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106569 
DNR 결정 환자에 대한 간호사의 간호활동 변화
= Changes of Nursing Activities on Patients with DNR Orders

                                     

  • 저자명

    이지윤,장재인                                       

  • 학술지명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권호사항

    Vol.20 No.1 [2017]                                                           

  • 발행처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 발행처 URL

    http://www.hospicecare.co.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46-57(12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초록 (Abstract)
    • 목적: 본 연구는 DNR이 결정된 후 간호활동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파악하고 각 활동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대상자는 200병상 이상 종합병원 간호사 17...
  • 목적: 본 연구는 DNR이 결정된 후 간호활동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파악하고 각 활동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대상자는 200병상 이상 종합병원 간호사 173명이었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SAS 9.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39개 항목의 간호활동이 증가한 간호사의 수는 평균 60.4명(34.9%), 유지는 102.4명(59.2%), 감소는 10.1명(5.9%)이었다. 활동감소가 가장 많이 나타난 영역은 신체적 영역이 12.6명(7.3%)이고, 영적 영역이 10.8명(6.3%)이었다. 항목별 활동이 가장 많이 감소한 항목은 전체 39개 중 '얼굴세안과 부분목욕 간호를 시행한다(19.7%)'였다. 간호사의 지식, 태도, 실천역량, 업무량과 업무 속도가 각 간호활동 증가여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면 간호사의 지식역량은 전체 39개 항목 중 9개, 태도역량은 2개, 실천역량은 4개, 업무량은 14개, 업무속도는 1개 항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DNR 환자에 대한 간호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DNR 간호활동에 대한 업무지침을 구체화하고, 이에 대한 실무교육을 통해 간호사의 지식역량을 증진시키며, 간호사의 활동을 뒷받침할 수 있는 부서의 지원체계와 업무량 조정 등이 필요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 20 죽음과 죽어감 DNR 결정 환자에 대한 간호사의 간호활동 변화 / 이지윤,장재인 2017  211
591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현황 및 종사자들의 인식 조사 / 조현 2017  154
590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의 기도 경험 / 박순복,이원희,오경환 2017  379
589 20 죽음과 죽어감 소위 「연명의료결정법」의 주요 내용과 현실적용에서 쟁점과 과제 / 이석배 2017  64
588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의미와 결정에 관한 법윤리적 고찰 / 김학태 2017  124
587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호스피스완화의료정책 / 김창곤 2017  400
586 20 죽음과 죽어감 치매와 유언능력의 판단/김현진 2017  145
585 20 죽음과 죽어감 종교유무에 따른 한국인의 ‘연명의료’ 결정과 태도에 관한 융합연구 2017  63
584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 통합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전미숙 2017  614
58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임종희 2017  258
582 20 죽음과 죽어감 End-of-Life Care in Taiwan from the Perspectives of Asian Bioethics / Michael Cheng tek Tai 2017  53
58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연명의료중단 / 장병주 2017  745
58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과 향후 과제 / 선종수 2017  253
57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임상윤리서비스 / 이일학 2017  71
57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입법평론 / 홍완식 2017  96
57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 및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철학적 토대 모색 / 권미연 2017  60
57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 환자를 통해 보는 한국적 사생학 구축을 위한 연구 / 지영임 2017  73
575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무능력자를 대신하는 의료결정을 개선할 방안은 없는가? / 김상구 2017  66
574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의 제정과 과제 / 김장한 2017  56
573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과 구별되는 생명을 연장할 권리 / 허완중 2017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