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168699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말기 암 진실 통고 경험

= Experience Receiving Bad News about Terminal Cancer of Hospice Patient's Family Members

                                           

  • 저자

    강희정                                       

  • 형태사항

    vi, 87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부록 수록
    지도교수: 김분한
    권두 국문요지, 권말 Abstract 수록
    참고문헌: p. 73-7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 호스피스간호 전공 2016.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 주제어

    간호학                                                                                                                                                                            

  • 소장기관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초록 (Abstract)
    • . 본 연구는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말기 암 진실 통고 경험을 있는 현상 그대로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 임상 현장에서 질적인 ...
  • 본 연구는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말기 암 진실 통고 경험을 있는 현상 그대로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 임상 현장에서 질적인 간호를 제공하고, 호스피스 환자 및 가족의 삶의 질을 높이며, 사별 가족 간호에 도움을 주기 위한 간호중재 방안의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 공공기관 일 병원 호스피스센터에 입원한 호스피스 환자 중 돌봄에 있어서 일차적 책임을 갖는 말기 암환자의 가족으로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8명의 가족이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6년 6월 8일부터 6월 15일까지로 가족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얻어낸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면담 소요시간은 한 사람 당 약 20분∼60분 정도로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1978)가 제시한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46개의 주제(theme)를 정하였고 주제 가운데 통합할 수 있는 것을 모아 32개의 주제모음(theme cluster)과 12개의 범주(category)로 구성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범주 1 <전하지 못하는 진실>은 3가지 주제모음 ‘차마 알리지 못함’, ‘여명기간을 길게 왜곡’, ‘가족 모두가 알지 못하는 진실’로 구성되었다. 범주 2 <직면한 죽음 앞에서의 부정적 정서>는 7가지 주제모음 ‘진실통고를 받아들이기 어려움’, ‘회피하고 싶은 진실’, ‘과거에 대한 아쉬움과 후회’, ‘가족의 죄책감과 미안함’, ‘가족의 의사결정의 부담감’, ‘예측되는 죽음 앞의 두려움’, ‘말할 수 없는 충격’으로 구성되었다. 범주 3 <가족의 아쉬운 마음>은 2가지 주제모음 ‘환자의 생에 대한 가족의 미련’, ‘의료진을 통한 임종 대비의 욕구’로 구성되었다. 범주 4 <가족의 책임감과 의무감>은 1가지 주제모음 ‘죽음보다 일처리’로 구성되었다. 범주 5 <인간과 상황을 원망>은 3가지 주제모음 ‘상황에 대한 원망’, ‘환자의 결정을 원망’, ‘의료진을 원망’으로 구성되었다. 범주 6 <의료진에 감사>는 1가지 주제모음 ‘진실통고에 대한 감사와 위로’로 구성되었다. 범주 7 <준비된 품위있는 죽음>은 4가지 주제모음 ‘호스피스케어의 선택’, ‘아름다운 죽음 준비’, ‘환자의 결정을 존중함’, ‘가족의 열린 관계성’으로 구성되었다. 범주 8 <직면하는 죽음>은 2가지 주제모음 ‘간접적 죽음을 알아차림’, ‘죽음직감’으로 구성되었다. 범주 9 <가족에게 무시당하는 죽음>은 1가지 주제모음 ‘환자 혼자 맞이하는 죽음’으로 구성되었다. 범주 10 <가족중심의 죽음>은 2가지 주제모음 ‘가족이 원하는 죽음’, ‘가족이 환자의 죽음을 주장함’으로 구성되었다. 범주 11 <재구성되는 죽음과 삶의 가치>는 5가지 주제모음 ‘재정의되는 죽음’, ‘시간의 소중함’, ‘의미있는 시간의 간절함’, ‘삶의 변화’, ‘환자마음을 헤아림’, 으로 구성되었다. 범주 12 <종교에 의지>는 1가지 주제모음 ‘종교적으로 도움을 받음’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호스피스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한 연구 중 말기 암 진실 통고의 가족 경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으로 호스피스 환자의 말기 암 진실 통고 시 가족의 개인적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말기 암 환자와 가족의 전인적 돌봄을 위한 진실통고와 관련된 지속적인 의료진 교육과 환자 및 가족의 요구를 파악 할 수 있는 상담과 교육, 정보제공이 필요하며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말기 암 진실통고 경험 이후 호스피스로의 입원생활, 그리고 사별 후 삶까지 가족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ⅳ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4
  • 3. 연구 문제 4
  • 4. 용어 정의 5
  • Ⅱ. 문헌고찰 6
  • 1. 우리나라 말기 암 환자 현황 6
  • 2. 진실통고 경험 9
  • 1) 환자 입장 9
  • 2) 가족 입장 11
  • Ⅲ. 연구 방법 14
  • 1. 연구 설계 14
  • 2. 연구 대상 14
  • 3. 자료수집 방법 15
  • 4. 연구의 윤리적 고려 16
  • 5. 연구자의 준비 17
  • 6. 자료 분석 방법 18
  • 7.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20
  • Ⅳ. 연구 결과 22
  • 1. 참여자의 일반적인 특성 22
  • 2. 분석결과 24
  • Ⅴ. 논의 55
  • Ⅵ. 결론 및 제언 70
  • 참고 문헌 73
  • 부 록 79
  • ABSTRACT 82
  • 감사의 글 85
  • 연구윤리서약서(국문, 영문) 8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92 20 죽음과 죽어감 농촌노인의 자살시도경험 / 정명희 2017  198
291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박남주 2019  198
29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행위의 중단에 관한 윤리적 고찰(서울서부지방법원 민사 제12부의 2008년 11월 28일 판결을 중심으로)/이동익 2009  195
289 20 죽음과 죽어감 상급종합병원근무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미치는 영향요인 -장기기증·이식의 지식 및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및 인식- / 제남주 외 2018  194
»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말기 암 진실 통고 경험 / 강희정 2016  193
287 20 죽음과 죽어감 일본의 자살예방 대책 / 정진욱 2018  192
286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 호스피스ㆍ완화의료의 정책 / 장윤정 2018  192
285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과실소송에 있어서 환자의 증명책임의 완화에 관한 연구 / 전진용 2010  191
284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대한 한국 중년층의 인식유형과 특성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 신선호 2014  191
283 20 죽음과 죽어감 공법분야 투고논문 : 연명 중단의 고려 시점에 대한 분석 / 김필수 2013  190
282 20 죽음과 죽어감 연구논문(硏究論文) : 무의미한 연명의료의 중단과 존엄사의 제 문제/문성체 2009  188
28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에 대한 노인 환자와 보호자 간 인식 및 태도 비교 / 황혜영 2016  186
280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의 구성 요건: 의료인을 중심으로 2012  185
279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한 노인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용식 2017  185
27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태도 분석 : 전공의와 사법연수생의 비교 / 유종호 2005  184
277 20 죽음과 죽어감 영화를 활용한 웰빙 및 웰다잉교육의 통합적 접근 / 최용성 2016  184
27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가 말기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박주연 2016  183
27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임종돌봄태도, 의사소통능력, 소진이 봉사활동 지속성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이인숙 2015  183
274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의 합법화 / 김선택 2018  183
273 20 죽음과 죽어감 중국 농촌의 자살 현상에 관한 의료인류학적 분석 / 이현정 2013  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