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불임의 사회적 요인 및 실태에 관한 연구 /황정혜

연구보고서

등록일  2012.10.06

조회수  1427

정보 안내 표
사업명 미래보건기술개발사업
주관연구기관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행년 2008
키워드 불임, 보조생식술, 사회적 요인, 생활습관
관련링크 http://www.prism.go.kr/homepage/theme/re...uLevel=110

 
불임의 사회적 요인 및 실태에 관한 연구
(The Study for Social Causative  Factors of Infertility)
2008
 
 
ㅇ 연구목적 및 필요성
- 매년 불임진단을 받는 불임환자가 증가 추세에 있으나 의학적, 사회·환경적으로 어떤 요인이
불임을 초래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임
- 불임치료에 소요되는 개인적·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불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불임원인을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 필요함
- 또한 최근 정부가 불임가정에 불임시술비 일부를 지원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시술이
필요한 수요자의 범위 및 분포, 시술시행의 실수요층 등 정책대상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가
부족하여 정책수행의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불임관련 정책 수요층 실태 파악이 필요

ㅇ 연구내용
- 불임진단 환자의 실태파악
: 연도별 불임진단환자 발생 현황 및 지역, 직업, 연령, 결혼시기 등 관련 요인들 현황 파악
- 불임진단명에 대한 의학적, 사회환경적, 만혼 등 사회인구학적 원인 분석
- 불임관련 정책 수요층 파악
: 시험관아기시술, 인공수정, 남성불임치료 등 불임가정에 필요한 지원정책 시행시 실수요층
파악

ㅇ 연구방법
- 관련 문헌 고찰
: 불임 관련 국내외 선행 연구자료 분석, 문헌 고찰
- 관련 데이터 분석
: 관련학회 및 학회 소위원회 발표 자료 및 보유 통계 분석
: 최근 인구주택총조사 등 분석
: 건보공단 각종 불임자료 분석
- 실태조사 실시
: 불임 당사자, 시술 전문가 설문조사

ㅇ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불임부부지원사업의 정확한 정책수요층을 분석하여 수요자 중심의 정책시행 가능
- 불임원인 및 불임환자 등의 실태에 관한 기초 통계를 확보하여 불임예방 방향 정립 등
정책수행의 효과성 극대화 기대"
 
 
 
 
 
 
 
 
 
 
 
 
제 1 장 서 론 ------------------------------------------------------- 1
제 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
제 2절. 연구의 목적 ----------------------------------------------- 3
제 3절. 연구 내용 ------------------------------------------------- 3
제 4절. 연구 방법 ------------------------------------------------- 4
제 5절. 연구 수행체계 --------------------------------------------- 6
제 2 장 국내외 연구 동향 -------------------------------------------- 8
제 1절. 불임의 개요 ----------------------------------------------- 8
제 2절. 외국 문헌고찰 --------------------------------------------- 10
제 3절. 국내 문헌고찰 --------------------------------------------- 41
제 3 장. 연구결과 --------------------------------------------------- 43
제 1절. 건강보험공단 자료 분석 결과 ------------------------------ 43
제 2절. 불임 및 정상 여성의 불임원인 관련설문 분석결과 ----------- 65
제 4 장. 고찰 ------------------------------------------------------- 138
제 5 장. 결론 ------------------------------------------------------- 155
제 6 장. 연구의 제한점 및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157
제 1 절.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157
제 2 절. 연구의 제한점 ------------------------------------------- 157
제 3 절. 향후 연구의 필요성 -------------------------------------- 158
참고문헌 ------------------------------------------------------------ 159
부 록 ------------------------------------------------------------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