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0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731904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을 위한 돌봄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The Development & Evaluation of the Caregiving Stress Management Program for Familie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 저자

    이정석                                       

  • 형태사항

    v,180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이숙자
    참고문헌 : p.65-7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간호학전공 2006.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6

초록 (Abstract)

  • 최근 생산성과 효율성에 근거한 지역사회와 가정 중심의 암환자 관리 체계의 변화로 인해, 환자를 돌보는 책임이 의료진에서 가족에게 옮겨감에 따라 가정에서 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의 역...
  • 최근 생산성과 효율성에 근거한 지역사회와 가정 중심의 암환자 관리 체계의 변화로 인해, 환자를 돌보는 책임이 의료진에서 가족에게 옮겨감에 따라 가정에서 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게 되었고 부담은 커졌다. 특히 말기암환자는 질병이 악화됨에 따라 신체적․심리적 측면에서 가족의 도움을 많이 필요로 하는데, 의료와 관련된 전문적 경험이 없는 가족들은 돌봄 과정에서 자신감 저하와 대처 능력 부족으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이로 인해 가족의 우울이 증가되고 삶의 만족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보고된다. 이처럼 돌봄 스트레스는 가족의 신체적 건강과 삶의 질을 위협하고 돌봄 역할을 지속하는데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가족의 돌봄 스트레스를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말기암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한 선행 중재연구들의 경우 가족의 자가 관리와 같은 측면을 포함하지 않고 있어 가족 간호제공자 자신의 신체적,심리적 요구를 다루는데 다소 부족할 뿐 아니라 정보 제공을 통한 지식 증가에 초점을 둠으로써 스트레스 적응의 중요 매개변수인 돌봄 능숙감과 대처 능력을 강화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 간호제공자의 돌봄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심리적 적응을 증진시키고자, 스트레스-대처 모델과 주요 돌봄 스트레스 문제에 대한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을 위한 돌봄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CSMPF)을 개발하고, 개발된 CSMPF가 돌봄 능숙감, 적극적 대처, 지각된 사회적 지지,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였다.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을 위한 돌봄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의 개발은 2005년 5월부터 10월까지 예비 프로그램 작성, 내용 타당도 검정, 최종 프로그램 개발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긍정적 돌봄 인지 평가와 대처 능력 강화를 목적으로 환자의 통증 및 증상관리, 임종간호계획과 의사소통, 사별관리-예견된 슬픔 반응, 자가 관리 등 네 가지 돌봄 스트레스 문제에 대한 교육, 상담 및 지지로 구성된 6주간의 간호중재 프로그램으로 가정방문을 통해 개별적으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서울시 소재 3개 종합병원의 종양내과 및 가정의학과에 방문하는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 주간호제공자를 대상으로 실험군 18명, 대조군 19명을 선정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도구는 가족의 돌봄 능숙감 측정도구, 적극적 대처 측정도구, 지각된 사회적 지지 측정도구, 우울 측정도구, 삶의 만족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5년 12월부터 2006년 4월까지였고, 사전, 사후 조사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실수와 백분율, x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ANCOVA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SMPF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돌봄 능숙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F=4.49, p=.04). 2. CSMPF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적극적 대처 점수가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t=-1.18, p=.25). 3. CSMPF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지각된 사회적 지지 점수가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t=-0.12, p=.90). 4. CSMPF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우울 점수가 낮을 것이다 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t=3.46, p<.001). 5. CSMPF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삶의 만족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t=-2.61, p=.08).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을 위한 돌봄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은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 간호제공자의 돌봄 능숙감 증진 및 우울 감소에 효과적인 간호중재프로그램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을 간호현장에서 활용한다면 말기암환자 가족 간호제공자의 스트레스 완화 및 심리적 적응에 매우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말기암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연구도구는 가족의 돌봄 능숙감 측정도구, 적극적 대처 측정도구, 지각된 사회적 지지 측정도구, 우울 측정도구, 삶의 만족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5년
  • 월부터 2006년 4월까지였고, 사전, 사후 조사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실수와 백분율, x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ANCOVA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 CSMPF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돌봄 능숙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F-4.49, p-.04).
  • 2. CSMPF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적극적 대처 점수가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tp-
  • 3. CSMPF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지각된 사회적 지지 점수가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tp-
  • 4. CSMPF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우울 점수가 낮을 것이다 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t-3.46, p<.001).
  • 목 차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 목적
  • 3. 연구 가설
  • 4. 용어 정의
  • Ⅱ. 문헌고찰
  • 1. 말기암환자 가족의 돌봄 스트레스
  • 2. 말기암환자 가족을 위한 간호중재프로그램
  • Ⅲ. 개념적 기틀
  • Ⅳ. 연구방법
  • 1. 연구설계
  • 2. 연구대상 및 표집
  • 3.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을 위한 돌봄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
  • 4. 연구도구
  • 5.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 6. 자료분석방법
  • Ⅴ. 연구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
  • 3. 가설검정
  • Ⅵ. 논의
  • 1.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을 위한 돌봄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
  • 2. 가설검정
  • 3. 연구의 의의
  • Ⅶ. 결론 및 제언
  • 참고 문헌
  • 부 록
  • 영문 초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52 20 죽음과 죽어감 영화 「씨 인사이드(2004. 스페인)」와 「아무르(2012.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합작)」 그리고 「행복한 엠마, 행복한 돼지 그리고 남자(2006.독일)」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안락사 및 존엄사의 역사 및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 전경화 2016  18715
351 20 죽음과 죽어감 소극적 안락사에 관한 선교신학적 실천 방안에 관한 연구 / 옥필훈 2016  267
350 20 죽음과 죽어감 동물실험 연구자의 정신적 스트레스에 관한 예비 연구 / 모효정 2016  529
349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논의와 「연명의료 중단 법률」의 주요쟁점에 대한 소고 / 이승호 2016  212
34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존엄사, 그리고 웰다잉법 / 맹주만 2016  261
347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시기 돌봄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노년기 사전돌봄계획의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 안경진 2017  278
»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을 위한 돌봄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이정석 2006  419
345 20 죽음과 죽어감 사회복지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및 임종의료결정 도움 경험 등에 관한 비교 연구 -노인요양병원과 장기요양 입소시설을 중심으로 / 한수연 2016  411
344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 시범사업 일당정액제 도입이 재원일수 및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완화의료전문기관을 중심으로 / 신지연 2013  151
343 20 죽음과 죽어감 일 상급 종합병원 의료인의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 지식 및 의뢰 시 장애 요인 / 유민영 2016  242
342 20 죽음과 죽어감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의 전문간호 실무 프로토콜 개발 / 허윤정 2014  444
341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가족의 호스피스·완화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 함혜영 2013  206
340 20 죽음과 죽어감 군보건의료인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과 교육요구도 / 장호영 2016  152
339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화 사회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발전방안 / 이미정 2005  276
338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과실소송에 있어서 환자의 증명책임의 완화에 관한 연구 / 전진용 2010  191
33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병동 간호사의 부서이동 태도 / 권예원 2016  377
33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생존기간 예측을 위한 혈액학적 검사와 완화 의료 예후 지수의 유용성 평가에 대한 전향적 연구 / 손효림 2011  421
335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병동 성인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다학제적 통증 관리에서의 약사의 역할 : 통증 관리와 진통제 사용 적절성 / 금민정 2015  208
33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 :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현황과 발전방향 / 유선희 2014  612
33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연구 / 강진아 2010  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