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0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시민윤리학회보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5237531 
안락사에 대한 가톨릭 생명윤리의 관점
= The Catholic Perspective on Euthanasia

                                    

  • 저자명

    이상목                                               

  • 학술지명

    한국시민윤리학회보                           

  • 권호사항

    Vol.18 No.1 [2005]                                                            

  • 발행처

    한국시민윤리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1-39(19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5년

  • KDC

    194                                                                                     

  •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안락사에 관한 가톨릭의 입장을 고찰하였다. 현실적으로 우리나라 병원의 임상 현장에서는 회복 불가능한 환자에 대해 치료 중단이라는 소극적인 의미의 안락사가 이루어지고 ...
  • 본 연구는 안락사에 관한 가톨릭의 입장을 고찰하였다. 현실적으로 우리나라 병원의 임상 현장에서는 회복 불가능한 환자에 대해 치료 중단이라는 소극적인 의미의 안락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것은 형법에 어긋나는 행위로 처벌을 받는다. 대한의사협회는 회복이 불가능한 환자에게 치료를 중단하는 소극적 안락사의 허용을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가톨릭과 기독교 단체에서는 안락사는 적극적이든 소극적이든 명백한 살인행위로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안락사에 대해 찬성하는 사람들과 반대하는 사람들이 서로 상대방의 입장에 대한 정확한 이해 없이 논쟁만을 한다면 안락사 문제에 대한 해법은 찾을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안락사에 대한 찬성 입장과 반대 입장을 분명하게 고찰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락사에 대해 가장 강력한 반대 입장을 제시한 가톨릭의 관점을 살펴보았다. 가톨릭이 안락사 문제에 대해 어떠한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는가를 명확하게 고찰하여 봄으로써 안락사에 대한 해법의 방향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가톨릭에서 생명윤리의 문제에 접근하는 독특한 방식은 자연법과 권위 있는 교회의 가르침(teaching)을 통해서이다. 가톨릭은 온갖 노력에도 죽음을 회피할 수 없다면 불필요한 생명연장 노력으로 고통을 더 가중시키는 일을 양심 안에서 거부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또한 특별하거나 또는 부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지 않는 치료 중단은 안락사와 다르다고 본다. 즉, 생명의 연장 밖에 보장하지 못하는 치료행위는 거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가톨릭의 입장과 대한의사협회의 회복 불가능한 환자에 대한 치료중지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가톨릭이 안락사는 적극적이든 소극적이든 명백한 살인행위로 규정하고 있지만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의 혼란일 뿐이지 대한의사협회의 의사윤리지침안의 내용과 큰 차이는 없다. 따라서 가톨릭이 말하고 있는 ‘과도한 의학적 치료의 중단’과 의협에서 말하고 있는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논의가 있다고 한다면 소극적인 의미의 안락사 허용에 대한 문제를 풀어갈 수 있는 길은 있다고 본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들어가는 말
  • II. 가톨릭의 생명윤리 접근방법
  • III. 가톨릭 생명윤리의 원칙
  • IV. 가톨릭의 생명관
  • V. 안락사의 윤리
  • 1. 안락사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규정
  • 2. 안락사에 대한 가톨릭의 개념규정
  • 3. 생명의 존엄성 위배
  • 4. 고통의 의미
  • 5. 균형 잡힌 치료
  • 6. 안락사의 대안으로서 호스피스
  • VI. 맺음 말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가톨릭 생명윤리의 관점 / 이상목 2005  663
371 20 죽음과 죽어감 치료중단과 의사의 형사책임에 관한 고찰 / 장승일 2008  124
370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 윤리적 관점에서 생명과 죽게 내버려둠의 문제 / 이재성 2011  178
369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에 대한 연구 : 연명 치료 중단을 중심으로 / 김태성 2009  130
368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질과 안락사, 기독교적 의료 윤리의 관점 / 정유석 2000  660
367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과 호스피스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연구 / 이현주 2003  350
36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가 보완대체요법을 선택한 이유 / 김경운 2011  336
365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 금지(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갈등 / 김현아 2011  3773
364 20 죽음과 죽어감 품위 있는 죽음과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태도 / 윤영호 2004  232
363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호스피스완화의료정책 / 김창곤 2017  400
362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의미와 결정에 관한 법윤리적 고찰 / 김학태 2017  124
361 20 죽음과 죽어감 소위 「연명의료결정법」의 주요 내용과 현실적용에서 쟁점과 과제 / 이석배 2017  64
360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의 기도 경험 / 박순복,이원희,오경환 2017  379
359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현황 및 종사자들의 인식 조사 / 조현 2017  154
358 20 죽음과 죽어감 DNR 결정 환자에 대한 간호사의 간호활동 변화 / 이지윤,장재인 2017  211
357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의 제정과 과제 / 박형욱 2017  136
356 20 죽음과 죽어감 노년기에 관한 생명윤리적 성찰 / 정재우 2017  99
355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법에 대한 법·제도적 연구 / 선은애 2016  160
354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적 죽음 이해와 죽음 교육에 대한 목회적 고찰 / 김영계 2016  303
35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존엄사, 연명의료 중단, 그리고 장애인 / 조한진 2016  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