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
발행년 : 200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491343 
생명과학 연구자들의 연구윤리 의식에 관한 조사 = Perception of Research Ethics by Korean Life Scientists


http://www.riss.kr/link?id=T11491343

        

  • 저자

    서은주                                       

  • 형태사항

    vii, 92장;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전방욱
    부록주기: 권말부록: 생명과학 연구 시 데이터 처리와 논문 출판의 윤리의식 조사
    참고문헌: 장 81-8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강릉대학교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2008. 8

  • KDC

    470 4

  • 발행국

    강원도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8


초록 (Abstract)

  • 최근 몇 년간 연구부정행위가 지속적으로 드러나고 있는데, 이런 비윤리적인 행위에 대하여 연구자들은 서로 다른 의견을 나타내고 있다. 이로써 연구자들이 바람직한 연구수행을 위한 확...
  • 최근 몇 년간 연구부정행위가 지속적으로 드러나고 있는데, 이런 비윤리적인 행위에 대하여 연구자들은 서로 다른 의견을 나타내고 있다. 이로써 연구자들이 바람직한 연구수행을 위한 확고한 인식을 정립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과 더불어 윤리적이고 그렇지 않은 것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동시에 알 수있다. 본 연구는 바람직한 연구 수행과 관련된 설문조사를 통해 응답 결과를 주제별?연구자 특성별로 분석 평가하여, 생명과학자들의 연구 윤리 의식을 사정하는의의를 가진다. 궁극적으로는 과학연구윤리교육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여 우리나라연구 환경에 맞는 바람직한 연구윤리 교육의 방향을 확립하고, 생명과학자들이 충실하고 진실 된 연구 수행을 돕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연구자들이 연구를 수행하는 동안 많은 윤리적 갈등을 느낄 수 있는부분 중에서 ‘데이터 처리’와 ‘논문 출판’ 두 가지 주제를 선택하였고, 이와 관련한세부 문항들로 설문을 구성하였다. 생명과학 관련 학회 중에서 규모가 크고 회원이 다양한 한국 분자세포생물학회 회원을 대상으로 2007년 9월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424명의 응답을 얻었다. 주제별로 묶은 세부 문항 간 인식 정도를 비교하여 연구윤리 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부분을 발견하고 연령, 학위, 종사기간, 지위등 응답자가 지닌 특성에 따른 윤리의식의 차이를 비교하여 대상에 따라 효율적인 교육 방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1
  • 1. 연구배경 = 1
  • 2. 연구목적 = 3
  • 3. 과학 연구윤리 = 3
  • 가. 연구윤리의 개요 = 3
  • 나. 과학연구자와 연구윤리 = 3
  • 다. 과학연구윤리교육의 필요성 = 4
  • 4. 바람직한 연구윤리 = 5
  • 가. 데이터 처리 = 6
  • 나. 논문 출판 = 12
  • 다. 윤리적 연구수행 원칙 = 18
  • Ⅱ. 연구 방법 및 절차 = 19
  • 1. 연구대상 = 19
  • 2. 연구 절차 = 19
  • 3. 분석 방법 = 20
  • 4. 측정도구 = 20
  • Ⅲ. 연구 결과 = 21
  • 1. 주제별 분석 = 22
  • 2. 연구자 특성별 분석 = 36
  • Ⅳ. 고찰 및 결론 = 71
  • 1. 주제별 분석을 기초로 한 연구윤리교육의 방향 = 71
  • 2. 연구자 특성별 분석을 기초로 한 연구윤리교육의 방향 = 73
  • 3. 논의 및 맺음말 = 79
  • 참고문헌 = 81
  • 국문초록 = 84
  • 부 록 = 8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2 23 연구윤리 “황우석” 관련 논문의 언어 네트워크 분석 / 김만재 외 2016  52
31 23 연구윤리 줄기세포 연구자의 연구 윤리 일반에 관한 인식 및 절차 / 최은경 외 2008  58
30 23 연구윤리 바이오뱅크 분야의 연구데이터 관리 및 서비스 동향에 관한 연구 / 박미영 외 2017  66
29 23 연구윤리 연구윤리와 연구부정행위에 관한 교육 / 송동수 2018  66
28 23 연구윤리 연구의 성과와 연구윤리/ 정재우 2018  69
27 23 연구윤리 연구윤리제도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미국을 중심으로 / 이송호, 정일환 2018  70
26 23 연구윤리 새로운 의료시술의 도입과 임상적용 시의 윤리적 절차 / 강명신 외 2013  76
25 23 연구윤리 변화된 연구 환경에 적합한 연구윤리 제도로서연구윤리자문 서비스의 제안 / 이은영 외 2018  80
24 23 연구윤리 국책연구기관 연구윤리평가 실태 및 개선방향 / 김병철 2013  84
23 23 연구윤리 한국에서 발간되는 의학저널에서의 이해상충 명시에 대한 현황 / 강보형 2013  85
22 23 연구윤리 황우석 이후 연구진실성 거버넌스의 변화 / 김명심 2015  88
21 23 연구윤리 초등교사의 과학연구윤리 의식과 과학전람회 지도 과정에서 과학연구윤리 준수 실태 조사 / 남경선 2017  104
20 23 연구윤리 국가 R&D 과제의 생명의학연구윤리 관리체계 구축 방안 / 장성미 2014  136
19 23 연구윤리 연구윤리의 윤리학적 고찰과 확산 방안 / 김항인 2007  136
18 23 연구윤리 과학기술분야 출연연구기관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개선방안 제안 / 윤국원, 강선준 2018  138
17 23 연구윤리 국내 의학·수의학 학술지에 실린 영어논문의 연구출판윤리 / 구영모 2016  152
16 23 연구윤리 외국의 사례에서 본 ‘책임있는 연구와 혁신(RRI)’ 개념의 생명윤리적 기원에 관한 연구 / 이준석 2016  157
15 23 연구윤리 IRB와 구술사 연구윤리 : 한민족다문화 협력적 구술생애사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 Park, Christian Joon 2016  166
14 23 연구윤리 우리나라 의학논문출판윤리에서 이해상충의 관리에 관한 고찰/박진선, 최병인 2015  170
13 23 연구윤리 연구대상자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고찰 / 박경태, 최병인 2014  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