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문사회 21(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575502 
존엄사법에 대한 법·제도적 연구
= A Legal and Institutional Study on the Well-dying Law

                               

  • 저자명

    선은애 ( Seon Eun Ae )                                               

  • 학술지명

    인문사회 21(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 권호사항

    Vol.7 No.6 [2016]                                                            

  • 발행처

    아시아문화학술원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113-1129(17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현재 존엄사와 관련하여 국가차원의 해결방안을 제시하지 못한 채 국회를 통과하여 시행될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에 대한 논...
  • 본 연구는 현재 존엄사와 관련하여 국가차원의 해결방안을 제시하지 못한 채 국회를 통과하여 시행될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에 대한 논의와 법 시행 후 예견되는 문제를 법·제도적 측면에서의 해결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안락사와 존엄사에 대한 기존 선행연구를 토대로 지금까지 우리사회에서 가지고 있었던 문제와 입법화 된 법안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시행될 존엄사법에 대한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존엄사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요건이 충족될 때 연명의료중단 결정이 쉽게 내려지는 등 악용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의료시설에서의 무의미한 연명의료가 아닌 가정내 호스피스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또한 연명의료중단의 대상자에 관하여 노환, 산업재해, 교통사고 등으로 인한 뇌사판정을 받은 법의 사각지대에 있지만 연명의료중단이 필요한 환자들에 대한 법률적 보완이 필요하다. 그리고 부모가 없는 미성년자나 가족이 있어도 서로 왕래가 없는 독거노인에 대한 연명의료중단 결정에 대해 아동에게는 법정후견인의 지정, 독거노인에게는 성년후견인제도의 시행으로 보호·관리의 필요성을 요구된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시행될 존엄사법에서는 법의 악용 없이 환자 스스로 죽음을 결정할 수 있는 자기결정권이 우선되도록 하는 측면에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52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연명치료 중단관련 특성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노인환자의 태도 / 정승윤, 이해정, 이성화 2014  163
25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있어서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연구 / 이석배, 이원상 2010  163
250 20 죽음과 죽어감 핀란드 자살예방프로젝트에 대한 평가와 함의 / 티모파르토넨 2018  163
249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사결정의 속성-생전유언을 중심으로 / 김신미 2010  162
24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연구 / 강진아 2010  162
247 20 죽음과 죽어감 가정 호스피스 활동에서의 본당 공동체의 역할 / 이종경 2002  162
246 20 죽음과 죽어감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 신진영 외 2017  161
245 20 죽음과 죽어감 치매 노인 사망 장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임은옥 2016  161
244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기준과 사상과 양심의 자유 / 유호종 2007  160
»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법에 대한 법·제도적 연구 / 선은애 2016  160
242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기관 종사자의 호스피스 인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조정숙 2018  160
241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 관련 법안에 대한 검토 / 김종일 2016  159
240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후기 말기 암 환자의 정서적·영적 돌봄을 위한 의미요법 CD 프로그램 개발 /강경아 외 2009  158
239 20 죽음과 죽어감 성숙한 죽음문화의 모색 : 소극적 안락사의 3가지 대안 / 오진탁 2006  157
238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만성심장질환자의 좋은죽음에 대한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 황연희 2017  156
237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 이금주 2017  156
236 20 죽음과 죽어감 장애인 환자의 연명의료결정 시 자기결정권 존중과 의사결정 조력 / 유수정,박소연 2017  156
23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생사학적 비판 / 오진탁 2017  156
234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현황 및 종사자들의 인식 조사 / 조현 2017  154
23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관련 판례 분석 / 박송이 2018  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