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인체유래생체시료은행(바이오뱅크) 구축, 운영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등록일  2014.06.11

조회수  873

정보 안내 표
주관연구기관 재단법인 네오딘의학연구소
발행년 2008
키워드 인체유래,생물자원,생체시료,바이오뱅크,생체시료은행
관련링크 http://report.ndsl.kr/repDetail.do?cn=TRKO201200011573

 

 

 

인체유래생체시료은행(바이오뱅크) 구축, 운영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원문보기 복사신청

보고서 상세정보
주관연구기관 재단법인 네오딘의학연구소
연구책임자 황유성
보고서유형 최종보고서
발행국가 대한민국
언어 Korean
발행년월 2008-01
주관부처 환경부
사업 관리 기관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초록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인체유래생물자원(생체시료와 시료정보)은 획득과정에서 인간의 존엄성과 생명 윤리의 확보가 전제되어야 하며, 생체시료는 임상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정보와 정확한 결합이 되었을 때 활용가치가 극대화될 수 있다. 특히 혈액, 소변과 같은 생체시료는 사용될 때마다 재충전이 되지 않는 소모성 자원으로 점점 희귀성이 높아져가고 있다. 이러한 인체유래생물자원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그 활용도를 극대화 하여 국가자원화 하기위해서는 인체유래생물자원을 수집, 보관함에 있어 생체시료의 품질관리와 안정성을 고려하고, 미생물, 동, 식물 등의 다른 생태유래생물자원과는 별도로 관리하는 것이 타당하다. 바이오뱅크(생체시료은행)란, 혈액, 소변 등을 은행처럼 장기 보관하여 질병의 연구나 새로운 치료방법 등의 개발을 위한 요구에 대해 그 활용을 통해 미래 맞춤 의학시대를 목표로 하는 전략 시스템이라 할 수 있으며, 인체유래생물자원의 저장고인 바이오뱅크의 구축은 질병의 예방, 유전학, 개인맞춤의학의 개발과 향상에 중요한 단계로 인식되고 있고, 더 나아가 국민건강수준의 향상을 위한 새로운 정책의 도구로 이해,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미래 전략사업으로 전망되고 있는 바이오뱅크 구축 사업에 세계 각국이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으며 미래 전략적 투자를 위한 국가 단위의 지속적인 관심과 조직적 지원 및 추진이 무엇보다도 필요한 상황이다.

 

 

목차

 

  1. 표지 ... 1
    제출문 ... 2
    목차 ... 3
    표목차 ... 4
    그림 목차 ... 7
    Ⅰ. 서론 ... 10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 10
    2. 연구 목적 ... 12
    Ⅱ. 연구 내용 및 방법 ... 13
    1. 연구 체계 ... 13
    가. 연구진 구성(연구분담표) ... 13
    나. 연구수행체계 ... 14
    2. 연구내용 및 방법 ... 15
    가. 기초예비조사 및 세부계획수립 ... 15
    나. 예비 운영시스템 기반 구축 ... 23
    Ⅲ. 결과 ... 26
    1.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역학과 생체시료관리 현황 조사 ... 26
    2. 국내, 외 타 생체시료은행의 특성 및 관리 현황 비교, 분석 ... 58
    3. 인체유래생체시료 은행 구축 및 관리 방안 수립 ... 113
    4. 생체시료관리를 위한 정도관리 기법 개발 및 마스터플랜 수립 ... 139
    Ⅳ. 고찰 및 결론 ... 170
    Ⅴ. 기대성과 및 활용방안 ... 174
    참고문헌 ... 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