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저스티스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700846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의 제정과 과제
= Implications of the Hospice, Palliative Care, and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Act

                                  

  • 저자명

    박형욱(Hyoung Wook Park)                                           

  • 학술지명

    저스티스                           

  • 권호사항

    Vol.158-3 No.- [2017]                                                        

  • 발행처

    한국법학원(韓國法學院)                                 

  • 발행처 URL

    http://www.legalcenter.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670-701(32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 초록 (Abstract)
    • 2016년 1월 8일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다. 이 논문의 목적은 환자연명의료결정법 제정의 의의를 밝히고 그 과...
  • 2016년 1월 8일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다. 이 논문의 목적은 환자연명의료결정법 제정의 의의를 밝히고 그 과제를 규명하는 것이다. 다만, 이 논문은 법률 집행을 위한 세세한 사항보다는 이 법률이 갖는 근본적인 의미와 한계가 무엇인지를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동안 우리 사회에서는 연명의료 중단 혹은 환자의 치료거부권과 관련된 세 개의 중요한 대법원 판결이 있었다. 2004년 보라매병원 판결에서 대법원은 관련 의사들을 살인죄의 방조범으로 처벌하였다. 이 판결은 소생가능성이 있는 환자에 대한 것이었지만 법적 처벌을 두려워 한 의사들이 환자 가족의 퇴원 요청을 거절하는 사례가 많아졌다. 2009년 김할머니 판결에서 대법원은 환자가 회복불가능한 사망의 단계에 이르렀다고 판단하고 환자의 의사를 추정하여 인공호흡기를 제거하라고 판결하였다. 2014년 수혈거부 판결에서 대법원은 여호와의 증인인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하여 무수헐 수술을 시행하다 환자를 사망케 한 의사에게 무죄를 선고하였다.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은 제6장 43개의 조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법률은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와 말기환자를 구별하고 전자만 연명의료중단등결정의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둘째, 이 법률은 연명의료계획서와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구별하고 있다. 셋째, 이 법률은 특수연명의료만 연명의료중단등 결정의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한편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은 다음 문제를 갖고 있다. 첫째, 이 법률은 대리인 지정을 규정하지 않아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최대한 실현할 수 있는 수단을 누락하고 있다. 둘째, 이 법률은 환자의 치료거부권의 문제를 정면으로 다루지 못하고 있다. 셋째, 이 법률은 모든 연명의료계획서와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국립연명의료기관에 등록하도록 함으로써 과도한 의료관제화를 도모하고 있다.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의 적절한 시행을 위해서는 하위법령이 합리적으로 제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 법률에 내재해 있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앞으로 이 법률이 개정된다면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치료거부권이라는 핵심적 과제를 제대로 구현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법률에 담겨진 지나친 의료관제화의 모습도 덜어내야 할 것이다.
  •                                                                              
  •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지
  • Ⅰ. 서론
  • Ⅱ. 연명의료중단과 관련된 주요 판결
  • Ⅲ.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의 주요 내용
  • Ⅳ.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과 과제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12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 호스피스ㆍ완화의료의 정책 / 장윤정 2018  192
611 20 죽음과 죽어감 가족 구성에 따른 호스피스 완화의료 말기암환자의 특성/박상미 외 2018  179
610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윤리적 가치관이 심폐소생술금지 태도에 미치는 영향/김미연, 문미영 2018  210
609 20 죽음과 죽어감 생애말기 환자의 커뮤니티 케어에 대한 연구 /김수정 2018  354
608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인의 고유한 죽음에 관한 철학적 연구/ 배용준 2018  416
607 20 죽음과 죽어감 “내가 죽으면”: 초고령화 일본사회에서 생명정치와 죽음윤리 / 김희경 2018  124
606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의 허용을 위한 법정책적 고찰 / 장한철 2018  141
605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복음적 이해와 목회상담적 돌봄방안 / 양병모 2018  76
604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사회 고령자들의 임종에 대한 문화사적 고찰 / 김동조 2018  94
60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와 임종과정에 대한 정의 및 의학적 판단지침 / 이상민, 김수정 외 2018  522
602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근무자의 호스피스 완화돌봄 지식과 인식, 임종돌봄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이 임종돌봄 수행에 미치는 영향 / 박미라, 제남주 2018  175
601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죽음불안 및 죽음준비도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 김명회 2018  247
600 20 죽음과 죽어감 "아동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요구 환아 가족 맞춤형 다감각환경 중재 프로그램" 개발 / 전주영 2018  988
599 20 죽음과 죽어감 중장년층의 자아 통합감과 죽음의 태도에 관한 연구 / 박만자 2018  118
598 20 죽음과 죽어감 마음챙김 명상 기반 죽음교육 커리큘럼 구성에 대한 탐색 / 문현공 2018  97
59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태도 / 이경남, 이현주 2018  250
59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 치료의 결정 / 박소연 2018  1194
595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시기 돌봄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노년기 사전돌봄계획의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 안경진 2017  278
594 20 죽음과 죽어감 노년기에 관한 생명윤리적 성찰 / 정재우 2017  99
»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의 제정과 과제 / 박형욱 2017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