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016667 
사회행동과학 연구에서 속이기 기법 

= Deception in Social-Behavioral Research

  • 저자[authors] 장원경(Chang, Won Kyung),송지연(Song, Jiyeo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생명윤리정책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9No.3[2016]
  • 발행처[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23-24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6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510
  • 주제어[descriptor] 속이기,속임수,기만,사후설명,사회행동과학,사회심리학,연구윤리,생명윤리,Deception,Debriefing,Social-Behavioral Research,Social Psychology,Research Ethics,Bioethics

초록[abstracts] 
[본 논문의 목적은 사회행동과학 분야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는 속이기 기법의 구체적인 윤리성 확보 방안에 대한 논의의 기초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사회행동과학 분야 연구에서 속이기 기법의 윤리성이 논의의 쟁점이 된 적은 없었으나, 실제로 속이기 기법을 사용한 연구는 꾸준히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허용 가능한 속이기 기법의 유형 및 적절한 속이기 기법 사용의 절차 등에 대한 논의가 미흡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연구의 윤리성 확보 방안은 전적으로 연구자 개인의 판단에 맡겨져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의 윤리적 타당성을 확보하고, 최근에 전부 개정된「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시행으로 사회행동과학 연구에 의무화된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심의의 객관적인 기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속이기 기법의 구체적인 윤리성 확보 방안에 대한 논의는 필수적이다. 이제까지 속이기 기법 사용의 윤리성에 대한 논의는 미국의 심리학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는데, 1960년대 심리학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중 속이기 기법을 사용한 연구의 수가 많아지자 속이기 기법의 윤리성이 쟁점이 되었고 그 이후 속이기 기법 사용의 윤리적인 기준 및 적절한 사후설명의 방식 등이 논의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사회행동과학 연구에서 사용되는 속이기 기법의 윤리성에 관한 미국에서의 논의를 소개하고, 이러한 논의에 기초하여 속이기 기법 사용의 일반적인 윤리 기준, 속이기 기법 사용의 윤리적 허용 가능성 판단의 구체적인 기준, 적절한 사후설명의 목적 및 방식 등을 검토하였다. 속이기 기법의 사용은 연구대상자 보호와 관련된 다른 여러 가지 쟁점과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속이기 기법 자체의 특성뿐만 아니라 연구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한 속이기 기법 사용의 구체적인 허용 가능성 판단 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s of discussion to establish an ethical foundation for the use of deception in social-behavioral research. While the ethics of deceit in Korean social-behavioral studies have not been an issue in the past, research that utilizes techniques of deception has been steadily published over the years. However, due to the lack of discussion concerning acceptable types of techniques and proper procedures to deceive study participants, the ethicality of such research is entirely left to the judgment of the individual researcher. Therefore, a discussion that addresses the ethics of using deception in research is necessary to provide a secure and ethical basis for research, and to make objective criteria for the review of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set up as an authority over social-behavioral research under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United States-based research psychologists have been leading the debate on the ethics of using deception in social-behavioral research. In the 1960s, the number of studies employing techniques of deception published in American psychological journals increased sharply, resulting in the questions of ethical considerations of study participants. Researchers then actively discussed ethical standards and appropriate debriefing procedures related to using deception in social-behavioral studies. This study introduces the ethicality of techniques of deception in social-behavioral research that are being discussed in the United States. In particular, this study reviews the general ethical standards of allowing the use of deception, specified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ethical acceptability of the techniques of deception, and the relevant purpose and method of debriefing after deception has been utilized. Ethical questions regarding the use of deception can become more acute in combination with other issues regarding the protection of study participants, such as privacy and confidentialit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development of detailed standards for judging the ethical acceptability of deception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echniques of deception itself, as well as other aspects of the nature of research.]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I. 머리말  II. 속이기 기법 사용의 윤리성에 관한 미국에서의 논쟁  III. 속이기 기법 사용의 일반적인 윤리 기준  IV. 속이기 기법 사용의 윤리적 허용 가능성 판단의 구체적인 기준  V. 속이기 기법 사용 후 사후설명의 목적 및 방식  VI.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2 23 연구윤리 황우석 이후 연구진실성 거버넌스의 변화 / 김명심 2015  88
31 23 연구윤리 연구윤리제도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미국을 중심으로 / 이송호, 정일환 2018  70
30 23 연구윤리 임상심리 설문지 연구와 관련된 연구윤리 및 법규들 / 문성원 2019  268
29 23 연구윤리 연구 윤리와 위반사례 예시 / 윤영훈 2018  2150
28 23 연구윤리 과학기술분야 출연연구기관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개선방안 제안 / 윤국원, 강선준 2018  138
27 23 연구윤리 의료기관의 개인정보 중요도와 활용도에 대한 IPA 분석 / 김성훈 2019  218
26 23 연구윤리 연구윤리와 연구부정행위에 관한 교육 / 송동수 2018  66
25 23 연구윤리 국내 의학·수의학 학술지에 실린 영어논문의 연구출판윤리 / 구영모 2016  152
24 23 연구윤리 “황우석” 관련 논문의 언어 네트워크 분석 / 김만재 외 2016  52
23 23 연구윤리 한국에서 발간되는 의학저널에서의 이해상충 명시에 대한 현황 / 강보형 2013  85
22 23 연구윤리 줄기세포 연구자의 연구 윤리 일반에 관한 인식 및 절차 / 최은경 외 2008  58
21 23 연구윤리 연구윤리의 윤리학적 고찰과 확산 방안 / 김항인 2007  137
» 23 연구윤리 사회행동과학 연구에서 속이기 기법 / 장원경 외 2016  192
19 23 연구윤리 국책연구기관 연구윤리평가 실태 및 개선방향 / 김병철 2013  84
18 23 연구윤리 연구 관련 이해상충에 대한 법정책적 문제와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김은애 2018  342
17 23 연구윤리 연구의 성과와 연구윤리/ 정재우 2018  69
16 23 연구윤리 상담자의 질적 연구 윤리로서의 윤리적 주체-되기 / 김소연 2018  201
15 23 연구윤리 변화된 연구 환경에 적합한 연구윤리 제도로서연구윤리자문 서비스의 제안 / 이은영 외 2018  80
14 23 연구윤리 새로운 의료시술의 도입과 임상적용 시의 윤리적 절차 / 강명신 외 2013  76
13 23 연구윤리 바이오뱅크 분야의 연구데이터 관리 및 서비스 동향에 관한 연구 / 박미영 외 2017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