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106566 
말기암환자의 기도 경험
= The Prayer Experiences of Patients with End-Stage Cancer

                                   

  • 저자명

    박순복,이원희,오경환                          

  • 학술지명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권호사항

    Vol.20 No.1 [2017]                                                           

  • 발행처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 발행처 URL

    http://www.hospicecare.co.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6-36(11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초록 (Abstract)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인과 불교인 말기암환자의 기도경험의 의미를 탐색하고 분석하여, 영적간호 중재 방안으로 기도의 활용가능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방법: Y 대학병원에 입원한...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인과 불교인 말기암환자의 기도경험의 의미를 탐색하고 분석하여, 영적간호 중재 방안으로 기도의 활용가능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방법: Y 대학병원에 입원한13명의 말기암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고(기독교 7명, 불교 6명),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Colaizzzi(1978)가 제시한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참여자의 기도경험의 의미는 6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하나님과의 의사소통, 마음 다스리기, 영적성장, 죽음과 사후세계에 대한 인식, 신비한 체험, 다양한 기도 형태. 결론: 참여자들의 기도경험은 자신들이 믿는 종교의 틀 안에서 서술되었다. 기독교인들에게 기도는 하나님과의 의사소통이었고, 불교인들에게는 스스로의 마음을 다스리는 것이었다. 그들이 믿고 있는 종교에 따라 약간의 차이점은 있었지만 기도경험의 의미는 자신들이 해결할 수 없는 절박한 건강문제를 자신이 믿고 있는 하나님 혹은 자신보다 능력이 있는 신을 의지하여 해결하려 하는 절실한 간구였고, 기도를 통해 자신들을 돌아보게 되면서 다른 사람들을 생각하고 기도하는 영적성장을 경험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는 말기암환자들의 기도 경험의 현상에 대한 설명과 함께 기도경험에 대해 보다 폭넓은 지식을 제공하고, 기도가 중요한 대처 방법이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92 20 죽음과 죽어감 DNR 결정 환자에 대한 간호사의 간호활동 변화 / 이지윤,장재인 2017  211
591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현황 및 종사자들의 인식 조사 / 조현 2017  154
»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의 기도 경험 / 박순복,이원희,오경환 2017  379
589 20 죽음과 죽어감 소위 「연명의료결정법」의 주요 내용과 현실적용에서 쟁점과 과제 / 이석배 2017  64
588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의미와 결정에 관한 법윤리적 고찰 / 김학태 2017  124
587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호스피스완화의료정책 / 김창곤 2017  400
586 20 죽음과 죽어감 치매와 유언능력의 판단/김현진 2017  145
585 20 죽음과 죽어감 종교유무에 따른 한국인의 ‘연명의료’ 결정과 태도에 관한 융합연구 2017  63
584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 통합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전미숙 2017  614
58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임종희 2017  258
582 20 죽음과 죽어감 End-of-Life Care in Taiwan from the Perspectives of Asian Bioethics / Michael Cheng tek Tai 2017  53
58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연명의료중단 / 장병주 2017  745
58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과 향후 과제 / 선종수 2017  253
57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임상윤리서비스 / 이일학 2017  71
57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입법평론 / 홍완식 2017  96
57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 및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철학적 토대 모색 / 권미연 2017  60
57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 환자를 통해 보는 한국적 사생학 구축을 위한 연구 / 지영임 2017  73
575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무능력자를 대신하는 의료결정을 개선할 방안은 없는가? / 김상구 2017  66
574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의 제정과 과제 / 김장한 2017  56
573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과 구별되는 생명을 연장할 권리 / 허완중 2017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