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안락사에 대한 태도분석

20 죽음과 죽어감 조회 수 134 추천 수 0 2017.09.22 14:24:50
발행년 : 200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602681 

안락사에 대한 태도분석
 :  전공의와 사법연수생의 비교 = An Analysis of Attitudes on Euthanasia between Residents and Judicial Apprentices


  • 저자명

    손명세 ,이경환 ,강희철 ,유종호 ,권오병 ,김경곤

  • 학술지명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 권호사항

    Vol.26 No.6 [2005]

  • 발행처

    대한가정의학회(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 발행처 URL

    http://www.kafm.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5-24(10쪽)

  • 언어

    -

  • 발행년도

    2005년

  • KDC

    597

  • 등재정보

    KCI등재

  • KCI 피인용횟수

    5

  • 주제어

    적극적 안락사 ,소극적 안락사 ,안락사

  • 제공처

    한국연구재단 한국연구재단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Abstract)
    • Background: Recently, the legal and ethical issues relative to euthanasia are becoming controversial in Korea. This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the differences of the attitudes on euthanasia between judicial apprentices and residents. Methods: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the 35th-group of the judicial apprentices on March 24, 2004, and on the residents from April 2 to May 22, 2004. The respondents were 636 in total consisting of 460 judicial apprentices and 176 residents.Results: Of the total 636 subjects, 373 (81.1%) of the judicial apprentices and 149 (84.7%) of residents agreed that allowing euthanasia is moral, without an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e number of residents was greater (59 people, 33.5%) than that of judicial apprentices (112 people, 24.4%) who agreed with active euthanasia (P〈0.05). Among the total, 397 (86.3%) of the judicial apprentices and 160 (91.4%) of the residents answered that the law for euthanasia was necessary, without an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ut, among these supporters, the respondents who agreed on active euthanasi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number between judicial apprentices (n=93, 23.4%) and residents (n=54, 33.8%) (P〈0.05). Conclusion: This study did not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necessity of the law for euthanasia, but the rate of agreement on active euthanasia was higher in residents group than in judicial apprentices group.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7
192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에 존엄사를 위한 존엄치료의 역할 / 김유숙 2017  136
191 20 죽음과 죽어감 치료중단행위에 대한 의료형법적 고찰 : 의학적 충고에 반한 퇴원 사례를 중심으로 / 조인호 2008  135
19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 교육 프로그램이 일반 성인의 호스피스 인식, 죽음에 대한 태도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 최금희 외 2018  135
»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태도분석 2005  134
188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에게 적용한 사전의료의향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강보람 2016  133
187 20 죽음과 죽어감 생애 말 연명의료에 대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식: 내용 분석 연구 / 고진강 2017  133
186 20 죽음과 죽어감 사망 관련 비용(Cost of Dying)에 대한 경제적 분석 - 과잉 진료와 삶의 질을 중심으로 - 1) / 안영 외 2017  133
185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인의 사망과 임상 위험요인과의 관계: 지역 코호트 연구 / 강영미 외 2017  133
184 20 죽음과 죽어감 영상미디어에 나타난 죽음의 이미지와 교육적 대안 2010  132
183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과 신학적 윤리 / 이창호 2019  132
18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와 철학 상담 / 정영기 외 2017  131
181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사회와 죽음교육의 사회학 / 서이종 2016  131
180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치매태도와 중증치매 완화의료에 대한 지식과 태도 / 김지혜 2018  131
179 20 죽음과 죽어감 흥행영화와 죽음 : 2000년대 전반기 한국 흥행영화에서 드러나는 죽음의 의미작용 / 서곡숙 2009  131
178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에 대한 연구 : 연명 치료 중단을 중심으로 / 김태성 2009  130
177 20 죽음과 죽어감 레비나스의 죽음론에 관한 한 연구 / 김연숙 2019  130
176 20 죽음과 죽어감 비교법적 해석을 통한 자기결정권의 재고 : 존엄사를 중심으로 / 김태일 2012  129
175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에 대한 명상과 수면 수행 / 이강옥 2014  129
174 20 죽음과 죽어감 현행법상 존엄사의 허용요건과 과제 / 주호노 2018  128
173 20 죽음과 죽어감 벨기에 법에서의 질병과 삶의 종말 / 이브앙리르뢰 2015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