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790999 
호스피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ospice Care

                                       

  • 저자

    권구선                                       

  • 형태사항

    vi, 167 p. ; 26cm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호서대학교 행정대학원 : 실버산업학과 2012. 2

  • 발행국

    충청남도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2

  • 주제어

    호스피스                                                                                                                                                                             

  • 소장기관

    • 호서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호서대학교 중앙도서관(천안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초록 (Abstract)
    • 이 연구는 말기환자 및 퇴행성 질환, 에이즈 환자를 포함한 호스피스 대상자들과 가족들에게 삶의 질을 높이고자 가정에서 호스피스 케어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전제하에 우리나라 재가복지...
  • 이 연구는 말기환자 및 퇴행성 질환, 에이즈 환자를 포함한 호스피스 대상자들과 가족들에게 삶의 질을 높이고자 가정에서 호스피스 케어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전제하에 우리나라 재가복지의 한 부분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호스피스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호스피스 활동은 체계적으로 실시되고 있지 않고 아직까지 가정 호스피스의 활동이 미비하지만 앞으로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체계적인 호스피스 활동이 확립될 수 있도록 기대하면서 가정 호스피스 제도의 정착에 일익을 담당하고자 실시하게 되었다. 이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호스피스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임종을 맞이하고 있는 호스피스 대상자의 요구에 대한 폭을 넓히고자 한다. 둘째 가정 호스피스 프로그램 활용과 임종환자들에게 양질의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방향을 모색하고 재가복지의 도움이 되고자 한다. 셋째 호스피스의 유형 중 가정 호스피스가 재가에서 적용되어 활용할 수 있도록 가정 호스피스 활성화를 위한 호스피스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6
  • 제2장 호스피스의 이론적 고찰 9
  • 제1절 호스피스의 정의 10
  • 제2절 호스피스의 목표와 철학 14
  • 1. 품위있는 죽음의 현실 14
  • 2. 호스피스 운동의 필요성 16
  • 3. 호스피스 운동의 철학적 기초 16
  • 4. 호스피스 운동과 완화의학 18
  • 제3절 호스피스의 활동내용 20
  • 1. 호스피스의 활동 구성 21
  • (1) 대상자 21
  • (2) 장 소 22
  • (3) 구성요원 24
  • 2. 호스피스팀의 역할 24
  • (1) 호스피스 행정가 또는 조정자
  • (Hospice Administrator or Coordinator) 25
  • (2) 의사(Physician) 26
  • (3) 호스피스 간호사(Nurse) 26
  • (4) 사회사업가 27
  • (5) 성직자 28
  • 제4절 호스피스 유형별 프로그램 운영 및 전달체계 29
  • 1. 호스피스 유형 29
  • (1) 병동형 호스피스 30
  • (2) 시설 호스피스(Autonomous Organizations) 31
  • (3) 가정 호스피스(Hospice Home care) 31
  • (4) 산재형 호스피스
  • (Hospice Associated with a Hospital) 32
  • 2. 유형별 프로그램 운영방식 32
  • (1) 병원 호스피스
  • (Palliative Care Units in Hospital) 33
  • (2) 병원 내 독립형 호스피스
  • (Freestanding Hospice within a Hospital) 34
  • (3) 산재 호스피스
  • (Hospice Associated with a Hospital) 34
  • (4) 가정 호스피스(Hospice Home Care) 35
  • 3. 호스피스 전달체계 37
  • 제5절 가정 호스피스 40
  • 1. 가정 호스피스의 개념 40
  • 2. 가정 호스피스의 필요성 42
  • (1) 가정 호스피스의 요구증대 42
  • (2) 재가를 통한 가정 호스피스 44
  • (3) 품위있는 죽음 46
  • 가. 호스피스 선택권 47
  • 나. 대상자 및 가족의 삶의 질 49
  • 3. 가정 호스피스의 실태 51
  • 제6절 산재형 호스피스 53
  • 1. 주인과 손님이 서로 돌보는 것 53
  • 2. 간호사 등의 팀간호 56
  • 제3장 국내외 호스피스 제도 운영실태 및 비교 58
  • 제1절 호스피스의 시작 58
  • 1. 호스피스기관 현황 60
  • (1) 설립시기 60
  • (2) 호스피스기관의 형태 60
  • (3) 호스피스 대상자 61
  • (4) 서비스 제공인력 61
  • (5) 호스피스기관의 재정 62
  • 2. 한국 호스피스의 문제점과 대책 63
  • (1) 호스피스에 대한 보험급여 63
  • (2) 호스피스법 64
  • (3) 의사들의 참여와 호스피스 교육 65
  • (4) 호스피스 연계체계 67
  • (5) 호스피스에 대한 대중의 인식 69
  • (6) 소 결 69
  • 제2절 호스피스ㆍ완화의료 제도화 방안 71
  • 1. 국내 호스피스제도 운영실태 77
  • (1) 호스피스실태 77
  • (2) 운영방식 79
  • (3) 가정·시설 호스피스 81
  • 2. 외국의 호스피스 제도 운영실태 82
  • (1) 미 국 83
  • 가. 호스피스실태 84
  • 나. 운영방식 86
  • 다. 가정·시설 호스피스 88
  • (2) 영 국 88
  • 가. 호스피스실태 89
  • 나. 운영방식 89
  • 다. 가정·시설 호스피스 91
  • (3) 대 만 92
  • 가. 호스피스 사업도입 시기와 근거 92
  • 나. 인력과 시설기준 92
  • (4) 일 본 93
  • 가. 호스피스실태 94
  • 나. 운영방식 95
  • 다. 가정·시설 호스피스 96
  • (5) 호 주 97
  • 3. 국내외 호스피스 제도 운영실태 비교 99
  • (1) 호스피스운영의 특징과 시사점 99
  • (2) 소 결 100
  • 제4장 완화의료를 통한 가정 호스피스 활성화 방안 103
  • 제1절 가정 호스피스의 문제점 103
  • 1. 가정 호스피스 사업의 재가복지적 측면 104
  • 2. 가정 호스피스 사업의 사회적 측면 106
  • 3. 가정 호스피스 사업의 보건전달체계 측면 107
  • 제2절 가정 호스피스 활성화 방안 109
  • 1. 가정 호스피스 프로그램 강화 109
  • (1) 호스피스의 교육과 홍보활용 109
  • (2) 가정 호스피스 전문가 양성 110
  • 2. 가정 호스피스의 지원 확대 111
  • (1) 가정 호스피스의 보급 및 활성화 111
  • 3. 가정 호스피스 관리체계 구축 114
  • (1) 호스피스센터 설립 114
  • (2) 전달체계 확립 115
  • (3) 가정 호스피스를 위한 재정 지원 117
  • 4. 호스피스 간호 위탁사업의 필요성 118
  • 제3절 호스피스·완화의료제도화 필요성 및 방향 119
  • 1. 호스피스 전문 간호사제도 도입 120
  • 2. 호스피스 제도화 방안 122
  • (1)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선택 보장과
  • 조기 의뢰체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12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제도 도입이 말기암환자의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박설희 2017  106
411 20 죽음과 죽어감 생애 말 연명의료에 대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식: 내용 분석 연구 / 고진강 2017  133
410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과 구별되는 생명을 연장할 권리 / 허완중 2017  67
409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의 제정과 과제 / 김장한 2017  56
408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무능력자를 대신하는 의료결정을 개선할 방안은 없는가? / 김상구 2017  66
407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 환자를 통해 보는 한국적 사생학 구축을 위한 연구 / 지영임 2017  73
40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 및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철학적 토대 모색 / 권미연 2017  60
40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이재석 2016  96
404 20 죽음과 죽어감 일 지역사회 보건직 근무자의 호스피스 완화 케어 관련 인식조사 / 김미라 2010  67
403 20 죽음과 죽어감 가정 호스피스 활동에서의 본당 공동체의 역할 / 이종경 2002  162
40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임봉자 2008  5258
»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권구선 2012  304
400 20 죽음과 죽어감 병동형 호스피스 대상자를 위한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최성은 2005  892
39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말기 암 진실 통고 경험 / 강희정 2016  193
398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ㆍ보호자와 의료인들의 호스피스에 관한 인지도 연구 / 심규미 2000  73
39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환자의 가족보호자가 지각하는 미충족 요구와 돌봄 부담감 / 이지현 2016  146
39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죽음불안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명희 2008  230
39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이명희 2006  44
394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가족의 슬픔 적응 경험 : 지역사회 호스피스 간호를 받은 가족을 중심으로 / 두현정 2008  1058
39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환자의 영적 간호 방안 : 호스피스 병동을 중심으로 / 이은정 2012  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