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41748 

노인 만성심장질환자의 좋은죽음에 대한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 Perceived Well Dying,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 in Older Patients with Chronic Heart Disease

                                        

  • 저자

    황연희                                       

  • 형태사항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황선영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 임상간호학과 2017.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소장기관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초록 (Abstract)
    • 국문초록 과학과 의학 기술의 발달에 따른 평균 수명과 만성질환의 유병율이 증가하고 연명치료나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연명치료 중단과 관련된 사전의료의향서에 ...
  • 국문초록 과학과 의학 기술의 발달에 따른 평균 수명과 만성질환의 유병율이 증가하고 연명치료나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연명치료 중단과 관련된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개념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 만성심장질환자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관계를 확인하여 말기심질환 대상의 사전의료의향서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소재 1000병상 규모의 종합병원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하는 65세 이상 노인 만성심장질환자 12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7년2월부터 4월까지였으며, 연구 도구는 Schwartz 등(2003)이 개발한 좋은 죽음 인식 척도(The Concept Of Good Death Measure)를 정현숙(2010)이 수정 보완한 도구와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도구는 홍선우와 김신미(2013)가 개발한 도구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는 Nolan과 Bruder(1997)가 만들어 2003년에 수정 및 보완한 Advance Directive Attitude Scale(ADAS)을 이혜림(2012)이 번역한 도구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프로그램을 이용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 편차를 구하였고, t-test와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cient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연령은 평균 72.2±4.8세로, 총 121명의 대상자 중 65∼75세 100명(82.6%)가 많았고, 성별은 ‘남자’가 109명(90.1%),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이상’ 91명(75.2%)이었다. 결혼상태는 ‘기혼’이 108명(89.3%), 종교는 ‘없음’ 83명(68.6%)으로 절반이상이었으며, 거주형태는 ‘부부만 거주’ 93명(76.9%), 직업은 ‘없음’이 101명(83.5%)으로 많았고, 주관적 건강상태는 ‘중’이하가 112(92.6%), 경제상태는 ‘중’이 113(93.4%), 의료비 부담은 ‘본인 및 배우자’ 56명(46.3%), ‘본인과 자녀’ 53명(43.8%)이었으며, 가족의 죽음을 경험한 것에 대해서는 ‘있음’ 72명(59.5%)이 많았다. 좋은죽음에 대한 정보나 교육 경험에 대해서는 ‘있음’ 69명(57.0%), ‘없음’ 52명(43.0%)이었으며,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정보나 교육을 받은 경험에 대해서는 ‘없음’ 90명(74.4%)이었다. 2) 대상자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총점 53.74±3.75이었으며, 대상자들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은 ‘기계적인 도움 없이 자연스럽게 사망하는 것’이었다. 3) 대상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점수는 총 9점 만점에 6.84±2.02, 정답률은 76%로 높았다. 가장 높은 정답률을 보인 것은 ‘사전의료의향서는 의사결정 능력이 있을 때 작성해 두는 것이다’이었다. 4) 대상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는 평균 45.91±2.93점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 문항은 ‘사전의료의향서는 나의 가족이 내야하는 값 비싼 의료비를 막아줄 것(3.90±0.35점)’, ‘나의 가족이나 친구는 내가 의사 결정 능력이 없을 때, 나를 위해 치료 결정을 잘 해줄 것이라 믿는 것(3.70±0.67점)순이었고, 부정적인 태도를 보인 문항은 ‘나의 가족은 내가 사전의료의향서를 작성하길 바라는 것(1.52±0.60점)’, ‘사전의료의향서는 나의 가족이 나를 돌보는 것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을 할 것(1.68±0.52점)’, ‘나는 가족이 내가 사전의사결정을 해 놓길 바란다고 생각한다(1.77±0.65점)’순이었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좋은죽음에 대한 인식, 사전의료의향서 지식 및 태도의 차이 분석 결과 좋은죽음에 대한 인식에서는 종교가 있을 때, 의료비 부담자가 본인인 경우, 가족 죽음 경험 있는 경우, 좋은 죽음에 대한 정보나 교육경험이 있을 때,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정보나 교육경험이 있을 때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에서는 연령이 낮을수록,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주관적 경제상태가 높을수록, 의료비부담이 본인인 경우, 좋은 죽음에 대한 정보나 교육경험이 있을 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그리고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서는 종교가 있을 때,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정보나 교육경험이 있을 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6) 연구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 사전의료의향서 지식, 태도의 상관관계에서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점수가 높아 긍정적으로 나타나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7) 회귀분석 결과 좋은죽음에 대한 정보나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좋은죽음 인식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경우가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노인 만성심장질환자의 좋은죽음에 대한 인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었으며, 좋은죽음에 대한 인식이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만성심장질환자들은 질환과 관련하여 지속적인 관리 및 치료 외에도 품위있는 죽음에 대한 준비가 사전에 있어야한다. 따라서 말기 심장질환으로 가기 전 노인 심장질환자 대상의 좋은 죽음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홍보와 인식 확산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Key word : 노인, 심장질환, 죽음, 사전의료의향서, 지식, 태도
  •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초록 ⅳ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용어의 정의 4
  • Ⅱ. 문헌고찰 6
  • 1. 좋은죽음에 대한 인식 6
  • 2.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8
  • Ⅲ. 연구방법 13
  • 1. 연구설계 13
  • 2. 연구대상자 13
  • 3. 연구도구 13
  • 4. 자료수집방법 및 절차 15
  • 5. 윤리적 고려 15
  • 6. 자료분석방법 16
  • Ⅳ. 연구 결과 17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7
  • 2. 대상자의 좋은죽음에 대한 인식 19
  • 3. 대상자의 좋은죽음에 대한 하위 항목별 인식 21
  • 4. 대상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22
  • 5. 대상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25
  •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좋은죽음에 대한 인식,
  •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의 차이 28
  • 7. 대상자의 좋은죽음에 대한 인식, 사전의료의향서 지식,
  • 태도와의 상관 관계 33
  • 8. 대상자의 좋은죽음에 대한 인식이
  • 사전의료의향서 지식에 미치는 영향 34
  • 9. 대상자의 좋은죽음에 대한 인식이
  • 사전의료의향서 태도에 미치는 영향 36
  • Ⅴ. 논의 38
  • Ⅵ. 결론 및 제언 44
  • 참고문헌 46
  • 부록 54
  • ABSTRACT 67
  • 감사의 글 69
  • 연구윤리서약서 7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52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연명치료 중단관련 특성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노인환자의 태도 / 정승윤, 이해정, 이성화 2014  163
25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있어서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연구 / 이석배, 이원상 2010  163
250 20 죽음과 죽어감 핀란드 자살예방프로젝트에 대한 평가와 함의 / 티모파르토넨 2018  163
249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사결정의 속성-생전유언을 중심으로 / 김신미 2010  162
24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연구 / 강진아 2010  162
247 20 죽음과 죽어감 가정 호스피스 활동에서의 본당 공동체의 역할 / 이종경 2002  162
246 20 죽음과 죽어감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 신진영 외 2017  161
245 20 죽음과 죽어감 치매 노인 사망 장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임은옥 2016  161
244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기준과 사상과 양심의 자유 / 유호종 2007  160
243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법에 대한 법·제도적 연구 / 선은애 2016  160
242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기관 종사자의 호스피스 인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조정숙 2018  160
241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 관련 법안에 대한 검토 / 김종일 2016  159
240 20 죽음과 죽어감 성숙한 죽음문화의 모색 : 소극적 안락사의 3가지 대안 / 오진탁 2006  158
239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후기 말기 암 환자의 정서적·영적 돌봄을 위한 의미요법 CD 프로그램 개발 /강경아 외 2009  158
»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만성심장질환자의 좋은죽음에 대한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 황연희 2017  156
237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 이금주 2017  156
236 20 죽음과 죽어감 장애인 환자의 연명의료결정 시 자기결정권 존중과 의사결정 조력 / 유수정,박소연 2017  156
23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생사학적 비판 / 오진탁 2017  156
234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현황 및 종사자들의 인식 조사 / 조현 2017  154
23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관련 판례 분석 / 박송이 2018  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