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309492 
의사무능력자를 대신하는 의료결정을 개선할 방안은 없는가?
= Is it possible to improve the decision-making for mentally incapacitated patients? : A case for Independent Patient Advocacy

                               

  • 저자명

    김상구(Kim, Sang Gu), 이일학(Lee, II-Hak)                                               

  • 학술지명

    한국의료법학회지                           

  • 권호사항

    Vol.25 No.1 [2017]                                                         

  • 발행처

    한국의료법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17-132(1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주)누리미디어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Abstract)
    • 정신적으로 의사결정에 장애가 있는 성인의 권리를 보호하고 그들 자신의 신상에 관한 문제나 또는 의료행위에 있어 스스로 의사결정 할 수 있게 도울 수 있도록 민법이 개정되었다. 그리고...
  • 정신적으로 의사결정에 장애가 있는 성인의 권리를 보호하고 그들 자신의 신상에 관한 문제나 또는 의료행위에 있어 스스로 의사결정 할 수 있게 도울 수 있도록 민법이 개정되었다. 그리고 2018. 2. 시행예정인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은 그간 연명의료를 둘러싼 사회적 논란을 해결할 주요한 수단으로 기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법상의 성년후견제도나,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을 통해서도 후견인을 정하지도 않고, 가족이나 친지가 없는 무연고자가 연명의료에 대해 결정이 필요할 때 이 두 법률은 실질적인 해답을 주지 못함에 여전히 문제가 지적되어오고 있다. 영국법은 우리나라 민법과 같이 성년후견에 관한 제도를 갖고 있으면서도 의사결정에 장애가 있는 환자를 위해 독립적으로 환자의 권익을 대변하고, 환자의 의사결정을 도울 수 있는 독립환자정신능력대변제도(IMCA)를 두고 있어 우리 법제에 대한 시사점이 있다. 이하 본 연구에서는 영국 정신능력법상 IMCA의 특징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의 도입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초록 (Abstract)
    • In Korea, there is a legal equipment to ensure the right of the mentally incapacitated adult and to help them to make their own decision on their affairs and medical treatment through civil law. And the law on hospice relief medical care and end-of-li...
  • In Korea, there is a legal equipment to ensure the right of the mentally incapacitated adult and to help them to make their own decision on their affairs and medical treatment through civil law. And the law on hospice relief medical care and end-of-life care decision making will be enforced from 2018 and will work as a key method to settle the social dispute about decis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t is expected to help the patient and his or her family and the medical doctors making decision. But, there still exist a problem in the decision making for the vulnerable group, as to who will support or represent them. When it comes to the English legal system, they have a independent mental capacity advocate under the Mental capacity act 2007. The Act places a statutory duty on local authorities to ensure that people who are considered to lack capacity and have no appropriate family or friends to consult, have access to an Independent Mental Capacity Advocate (an IMCA) when a decision is being made mostly about providing, withdrawing or stopping serious medical treatment and change in the person’s accommodation. What is important thing to learn from England’s experience is that we can introduce the similar legal framework for the protection of the mentally incapacitated adult for their best interest. So, the problems of domestic adult guardianship are supplemented and for those who don"t have a family member or a relative can be represented the best interests of the individual.
    This paper will examine and study the features of IMCA under the MCA and introduce the way so as to support and represent the mentally incapacitated adult.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들어가며
  • Ⅱ. 한국에서 의사무능력자의 의학적 결정
  • Ⅲ. 영국의 독립정신능력대변인(IMCA) 제도
  • Ⅳ. 한국형 의사결정 지원제도의 가능성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92 20 죽음과 죽어감 DNR 결정 환자에 대한 간호사의 간호활동 변화 / 이지윤,장재인 2017  211
591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현황 및 종사자들의 인식 조사 / 조현 2017  154
590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의 기도 경험 / 박순복,이원희,오경환 2017  379
589 20 죽음과 죽어감 소위 「연명의료결정법」의 주요 내용과 현실적용에서 쟁점과 과제 / 이석배 2017  64
588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의미와 결정에 관한 법윤리적 고찰 / 김학태 2017  124
587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호스피스완화의료정책 / 김창곤 2017  400
586 20 죽음과 죽어감 치매와 유언능력의 판단/김현진 2017  145
585 20 죽음과 죽어감 종교유무에 따른 한국인의 ‘연명의료’ 결정과 태도에 관한 융합연구 2017  63
584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 통합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전미숙 2017  614
58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임종희 2017  258
582 20 죽음과 죽어감 End-of-Life Care in Taiwan from the Perspectives of Asian Bioethics / Michael Cheng tek Tai 2017  53
58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연명의료중단 / 장병주 2017  745
58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과 향후 과제 / 선종수 2017  253
57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임상윤리서비스 / 이일학 2017  71
57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입법평론 / 홍완식 2017  96
57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 및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철학적 토대 모색 / 권미연 2017  60
57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 환자를 통해 보는 한국적 사생학 구축을 위한 연구 / 지영임 2017  73
»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무능력자를 대신하는 의료결정을 개선할 방안은 없는가? / 김상구 2017  66
574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의 제정과 과제 / 김장한 2017  56
573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과 구별되는 생명을 연장할 권리 / 허완중 2017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