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분석물질의 안정성평가를 활용한 생체시료은행 구축 및 운영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등록일  2014.06.11

조회수  674

정보 안내 표
주관연구기관 국립환경과학원
발행년 2011
키워드 바이오뱅크,biobank,생체,시료은행,안전성평가, 환경과학원
관련링크 http://report.ndsl.kr/repDetail.do?cn=TRKO201300007621

 

 

분석물질의 안정성평가를 활용한 생체시료은행 구축 및 운영방안 연구
A study on methods for establishing and operating a biobank system by using the assessments of the stability of analytes 원문보기 복사신청

보고서 상세정보
주관연구기관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연구책임자 장준영
참여연구원 이철우;정선경;유미;최욱희;유승도
보고서유형 최종보고서
발행국가 대한민국
언어 Korean
발행년월 2011-12
주관부처 환경부
사업 관리 기관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국민의 삶의질 향상 요구와 국가 환경보건정책 강화와 더불어 환경오염 노출로 부터 건강영향을 파악하고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다양한 조사 연구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사업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서는 분석표준화, 정도관리 등 기본적인 분야에 충실해야 한다.

 

 각종 건강영향 및 환경역학조사 등에서 발생하는 혈액, 요 등의 생체시료는 인간의 존엄성과 개인정보의

 

보호, 생명윤리의 확보가 전제되어야 하므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및 "생명연구자원 확보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검체의 수집에서부터 보관, 분양 및 활용등에 대하여 엄격하게 관리하여야 한다.

 

 

목차

 

표지 ... 1
목차 ... 2
표목차 ... 3
그림목차 ... 4
Abstract ... 5
I. 서론 ... 6
II. 연구내용 및 방법 ... 7
1. 생명윤리심의위원회 심의 ... 7
2. 자료 및 문헌조사 ... 7
3. 보관시료에 대한 분석 및 안정성 평가 ... 7
4. 생체시료은행 구축 및 운영방안 마련 ... 11
III. 연구결과 및 고찰 ... 12
1. 자료 및 문헌조사 ... 12
가. 국내ㆍ외 생체시료은행의 특성 및 관리현황 비교ㆍ분석 ... 12
나. 기존 생체시료은행의 문제점 ... 20
2. 생체시료의 안정성평가 ... 21
3. 생체시료은행 구축 및 운영방안 ... 31
가. 생체시료 보관 프로토콜 ... 31
나. 환경보건연구과 생체시료은행 추진현황 및 운영방안 ... 43
IV. 결론 ... 45
참고문헌 ... 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