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동국대학교 : 생사문화학과 2017. 8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75031 

불교의 생명윤리에서 본 연명의료중단결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etermina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observed on Buddhist bioethics


  • 저자

    장준호(법상정사)

  • 형태사항

    ⅴ, 97장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이종림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동국대학교 : 생사문화학과 2017. 8

  • DDC

    393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주제어

    불교생사관윤리관연명의료중단결정


  • 초록 (Abstract)
    • 현대 사회에서 불치의 병으로 시달리는 환자들의 고통, 죽음에 문턱에 서 있는 말기환자들의 고통, 이런 환자를 케어 하고 있는 가족들의 정신적, 육체적, 경제적 부담은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심각한 문제이다. 불교계에서는 생명 존중의 입장을 굳게 지키고 있으며, 이를 기초나 근본으로 하여 연명의료중단결정 허용에 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업과 연기의 측면에서 자기결정에 의한 죽음 인정의 가능성도 있다는 것과 재가불자의 설문을 통하여 어쩌면 영원한 대립이 되는 양자를 통합시킬 가능성도 있다. 본 연구는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이 2016년 2월 3일에 제정됨에 따라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불교인들을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연명의료에 대한 지식수준을 파악하여 연명의료에 대한 불교계의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K도내 재가불자들의 연명의료에 대한 인식 조사를 2016년 10월 ∼ 2017년 1월까지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은 K도내 재가불자들 157명으로 임의표본추출조사로 설문지 면담조사를 실시 한 결과 연명의료에 대한 인식 조사로는 ‘연명의료(76.4%)’, ‘사전연명의료의향서(58.5%)’, ‘대리인 지정은 배우자(43.9%)’ 등 대부분이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특수연명의료’ 내용 중 ‘심폐소생술(82.2%)’, ‘신장혈액투석(72%)’, ‘인공호흡기 착용(78.4%)’, ‘고단위 항생제투여(54.1%)’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도 대부분의 재가불자들이 알고 있다는 통계가 나왔다. 재가불자들의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생각으로는 반대가 찬성보다 많았으며, 말기 상황일 경우 계속 의료에 대한 질문에는 대부분 ‘아니오(36.9%)’라고 응답하였으며,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교육은 대부분 받기를 ‘원한다(52.2%)’로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K도에 거주하는 재가불자들은 대부분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통계 자료를 보아도 재가불자들의 연명의료중단에 대해 지지하는 여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불교계는 연명의료중단을 수용할 수 없는 입장이며, 연명의료중단 허용 가능하다는 입장을 전제로 전향적으로 연명의료중단에 관해 논의해야 할 것이다. 연명의료중단 허용에 관한 논의에 있어서 자기결정권과 생명존중의 양립의 관점 그리고 불살생계의 의미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환자와 더불어 주변의 있는 의사, 가족들의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며, 원칙 속에 흐르는 생명의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구체적인 조건 제시가 필요하다. 이러한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조건은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하는 과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고 필요한 것이며, 불교적인 관점을 바탕으로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어: 불교, 생사관, 윤리관, 연명의료중단결정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552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의 성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건강증진실천행위 연관성 분석 : 경기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2017  97
551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2017  335
550 20 죽음과 죽어감 농촌노인의 자살시도경험 / 정명희 2017  197
54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결정에서 의학적 무의미함에 대한 연구 2015  105
» 20 죽음과 죽어감 불교의 생명윤리에서 본 연명의료중단결정에 관한 연구 2017  243
54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2017  284
546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연명의료중단결정에 관한 형사법적 연구 : 연명의료결정법을 중심으로/조경혜 2017  169
545 20 죽음과 죽어감 불교의 생사관에서 본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연구 2017  59
544 20 죽음과 죽어감 중국의 안락사 입법을 위한 형법적 연구 2009  209
54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현실적 고찰 : 한국적 상황에 맞는 대안 모색 / 길연수 2005  426
542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윤리학적 고찰 / 조병필 2005  556
54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 박영선 2009  166
540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의 인식조사 / 류영신 2002  1014
539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형법적 고찰/문정희 2006  227
53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형법적 허용한계 : 치료중단과 적극적 살해에 의한 안락사를 중심으로/이강민 2003  1309
53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 / 심세화 2017  77
536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 양인국 2017  69
535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내 프로그램 코디네이터의 사별돌봄을 위한 음악 활용 인식 / 김지수 2017  64
534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외 연명의료결정법안 도입 과정에 대한 비교 연구 / 김주은 2017  67
53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 소아청소년을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 / 이경은 2017  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