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인체자원단위은행 정도관리 체계 확립 사업

연구보고서

등록일  2014.06.11

조회수  919

정보 안내 표
주관연구기관 전북대학교병원
발행년 2009
키워드 인체자원은행.정도관리.신선동결조직.혈액.파라핀블록. National Biobank Korea.Quality controls.Fresh frozen tissue.blood.paraffin block.
관련링크 http://report.ndsl.kr/repDetail.do?cn=TRKO201300000315

 

 

인체자원단위은행 정도관리 체계 확립 사업
The establishment of quality controls of the National Biobank of Korea 원문보기 복사신청

보고서 상세정보
주관연구기관 전북대학교 병원
연구책임자 정명자
보고서유형 최종보고서
발행국가 대한민국
언어 Korean
발행년월 2009-12
주관부처 보건복지가족부
사업 관리 기관 질병관리본부
Korea Center for Diease Control and Prevention
키워드 인체자원은행.정도관리.신선동결조직.혈액.파라핀블록. National Biobank Korea.Quality controls.Fresh frozen tissue.blood.paraffin block.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의 주된 목표는 표준화된 절차를 통해 양질의 자원을 수집하고 이를 연구자들에게 분양함으로써 의학연구의 활성화와 우리나라의 보건의료발전을 이루는 것임. 양질의 자원 수집을 위해서는 표준화된 지표를 중심으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정도관리가 필요함.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인체자원단위은행이 수집․보관 중인 인체자원의 보건의료학적 활용성 제고를 위한 품질관리체계를 마련하기 위하여 (1) 현재 사용되고 있는 조직자원의 정도관리 항목의 분석을 통하여 이를 기반으로 (2) 적용 가능한 인체자원 단위은행 정도관리 기준을 제시하고, (3) 실험적 검증을 수행하는 것이었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음. (1) 현재 사용중인 조직자원의 수집과 관련된 정보양식은 한 자원당 20개 항목이 있는데 중복되거나 중요성이 약한 항목은 삭제하였고 또한 각항목의 개념을 정립하였음. (2) 신선동결 조직자원의 안정성 평가에 관한 내용중 그 동안 논란이 되어왔던 안정성 평가 빈도, 방법을 단위은행 현황파악과 문헌고찰을 통해 재정립하였음. (3)혈액 자원의 정도관리와 관련해서 buffy coat 정도관리를 추가하였고 필요성이 약하다고 판단된 세포오염도 평가에 대한 항목을 삭제할 것을 제안하였음. (4) 지연시간이 조직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인체자원 시스템에서 실험적으로 점검하였으며 지연시간 기준을 제시하였음. (5) 병변의 크기가 작아 신선동결조직의 자원화가 안될 경우 파라핀 블록에서 분자검사를 시행하는 경우가 있음. 이 경우 현재까지 주로 사용된 포르말린 고정방법과 methacarn고정 방법으로 고정후 파라핀블록을 제작해서 조직내 DNA, RNA 안정성을 비교하였고 면역염색결과를 비교하였음. 또한 이들 블록의 보관방법에 대한 표준지침을 제시하였음. (6) 자원화된 동결조직의 적절성을 판정하는 기준으로 조직내 종양 함유 정도가 중요함. 이에대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종양의 포함정도에 따른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microarray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으며 기준을 제시하였음. 본 연구로 기존에 사용하던 표준사용지침 내용 중 합의 및 수정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표준 기준을 새롭게 마련할 수 있었으며 이로써 본 연구는 은행자원의 표준화 및 고품질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됨.

 

 

 

  1. 표지 ... 1
    목차 ... 3
    I. 연구개발결과 요약문 ... 4
    최종결과보고서 요약문 ... 4
    Summary ... 5
    II. 학술연구용역사업 연구결과 ... 6
    제1장 최종 연구개발 목표 ... 6
    제2장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결과 ... 11
    1절. 조직 자원수집 표준모델 확립 ... 12
    2절. 신선동결조직에서 DNA 및 RNA 안정성 평가 프로토콜 개발 ... 20
    3절. 새로운 정도관리 지표물질 및 기법 ... 27
    4절 신선동결조직의 지연시간이 DNA, RNA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대장암을 대상으로 한 실험적 고찰) ... 30
    5절. 신선동결조직의 지연시간이 DNA, RNA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위암을 대상으로한 실험적 고찰) ... 47
    6절. 파라핀블럭 제작과 보관의 정도관리 - 실험적 고찰 ... 53
    7절. Microarray 실험을 통한 검체 채취부위 적절성에 따른 유전자 발현 양상 확인 ... 64
    8절. 혈액의 정도관리 내용 확립 및 평가기준 마련-필수 항목 선정 ... 82
    제4장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92
    제5장 연구성과 ... 93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 94
    제7장 참고문헌 ... 95
    제8장 첨부서류 2009 한국인체자원은행 정도관리 표준지침 (안) ... 99
    1절. 정도관리 일반사항 ... 101
    2절. 혈액자원의 정도관리 ... 102
    3절. 조직 자원의 정도 관리 ... 110
    4절. 병원체자원의 정도관리 ...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