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7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간연구 제26호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3391184 

관련 논문을 소개합니다. 해당 자료의 원문을 원하실 경우 도서관으로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인간연구 제26호, 2014.1, 7-36 (30 pages)

 

비트겐슈타인의 확실한 것들과 인간 존엄 및 인간 생명 존중

Wittgenstein’s Certainties, Human Dignity, and Respect for Human Life

 
최경석
 
 

한국어 초록

이 논문은 생명윤리학이 체계적 이론이나 담론 방식을 아직 뚜렷하게 형성하지는 못하였지만, 생명윤리 담론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치나 규범들이 존재한다고 보며, 이런 것들 중 인간 존엄이란 가치와 인간 생명 존중이란 규범에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인간 존엄은 이 개념의 네 가지 원천으로 인해 상이하거나 상반되는 결론을 지지하는 논거로 사용되며, 인간 생명 존중도 인간 존엄과 마찬가지로 애매성이나 모호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생명윤리적 담론에서 인간 존엄이나 인간 생명 존중에 대한 호소는 좀 더 분석되어 보다 구체적인 논거가 무엇인지 확인될 필요가 있으며, 논증 구성에 있어서도 인간 존엄과 인간 생명 존중보다 더 구체적인 논거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인간 존엄과 인간 생명 존중은 도덕 체계를 구성하는 가치나 규범들을 대변하는 것으로서 현대를 사는 우리들의 삶 속에 이미 전제된 개념이고 실천의 기초이다. 비트겐슈타인은 참과 거짓의 판별 대상인 명제도 아니고 정당화 근거가 제시될 수 있는 것도 아니지만 우리 행위의 기초가 되는 경험적인 확실한 것들이 존재함에 주목하였다. 경험적인 확신한 것들과 마찬가지로, 윤리의 영역에서도 참과 거짓의 판별 대상인 명제는 아니지만 그리고 정당화의 대상도 아니지만, 우리들의 삶과 실천의 기초를 이루며 도덕 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도덕적인 확실한 것들이 존재한다. 인간 존엄과 인간 생명 존중 역시 이러한 도덕적인 확실한 것들 중 하나로 이해될 수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생명윤리학의 체계적 이론 부재와 핵심 개념들
Ⅲ. 인간 존엄
Ⅳ. 인간 존엄에 대한 정합적 이해와 인간 존엄의 정당화 문제
Ⅴ. 인간 생명 존중
Ⅵ. 회의주의와 도덕적인 확실한 것들
Ⅶ.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
상세서지
  • 발행기관 :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 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 PDF
  • KORMARC 보기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3391184
 
 
 
키워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1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추정적 의사 / 김필수 2012  61127
11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기준과 절차 : 대법원 2009. 5. 21. 선고 2009다17417 판결이 가지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 이석배 2009  7189
115 5 과학 기술 사회 21세기 과학기술법의 과제 / 손경한, 박진아 2007  6795
114 2 생명윤리 의료영역에서 인간의 존엄, 생명, 생명권의 관계 / 이석배, 김필수 2012  4417
113 15 유전학 유전자 검사와 치료에 대한 윤리적 문제 고찰 / 박태정 2006  4289
112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배아 복제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진교훈 2009  3817
111 8 환자 의사 관계 생명윤리에서 생명권과 자기결정권 / 이석배 2007  3698
110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아기시술에 관한 생명윤리적 쟁점에 대한 연구 / 신미향 2013  2411
109 18 인체실험 배아복제 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줄기세포 연구의 한계 / 김광연 2015  2246
108 2 생명윤리 피터 싱어의 생명 윤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정창록 2012  2074
107 1 윤리학 칸트의 윤리학에 나타난 인간 존엄성의 근거와 보편 가능성으로서의 도덕법칙의 요청 / 김광연 2016  2015
» 2 생명윤리 비트겐슈타인의 확실한 것들과 인간 존엄 및 인간 생명 존중 / 최경석 2014  1552
105 1 윤리학 생명윤리에 대한 형법적 보호의 범위와 한계 / 이석배 2008  1472
104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윤리의 기본 원칙: 로봇 존재론으로부터 / 고인석 2014  1360
103 18 인체실험 인간배아줄기세포의 특허보호에 관한 유럽의 최신 동향 : 유럽사법재판소의 Brüstle v. Greenpeace 판결을 중심으로 / 한지영 2014  1223
102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를 규제하는 국제규범 -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과 개정방향 모색 / 류병운 2014  1212
101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조명 / 김평관 2005  1151
100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 및 대안 / 박상중 2003  1048
99 14 재생산 기술 배아의 존재론적 지위와 그 존엄성에 관한 연구 : 샌델과 하버마스의 논의를 중심으로 / 김광연 2014  1016
98 11 피임 윤리적 관점에서 본 응급피임약/최진일 2015  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