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8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임상의과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440250 

조현병 신약개발에 사용되는 동물 실험에 대한 임상의의 고찰


= Lost in translation: clinician reflections on the pharmacological assays for drug development in schizophrenia



  • 저자[authors] : 염선영
  • 발행사항 : 서울 :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 형태사항[Description] : 42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Note] : 참고문헌 수록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 학위논문(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임상의과학과 2014. 2
  • DDC[DDC] : 610 22
  • 발행국(발행지)[Country] :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 2014
  • 주제어 : 조현병,신약개발,동물실험,정신과 약물,schizophrenia,drug development,animal assays,psychopharmacology
  • 소장기관[Holding]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211032)



초록[abstracts]

정신과의사들은 오래도록 조현병 치료제의 혁신을 기다리고 있다. 현존하는 약물들이 환자와 가족의 삶의 고단함을 의미 있게 덜어주었다고 생각되지만 조현병 치료에는 아직 많은 숙제가 남아있다. 임상에서의 필요가 존재하고 조현병에 대한 학문적 이해가 진보하고 있다면 왜 치료제의 혁신이 나오지 못하는 것일까?    조현병을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 중에는 두 극단의 접근 방법이 있다. 실험실에서는 부분을 해체해서 관찰한 다음 다시 조립하면 총체적인 이해를 할 수 있다는 전제에 기반을 둔 환원주의적 접근방식을 취하고 있다. 조현병의 질병 현상 중 작은 부분을 따로 떼어 재현한 후 여러 조작을 통해 부분을 이해하고 이러한 조각을 모으면 궁극적으로 조현병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으리란 생각이다. 반대로 진료실에서는 인간과 질병에 대한 전체론적인 접근을 취한다. 임상의의 입장에서는 증상 한 개 혹은 더 작은 한 증상의 일부분을 열심히 관찰하고 이해해도 다른 부분에서 문제를 일으키면 결국 환자의 삶은 좋아지지 않기 때문이다.    궁극적으로 조현병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치료법을 깨닫기 위해서 지식의 조각을 생산한 다음에 통합해야 할지 처음부터 환자나 질병을 부분으로 분리 가능하지 않은 통합체로 보고 접근해야 할지에 대한 정답은 아직 모른다. 그러나 양극에서 발전시킨 지식을 서로 이해하면 상호보완적으로 발전해나갈 수 있을지도 모른다. 이러한 이해를 위한 첫 걸음으로 임상의의 입장에서 조현병 동물 실험을 이해해보고자 한다.


목차[Table of content]
초   록 2
목   차 4
그림 목록 6
I. 서론 7
II. 동물 행동과학 12
III. 조현병 양성 증상 15
 1. 임상 현상 15
 2. 동물 실험 19
  2.1 Sensorimotor gating test 19
  2.2 Locomotor Assay 23
IV. 조현병 음성 증상 26
 1. 임상 현상 26
 2. 동물 실험 28
V. 새로운 실험 동물 31
VI. 향후 발전을 위한 제안 32
 1. 제안 1. 복합 모델 32
 2. 제안 2. Convergent Operations 33
 3. 제안 3. Repositioning 34
참고 문헌 36
Abstract 3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8 22 동물복지 우리나라 동물실험절차에 대한 법제의 검토- 미국과의 비교를 통한 기준의 적정성을 중심으로 - / 백경희, 강병우 2018  185
37 22 동물복지 초중고 학생을 위한 실험동물윤리와 동물실험의 이해/이병한 2013  189
36 22 동물복지 웹기반 동물실험종합관리시스템의 활용/유병천 2015  192
35 22 동물복지 가축 전염병으로 인한 가축 살처분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 박종무 2019  201
34 22 동물복지 [여성의 눈으로 세상 읽기] 동물실험, 동물학대/백일주 2015  230
33 22 동물복지 공학윤리와 동물이용연구/김성한 2008  234
32 22 동물복지 생명존중문화를 위한 국내 동물실험윤리의 한계와 전망/박창길 2016  250
31 22 동물복지 ‘바이오레인(BIOREIN)’ - 실험동물자원 개발을 위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구상 / 황수진 2015  256
30 22 동물복지 도축되는 한우 혈액에서 회수한 혈청의 생물학적 안전성 분석 / 김민수 외 2012  272
» 22 동물복지 조현병 신약개발에 사용되는 동물 실험에 대한 임상의의 고찰 / 염선영 2014  278
28 22 동물복지 동물보호법개정논의에 즈음한 비교법적 고찰 / 김수진 2006  280
27 22 동물복지 뉴질랜드 동물복지법과 대형유인원 프로젝트 : 대형유인원의 법적 지위와 문제점 / 유선봉 2011  289
26 22 동물복지 안자극 평가를 위한 동물시험법과 동물대체시험법의 경제성평가 : 화장품 분야에 대한 Cost Analysis / 이민영 2016  305
25 22 동물복지 반려동물 의료체계의 문제점 및 제도개선 방안/ 박주연 외 2017  358
24 22 동물복지 동물해방과 인간에 대한 존중(Ⅰ)/문성학 2016  363
23 22 동물복지 동물실험과 심의 / 김명식 2007  374
22 22 동물복지 동물실험윤리의 과학적 접근 및 동물대체시험법 / 임경민 2017  384
21 22 동물복지 동물관련 법제의 입법과정에 관한 일고찰: 지각적 존재(sentient beings)와 업(業, karma)을 기준으로/조원용 2016  390
20 22 동물복지 EU에서 동물복지와 실험동물 보호에 관한 연구 : EU화장품동물실험금지규정을 중심으로/이형석, 김정기 2018  415
19 22 동물복지 동물윤리와 과학적 창의성 사이의 정합적 관계 : 동물행동학을 중심으로 / 하대청 2009  4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