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 의료경영학과 의료경영학전공 2016. 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20163 

서울시 지역별 보건의료기관 이용요인 및 1차 의료기관 이용현황 분석

   : 강남구와 강북구의 만성질환을 중심으로


  • 기타서명
    Comparative study between determinants of health institution utilizaition and primary care utilization at two sectors in Seoul : based on chronic-disease
  •  저자  : 조영훈
  • 형태사항  : ⅵ, 49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지도교수: 박상찬
  • 참고문헌: p. 44-46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 의료경영학과 의료경영학전공 2016. 2
  •  DDC  : 658-E 22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2016
  •  주제어  : 지역사회건강조사,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 만성질환, 보건기관, 1차 의료기관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강남구와 강북구의 보건기관 이용 요인 및 1차 의료기관의 이용 행태를 알아보고 보건기관 이용 요인과 1차 의료기관 이용형태를 만성질환을 중심으로 보기위해 시행하였다. 주요 연구 자료는 서울서베이 조사, 지역사회건강조사, 건강보험심사평가원(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자료이다.
서울서베이 조사를 바탕으로 강남구와 강북구를 선택하였고, 지역사회건강조사를 통해 얻은 각각의 세부 변수들을 SPSS로 X²검정을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보건기관 이용 여부에 대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SPSS로 단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요청한 자료의 항목은 R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정제한 후 그래프로 시각화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소득에 따라 나뉜 두 지역구는 다른 변수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었으며, 보건기관 이용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건강수준 요인으로는 강북은 고혈압이었으며 강남은 천식이었다. 둘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를 바탕으로 강남구와 강북구의 1차 진료기관 이용차이를 도출했고, 강북구는 순환기계질환과 호흡기질환이 강남구는 내과적 질환과 호흡기 질환 및 정신과질환이 주요 질환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사회조사의 결과를 실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와 비교를 했을 때, 지역사회조사의 결과는 강북구에서는 보완됨을 알 수 있었고 강남구에서는 한계성을 띄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강북구와 강남구의 만성질환과 관련하여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며 보건기관과 1차 의료기관이 지역사회의 건강 개선을 위해 예방적 차원의 노력을 함께 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고혈압과 천식 그리고 정신질환이 문제가 있음을 깨닫고 동시에 지역사회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자발적 노력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고 볼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1
1.1. 연구의 필요성 1
1.2. 연구의 목적 3
제2장 이론적 배경 5
2.1. 기관조사 5
2.1.1 2014 서울서베이 조사 5
2.1.2 지역사회건강조사 6
2.2 보건의료 빅데이터 개방시스템 7
2.3 건강행태 및 건강수준 차이에 관한 선행연구 8
2.3.1 지역별 소득격차와 건강수준과의 상관관계 8
2.3.2 건강행태와 건강수준에 관한 요인 9
2.3.3 건강행태와 의료기관이용과의 관련성 11
2.4 1차 의료기관과 보건기관간의 상호 보완성에 관한 선행연구 12
제3장 연구 방법 14
3.1 용어의 정의 14
3.1.1 만성질환과 만성질환의 요인 14
3.1.2 보건의료기관 15
3.1.3 1차 의료기관 16
3.2 연구의 모델 16
3.3 연구자료 및 대상 17
3.4 활용된 변수 17
3.4.1 독립 변수 18
3.4.2 종속 변수 19
3.5 자료수집 방법 19
3.6 자료분석 방법 20
제4장 연구결과 21
4.1 2014 서울서베이 조사를 통한 각 구별 소득분석 21
4.2 지역사회 건강조사를 통한 보건기관 이용분석 22
4.2.1 기초통계량 분석 22
4.2.2 강남구와 강북구의 차이분석 24
4.2.2.1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분석 24
4.2.2.2 건강행태에 따른 차이분석 26
4.2.2.3 건강수준에 따른 차이분석 27
4.2.3 보건기관 이용에 대한 단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 28
4.2.3.1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변수선정 28
4.2.3.2 다중공선성 진단 29
4.2.3.3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모형 30
4.3 심사평가원자료를 통한 1차 의료기관이용 분석 34
4.3.1 강북구와 강남구의 질병코드와 진료과의 차이 분석 34
4.3.2 두 지역구의 연령별 질병코드 및 진료과 현황 분석 35
4.3.2.1 만성질환 진료과별 및 질병코드별 총 환자수 36
4.3.2.2 만성질환 진료과별 및 질병코드별 총 진료건수 37
4.3.2.3 만성질환 진료과별 및 질병코드별 진료비총액 38
제5장 논의 39
제6장. 결론 및 제언 42
참고 문헌 44
부 록 47
영문 요약 4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8 5 과학 기술 사회 21세기 과학기술법의 과제 / 손경한, 박진아 2007  6795
4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법 제27조 제3항 환자 ‘유인’ 금지의 적용범위 / 이석배 2011  1623
46 7 의료사회학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 : '건강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건강불평등'의 윤리문제를 중심으로 / 맹광호 2015  1319
4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수술 후 영양상태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하지수, 최스미 2013  1249
44 9 보건의료 인신사고로 인한 손해배상과 보험자의 구상권 -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구상권을 중심으로 -/노태헌 2015  894
43 14 재생산 기술 숫자를 (재)생산하는 몸, 도구화된 여성 건강 : 저출산 정책으로서의 <난임(불임)부부지원사업>에 대한 고찰 / 하정옥 2012  708
42 14 재생산 기술 난임부부 지원제도 개선 방안 /이서영 2013  585
41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프라이버시 및 정보보호의 법적 근거 고찰 / 박지용 2012  575
40 10 성/젠더 성인지적 관점에서 본 모성보호의 사회법적 한계 / 손미정 2014  548
39 17 신경과학 정신건강복지 관련 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성중탁 2018  538
38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수혜자의 이식 후 사회적지지, 우울 및 건강상태 / 박병준 2012  479
37 9 보건의료 의료법 위반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대한 민법상 불법행위책임 - 대법원 2013. 6. 13. 선고 2012다91262 판결, 2015. 5. 14. 선고 2012다72384 판결을 중심으로 -/이동필 2015  472
36 10 성/젠더 입원약정서의 연대보증조항에 대한 환자의 건강권 측면에서의 검토 / 홍관표 2015  451
3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가족돌봄제공자의 건강상태 영향 요인 / 정복례, 박현숙 2014  426
34 14 재생산 기술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 여성의 재생산권리와 생명의료과학기술의 관계에 대한 소고 : 보조생식술의 이용을 중심으로 / 김은애 2009  401
33 14 재생산 기술 이주여성의 재생산권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보호 / 이진규 2010  333
32 16 환경 중국 지역 간 건강 수준 차이 원인에 관한 연구 : 티베트자치구(西藏自治區)와 흑룡강성(黑龍江省) 사례 비교 / 허신, 강민아 2015  328
31 16 환경 건강결정요인 파악을 위한 건강영향평가의 정책적 의의 / 배현아 2015  326
30 13 인구 건강보험제도의 현황과 정책과제 / 강희정 2016  317
29 9 보건의료 N. Daniels의 생애에 대한 타산적 접근법과 그에 대한 비판: S. Brauer를 중심으로/이경도 2015  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