  76
4091 9 보건의료 의료 소비자의 의학적 지식 유무와 의료서비스만족도 관계 / 최형석, 김규형 2018  76
4090 9 보건의료 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영향요인 / 김혜경, 김성수 2019  76
4089 14 재생산 기술 불임관련 기술 사용시 여성이 자신의 임신, 출산에 대해 가지는 통제권에 관한 연구 / 조영미 1994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