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자료
출처 : KBS 생로병사의 비밀 530회 
방송일자 : 2015-01-07 
키워드 : 미래의학,줄기세포, 불치병, 재생의학, 줄기세포치료, 난치병, 
관련링크 : http://www.kbs.co.kr/1tv/sisa/health/vie...taType=201 


* 해당 자료는 도서관 미소장자료입니다.

   관련링크를 누르시면 해당 방송사 사이트로 연결됩니다.

  간단히 KBS 사이트 회원가입,  로그인 후 보실 수 있습니다.



  •                                                                                   


    생/로/병/사/의 비밀 

     

    신년 기획 '미래의학'

    제1부 줄기세포, 어디까지 와 있나



     

    방송일시 : 2015년 1월 7일 (수) 22:00 ~ 22:55 KBS 1TV
    ■ 프로듀서 : 윤성도
    ■ 담당작가 : 김민정, 유보경 


       


    불치병, 난치병 환자들의 희망, 줄기세포!
    재생의학의 핵심적인 분야이자
    미래과학으로 여겨지며
    지금 이 순간에도
    많은 줄기세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줄기세포 연구가
    어느 단계까지 와 있는지 짚어보는 것은 물론,
    줄기세포 치료가 상용화되기까지
    넘어야 할 문턱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줄기세포를 둘러싼 쟁점과
    줄기세포 치료의 미래에 관해
    <생/로/병/사/의 비밀>에서 살펴본다.

     

     

     

     

     

    ▶ 줄기세포 치료와 연구, 어디까지 진행되었나?
     생쥐의 골수에서 처음 발견된 줄기세포는 재생의학의 핵심적인 분야이자 불치병을 정복할 수 있는 미래 과학으로 여겨져 왔다. 90년대 말 복제 양 돌리의 탄생으로 줄기세포 연구에 대해 기대감이 증폭되었고 더불어 10년 전 세계를 충격에 빠뜨린 황우석 박사의 논문조작 사건도 발생했다. 이후 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으로 줄기세포에 대한 연구가 주춤했던 것도 사실이지만 현재까지 많은 줄기세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줄기세포, 현재 어느 단계에까지 와 있는 것일까?

    줄기세포는 인체를 구성하는 모든 세포로 분화할 수 있어 난치병 치료에 대한 희망을 품게 한다. <생로병사의 비밀>에서는 줄기세포를 이용한 최근의 치료, 연구 사례를 소개한다.

    ① 혈액세포를 만들어내는 조혈줄기세포의 경우, 이미 임상적으로 응용되고 있으며 그중 뇌성마비 환자의 치료에 접목해 성공하기도 했다. 뇌의 손상으로 운동기능에 장애를 지니는 뇌성마비를 앓아 거동이 불편했던 아이가 제대혈을 이용한 줄기세포치료 후 운동, 인지 능력에 큰 향상을 보였다.

    ② 영국에서는 하반신이 마비된 척수손상 환자에게 후각 초성화 세포(OECs)를 주입한 후 보조기를 이용해 걸을 수 있게 됐다. 이는 세포이식으로 심각한 척수손상에서 회복된 첫 사례이다.

    ③ 줄기세포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나라 중 하나인 미국의 뉴욕줄기세포재단연구소는 1형 당뇨 환자의 체세포를 복제해 배아줄기세포를 만들고, 이 세포를 췌장베타세포로 자라게 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현재는 쥐 실험 단계로 환자에게 이식하기까지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④ 연세대 김동욱 교수, 서울대 백선하 교수팀은 파킨슨병의 근본적인 치료법을 알아내기 위해 줄기세포 치료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쥐 등의 소동물에서 한 단계 넘어선 영장류인 원숭이를 이용한 줄기세포 실험이 그것이다.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지난 12월 파킨슨병에 걸린 원숭이에게 도파민을 분비할 수 있는 줄기세포를 주입하는 시술을 진행했다. 줄기세포가 원숭이의 뇌에서 어떤 역할을 할지는 앞으로 실험을 진행하면서 계속 지켜봐야 한다.

    이처럼 줄기세포 치료에 성공은 난치병 환자들의 마지막 희망이지만 그 연구 과정이나 성과를 보다 냉철하게 지켜봐야 한다. 줄기세포 치료에는 양면성이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더많은 가능성을 갖고 다양한 난치병 치료에 적응할 수도 있지만 아직 현실화되지 않았기에 무조건적인 맹신은 옳지 않다.

     

     

     

    줄기세포 치료를 둘러싼 쟁점

     줄기세포를 둘러싼 첫번째 쟁점은 생명윤리에 대한 것이다.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된 배아도 생명체이므로 파괴해서 안 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안정성의 문제다. 실제 쥐 실험이나 임상실험에서 암이 발생했다는 연구결과도 발표되고 있어 실제 치료에 적용하기까지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해외에서의 허가받지 않은 불법 줄기세포 치료도 문제가 되기도 한다. 검증되지 않은 줄기세포치료의 피해는 고스란히 환자와 가족들이 입고, 불법인 원정 시술에 대해 어떠한 법적인 보호도 받을 수 없는 실정이다. <생로병사의 비밀>에서는 원정시술 이후 오히려 병이 악화됐다는 사례자들을 만나 이야기를 들어봤다.

     

     

     

     

    줄기세포치료에 대한 기대는 높지만, 현실에서 실용화되기까지는 많은 시간과 자원이 필요한 것이다. 때문에 현재 정부와 학계에서는 줄기세포 치료의 유효성과 안전성 표준을 만드는 등 제도적 보완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 줄기세포 치료의 가능성과 전망

    2012년 일본의 야마나카 신야 박사는 유도분화 줄기세포(iPS) 연구에서의 성과로 노벨 생리학상을 수상했다. 일본에서는 현재 iPS 세포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와 임상이 이루어지고 있다. 황반변성 환자에게 iPS 세포를 망막세포로 만들어 이식하고, 도쿄대의 야마시타 준 교수는 심장 치료에 활용하고 있다. 현재는 쥐 실험단계이지만, 사람의 iPS 세포를 심근세포나 혈관세포의 역할을 하는 세포로 만들어 쥐의 심장에 이식했더니 심장기능이 좋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우리나라에서도 iPS 세포를 이용한 다양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iPS 세포, 체세포 복제 배아줄기세포의 성공으로 더욱 기대는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현재 연구 진행 중이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처럼 줄기세포치료가 실제 환자에게 적용되려면 안정성과 효용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줄기세포 치료의 현주소와 전망,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까지
    <생/로/병/사/의 비밀>에서 알아본다.

     

     

     http://www.kbs.co.kr/1tv/sisa/health/view/vod/index,1,1_list003,2.html?searchStatus=0&articleIndex=9&vosample=&currentUrl=http://www.kbs.co.kr/1tv/sisa/health/view/vod/index,1,1_list003,2.htm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출처 방송일자 키워드 조회 수
    공지 ! 미디어자료 이용 안내       770

    18 인체실험 일본 줄기세포 시술, 현대판 불로초인가? [link] file

    출처 KBS1 세계는 지금 

    방송일자 2014-01-25 

    키워드 일본, 줄기세포,치료,불법배양,원정치료,원정시술,난치병 

    • 조회 수 1099

    18 인체실험 자신의 몸을 대가로 돈을 받는다? 임상실험 아르바이트!! [link] file

    출처 JTBC 우리는형사다 9회 

    방송일자 2013-02-07 

    키워드 식약청,임상실험,아르바이트,마루타,부작용,의약품,안전성,사망,신약개발,사회문제 

    • 조회 수 2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