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6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관련링크 : http://jse.or.kr/AJMAHS/papers/v7n10/38.pdf 

소방관을 위한 트라우마 집단교육의 사전 사후 인식



http://www.riss.kr/link?id=A103566263

 

 

  • 저자명 이미나 ,나옥희
  • 학술지명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http://jse.or.kr/AJMAHS/papers/v7n10/)
  • 권호사항 Vol.7 No.10 [2017]
  • 발행처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413-421(9)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
  • 주제어 소방관 ,트라우마 ,집단교육 ,인식조사 ,외상적 경험
  •  
  • 초록

본 연구는 소방관을 위한 트라우마 집단교육을 통해 사전 사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소방관의 특성상 다양한 응급과 위급한 사건사고 현장에 노출되고 있으며, 외상적 경험인 트라우마는만성화되는 경우, 우울, 불안, 공황장애 및 공격성 등의 증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K시에 거주하고 있는 소방관 21명을 대상으로 6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트라우마 집단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사전 사후 인식에 대한 설문지를 통해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집단교육의 주제로는 트라우마 이해, 트라우마 치료와 예방법, 심리상태와 꿈, 스트레스 관리, 심리건강 지원제도, 공사례 등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결과 소방관을 위한 트라우마 집단교육을 통해 일반적인 인식에서는표준화된 트라우마 교육자료의 요구와 필요성 18(84.7%) ‘교육을 통해 심리적 문제를 도움 받고자 참여하였다’. 16(76.2%), ‘기회가 있으면 심리검사를 받고 싶다’ 16(76.2%), ‘찾아오는 교육과 상담 지원의 필요성’ 14(66.7%)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다양한 사건사고에 노출된 외상적 경험이 있는 소방관을 위한 트라우마 집단교육을 실시한 결과 교육을 받은 후 전문적인 교육과 상담을 받아야한다는 인식이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66 1 윤리학 테일러의 생명중심주의 사상의 환경윤리교육적 함의 / 이제용 2014  4638
65 1 윤리학 칸트 법철학에서 형벌이론과 사형제도 정당화에 대한 연구 / 김세빈 2016  2300
64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에 대한 문제 / 이영태 2003  1363
63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 박현정 2016  1119
62 2 생명윤리 현대 의학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연구 / 김정진 2006  1100
61 2 생명윤리 영화를 이용한 생명의료윤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효과 / 김선영 2014  1041
60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이 여가태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최은주 2015  1009
59 20 죽음과 죽어감 좋은 죽음에 대한 의사의 개념과 교육 / 유상호 2014  793
58 7 의료사회학 의사보조인력(Physician Assistant)의 현황과 의료법적 문제점 / 김현주, 박경기, 허정식 2014  785
57 2 생명윤리 중등 교육 과정에서의 생명 존중 교육에 관한 연구 : 도덕·윤리 교과를 중심으로 / 장정훈 2002  758
56 20 죽음과 죽어감 Nursing Students' First Clinical Experiences of Death / 박형숙, 지영주, 김순희, 김윤지 2014  620
55 20 죽음과 죽어감 통합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장애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 길태영 2016  605
54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교육에 있어서 안락사 문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한미정 2012  543
5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에 대한 법 제정과 현실 / 김중곤 2014  531
52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환자의 자기효능전략을 이용한 퇴원시 개별교육과 추후 전화상담의 효과 / 황영희 2013  515
51 19 장기 조직 이식 간 이식 수혜자의 수술 후 경과 시기에 따른 교육 요구도 비교 연구 / 고다미 2012  464
50 2 생명윤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윤리적 이슈와대학의 생명윤리교육 방향 제고 / 이경화 외 2018  459
49 2 생명윤리 생명중심 윤리사상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 : 고등학교 도덕 교과서를 중심으로 / 이미선 2008  424
48 2 생명윤리 생명윤리교육의 현황과 방향 연구 / 윤순애 2001  421
47 18 인체실험 IRB 전문인력양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 수요자 요구 분석 / 김난희 2015  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