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격주의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654007 
노년기에 관한 생명윤리적 성찰
= A Bioethical Reflection on the Senescence

                              

  • 저자명

    정재우(Jung Jae Woo)                                              

  • 학술지명

    인격주의 생명윤리                           

  • 권호사항

    Vol.7 No.1 [2017]                                                       

  • 발행처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47-70(2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KDC

    190

  • 초록 (Abstract)
    • 이 글은 노년기를 둘러싼 생명윤리 문제를, 특별히 안락사와 연명의료 결정에 중점을 두고 고찰한다. 현대의 안락사는 대개 당사자의 결정에 의한 ‘조력자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조력...
  • 이 글은 노년기를 둘러싼 생명윤리 문제를, 특별히 안락사와 연명의료 결정에 중점을 두고 고찰한다. 현대의 안락사는 대개 당사자의 결정에 의한 ‘조력자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조력자살을 정당화하는 근거로는 종종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환자가 처한 질병과 고통의 상황이 언급되며, 당사자가 처한 고독과 가난의 상황이 종종 조력자살을 결정하는 동기로 작용한다. 그러나 조력자살의 실행에는 당사자의 결정을 실행하는 사람의 결정과 가치판단이 개입되며, 돌봄을 사회적 짐으로 인식하게 하는 사회의 비인간화가 노년을 지내는 사람들을 조력자살로 내몰고 있음이 지적된다. 이 글은, 이에 대한 생명윤리적 전망으로, 살아있음의 의미와 고통의 의미를 성찰하고, 의료행위가 의료진-환자의 상호인격적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것임을 상기하며, 생의 말기에 적절한 돌봄과 배려가 환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연명의료계획서와 호스피스·완화돌봄이 확산될 필요가 있음을 논증한다.
  •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노년기 생명윤리 문제의 몇 가지 요소들
  • Ⅲ. 노년기에 관한 생명윤리적 전망
  • Ⅳ. 결론
  • 참고문헌
  • 초록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12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법제화와 완화의료 / 이지은 2015  100
» 20 죽음과 죽어감 노년기에 관한 생명윤리적 성찰 / 정재우 2017  99
110 20 죽음과 죽어감 도덕적 이슈에 관한 사회적 구성(Social Construction)과 정책과정 분석 - 연명의료결정법 제정 사례를 중심으로 - / 하은희 외 2018  99
109 20 죽음과 죽어감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죽음인식에 대한 태도 / 유은영 외 2017  99
108 20 죽음과 죽어감 사이버보안 특집 : 연명치료의 중단에 대한 형사법적 검토 -대법원 2009.5.21. 선고 2009다17417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2011  98
107 20 죽음과 죽어감 치료거부권, 죽을 권리 및 존엄사에 대한 재검토 / 노동일 2009  98
106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한 죽음의 의미 / 정복례 외 2017  98
105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법제화에 대한 태도 / 김미혜 외 2010  98
104 20 죽음과 죽어감 세계 주요 국가의 연구윤리 관련 법제도 비교 / 아태연구 2013  98
103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이용에 따른 의료이용과 의료비 / 신정원 2019  98
102 20 죽음과 죽어감 이른바 ‘연명의료결정’법의 형사정책적인 의문 / 이경렬 2016  97
101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의 성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건강증진실천행위 연관성 분석 : 경기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2017  97
100 20 죽음과 죽어감 신해철법과 웰다잉법 / 신현호 2016  97
99 20 죽음과 죽어감 마음챙김 명상 기반 죽음교육 커리큘럼 구성에 대한 탐색 / 문현공 2018  97
9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입법평론 / 홍완식 2017  96
9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이재석 2016  96
96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의 개념 및 현황: 한국, 일본, 미국 및 네덜란드를 중심으로 / 정영미 2015  96
95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와 사전의료지시서 / 이재경 2008  95
94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허용 여부에 관한 법철학적 연구/김학태 2008  94
93 20 죽음과 죽어감 Sun-390 : 암환자에서 사전연명의료계획서의 작성과 호스피스 이용 / 김진항 외 2018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