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0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청주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2009. 8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738590 

    중국의 안락사 입법을 위한 형법적 연구 = A Study on Euthanasia for an Enactment in China from the Perspective of Criminal Law


    • 저자

      자오디

    • 형태사항

      iii, 171 p. ; 26cm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청주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2009. 8

    • 발행국

      충청북도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9

    • 주제어

      안락사중국의 안락사안락사 입법생명권자기결정권치료중단


    • 초록 (Abstract)
      • In 1980s Euthanasia was known by Chinese people in pace with reform and opening. In June, 1988 the first Euthanasia case in Hanzhong city, Shaanxi province of China triggered a heated discussion on Euthanasia in society. In 1994 a seminar of the second national academic research on Euthanasia and Hospice was opened in Shanghai. In March, 1996 a proposal for Euthanasia is drawn up in the 4th meeting of the 8th NPC. In 2003 Chinese Academy of Engineering Academician, famous neurosurgery specialist, Wang Zhongcheng and other representatives tabled a proposal during the NPC that Beijing takes the lead to try out Euthanasia and later with its experience try Euthanasia widely. Though Euthanasia cannot be legalized in China until today, discussion, research and practice have already been started. By now, the Euthanasia legalization of the Netherlands, the Karen Ann Quinlan case of the United States, the Boramae hospital case of South Korea, the doctor ethic manual made by Korean Doctor Association and so on become a turning point that not only medical circle, law circle and academic circle but also common nations concentrate on Euthanasia. It may be a good chance to reach an social agreement on the discussion of Euthanasia. Therefore, this master's thesis takes aim at making a proposal for the future enactment of Euthanasia by comparing various Euthanasia laws in world, especially South Korean legislation.

        This master's thesis consists of 7 chapters which are based on the comparative point of view with regard to the future enactment of Euthanasia in China. In chapter 1 both the method of this research, that is, a comparative legal research method, and the range of this research are presented. In chapter 2, for the next research for Euthanasia enactment from the comparative point of view, various concepts of Euthanasia are presented and a distinct one is determined. By inspection on the related judicial precedent and legislation trend in each country (chapter 3), Euthanasia allowable conditions in aspects of criminal law (chapter 4). In the following step (chapter 5), my thesis presents the direction how to treat the Euthanasia problem between life and death, especially according to the 4 types of Euthanasia. In chapter 6, finally my thesis is trying to propose the Chinese Euthanasia legislation model which is composed of strict factors based on Chinese national conditions to legalizes Euthanasia in limited areas. 
        〈Key Words〉 : euthanasia, euthanasia in China, legislative of euthanasia, right of life, right of self-decision, treatment brea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45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 하명옥 2010  340
451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관련 요인과 죽음준비의 관계 : 예비노인과 베이비부머의 비교 / 정순둘, 김수현, 구미정 2014  340
450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김한솔, 염동문, 장유미 2019  340
44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고찰 / 정화성 2017  339
448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2017  337
447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가 보완대체요법을 선택한 이유 / 김경운 2011  336
446 20 죽음과 죽어감 연구논문 : 연명치료중단의 허용성과 법제화에 대한 고찰 / 김성규 2014  334
445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지시에 의한 연명치료의 중단에 관한 연구 / 강명구 2012  334
444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준비교육프로그램이 요양병원간호사의 죽음불안, 죽음에 대한 태도,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효과/추은영 2019  334
443 20 죽음과 죽어감 연구논문 : 임종기 진료결정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말기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 권복규, 배현아 2011  333
44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환자 가족을 위한 지지적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이태연, 권윤희 2014  332
441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역사 / 김창곤 2019  330
440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치료중단과 환자의 자기결정권 / 김혁돈 2006  329
439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환자의 영적 간호 방안 : 호스피스 병동을 중심으로 / 이은정 2012  326
438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상급종합병원 의료인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식비교 / 박정아, 정덕유 2013  325
437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설은미, 고진강 2015  325
43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의료 환경에서 수행되는 음악치료 현황과 관련 의료인의 인식 조사 연구 / 정지연 외 2016  325
435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 가족의 연명의료 결정에 대한 의사결정 갈등, 치료결정 후회와 심리적 스트레스 / 전보민 2016  324
434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도덕성 논쟁 1998  323
433 20 죽음과 죽어감 사회복지사의 임종케어 제공의향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과 미국 비교연구 중심으로/권성애, 박용순, 석말숙 2015  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