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0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기독교사회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3155111 
삶의 질과 안락사, 기독교적 의료 윤리의 관점

                      

  • 저자명

    정유석                                               

  • 학술지명

    기독교사회윤리                           

  • 권호사항

    Vol.3 No.- [2000]                                                           

  • 발행처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Korean Christian Social Ethics Society)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15-128(1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0년

  • KDC

    230.1

  • 초록 (Abstract)
    • 안락사란 '치유될 수 없는 상황이나 질병으로 커다란 고통이나 어려움을 안고 있는 사람을 아무런 고통을 주지 않고 죽여주는 행위나 관행'으로 정의한다. 죽음에 이르기 위하여 어떤 행위...
  • 안락사란 '치유될 수 없는 상황이나 질병으로 커다란 고통이나 어려움을 안고 있는 사람을 아무런 고통을 주지 않고 죽여주는 행위나 관행'으로 정의한다. 죽음에 이르기 위하여 어떤 행위를 적극적으로 행하는 경우를 수동적 안락사라 한다. 안락사는 환자의 동의여부에 따라서 구분하기도 하는데, 환자 스스로의 자율적 결정에 의하여 안락사가 시행된 경우를 자의적 안락사, 본인의 의사에 반하여 죽음을 반자의적 죽음이라 한다.
    전통적 기독교 윤리의 관점은 생명을 보존해야 하는 자연법적 의무에 근거하여 원칙적으로 모든 형태의 안락사에 반대한다. 하지만 이 원칙은 언제나 확고한 것만은 아니어서 가망이 없는 환자의 생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무의미한 치료를 계속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는 않는다. 만일 가망 없는 환자의 생명을 다소 연장시키기 위하여 특별한 치료가 요구되는 경우라면 환자의 질병이나 상해의 결과로 자연사하도록 내버려 두는 것을 허용한다. 즉, 성경적 의료윤리의 관점은 능동적 안락사와 반자의적 안락사에는 반대하지만 자의적-수동적 안락사는 허용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비자의적 안락사는 자신의 의사표시를 분명히 할 수 없는 식물인간 상태로 몇 년이고 특별한 생명유지장치에 의존하여 목숨을 연장하고 있는 환자에게 의사나 그 가족이 환자의 '최선의 이익'이라는 관점에서 생명유지장치를 제거 혹은 시술을 포기하는 경우로 무의미한 생명연장보다는 설득력이 있다. 하지만, 이 경우는 환자의 이익이 아니라 제 삼자의 이익 때문에 안락사 시술이 남용될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따라서 매우 선별적으로 시행되어야 하며 일종의 필요악으로서 최소한의 문만 열어놓아야 할 것이다. 비자의적 안락사의 남용에 대한 가장 이상적인 대안이 자신의 생명에 대한 유언(living will)이다. 이는 자신이 스스로의 치료에 대한 결정권을 행사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미리 생명에 관한 유언장을 작성하여 놓는 것이다. 현대 의학은 거의 모든 통증을 능히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통증조절법을 발전시켜왔다. 따라서 환자의 고통에 대한 대안은 안락사가 아니라 최대한의 통증조절과 환자의 심적, 정신적 슬픔과 고종을 덜어주려고 애쓰는 호스피스이다. 기독교적 세계관을 가진 훈련된 의사와 성직자, 사회사업가가 한 팀이 되어 적절한 호스피스 진료를 제공할 수 있다면 고통의 대안으로서의 안락사 요구를 설자리를 잃게 될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여는 글
  • Ⅱ.안락사의 개면과 분류
  • 1.능동적 안락사와 수동적 안락사
  • 2.자의적, 반자의적, 비자의적 안락사
  • Ⅲ.일반적 치료와 특수한 치료
  • Ⅳ.자신의 생명에 대한 유언(Living will)
  • Ⅴ.안락사에 대한 윤리적,성경적 고찰
  • 1.공리주의의 관점
  • 2.칸트의 관점
  • 3.기독교적 관점
  • VI.안락사, 치료중단에 관한 성경적 대안
  • VII.닫는 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372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가톨릭 생명윤리의 관점 / 이상목 2005  665
371 20 죽음과 죽어감 치료중단과 의사의 형사책임에 관한 고찰 / 장승일 2008  124
370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 윤리적 관점에서 생명과 죽게 내버려둠의 문제 / 이재성 2011  180
369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에 대한 연구 : 연명 치료 중단을 중심으로 / 김태성 2009  130
»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질과 안락사, 기독교적 의료 윤리의 관점 / 정유석 2000  660
367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과 호스피스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연구 / 이현주 2003  351
36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가 보완대체요법을 선택한 이유 / 김경운 2011  336
365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 금지(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갈등 / 김현아 2011  3790
364 20 죽음과 죽어감 품위 있는 죽음과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태도 / 윤영호 2004  233
363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호스피스완화의료정책 / 김창곤 2017  400
362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의미와 결정에 관한 법윤리적 고찰 / 김학태 2017  124
361 20 죽음과 죽어감 소위 「연명의료결정법」의 주요 내용과 현실적용에서 쟁점과 과제 / 이석배 2017  65
360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의 기도 경험 / 박순복,이원희,오경환 2017  379
359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현황 및 종사자들의 인식 조사 / 조현 2017  154
358 20 죽음과 죽어감 DNR 결정 환자에 대한 간호사의 간호활동 변화 / 이지윤,장재인 2017  211
357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의 제정과 과제 / 박형욱 2017  136
356 20 죽음과 죽어감 노년기에 관한 생명윤리적 성찰 / 정재우 2017  99
355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법에 대한 법·제도적 연구 / 선은애 2016  160
354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적 죽음 이해와 죽음 교육에 대한 목회적 고찰 / 김영계 2016  304
35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존엄사, 연명의료 중단, 그리고 장애인 / 조한진 2016  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