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3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207883 
말기 암환자가족의 호스피스·완화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 저자

    함혜영                                       

  • 형태사항

    v, 45 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숙남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부산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 간호학과 2013. 8

  • 발행국

    부산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3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말기 암환자가족을 대상으로 호스피스·완화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해, 보건복지부에서 지정한 완화의료전문기관 43개 기관 중 설문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기관�...
  • 본 연구는 말기 암환자가족을 대상으로 호스피스·완화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해, 보건복지부에서 지정한 완화의료전문기관 43개 기관 중 설문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기관의 가족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1년 11월 1일부터 2012년 2월29일까지 이루어졌으며, 14개 기관에서 설문참여에 동의하는 자 210명을 최종자료로 분석하였다.
    호스피스·완화의료서비스 만족도 도구는 NPCRC(National Palliative Care Research Center)에서 개발한 ‘FARMCARE Scale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Tukey test, Cronbach′s alph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대상자의 호스피스·완화의료서비스 만족도는 평균은 4.17점이었다. 요인별 점수에서 제2요인인 ‘정서적, 정보적 만족’이 4.24점으로 가장 높았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완화의료이용 만족도 차이에서는 결혼상태(F=6.283, p=.002)가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호스피스·완화의료 관련 특성에 따른 이용 만족도 차이에서는 치료비부담자(F=3.365, p=.020)와 입원시설유형(t=2.219, p=.030)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국가로부터 지정받은 말기 암환자 전문 의료기관에 입원한 환자의 가족을 대상으로 편의표집 한 자료이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전체 말기 암환자가족에게 일반화할 수 없다는 제한점을 가진다. 그러나 국가지정지관 43개(2011년) 전체를 대상으로 NPCRC(National Palliative Care Research Center)에서 개발하여 타당도가 검증된 ‘FARMCARE Scale'을 한국 상황에 적용하여 조사하였으므로 향후연구 뿐 아니라 실무에서 본 도구의 활용가능성을 제공하는 실증적 연구로서의 가치를 갖는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ⅰ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용어의 정의 3
  • Ⅱ. 문헌고찰 5
  • 1. 호스피스·완화의료서비스 5
  • 2. 말기 암환자 가족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8
  • Ⅲ. 연구방법 12
  • 1. 연구설계 12
  • 2. 연구대상 12
  • 3. 연구도구 12
  • 4.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13
  • 5. 자료분석방법 13
  • Ⅳ. 연구결과 14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호스피스·완화의료관련 특성 14
  • 2. 대상자의 호스피스·완화의료서비스 만족도 18
  •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호스피스·완화의료관련 특성에 따른
  • 가족만족도 차이 20
  • Ⅴ. 논의 23
  • Ⅵ. 결론 및 제언 28
  • 참고문헌 31
  • 부록 36
  • ABSTRACT 44
  • 감사의 글 4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12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적 죽음 이해와 죽음 교육에 대한 목회적 고찰 / 김영계 2016  303
31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법제화의 전제조건에 대한 검토 -세브란스병원사건에 대한 법원 판결의 의미와 시사점- / 이상용 2012  306
310 20 죽음과 죽어감 영화를 통해 본 아름다운 삶의 마무리, 웰다잉 / 김건 2013  310
309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 가족의 죽음에 대한 태도, 말기암환자와 가족의 영적안녕과의 관계 / 안옥희 2019  311
30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철학에서 병원의 가정호스피스화와 에디트 슈타인의 연관성 연구/이은영 2015  314
307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와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소고 / 구자완 2015  314
306 20 죽음과 죽어감 법률·가이드라인·의료 : 일본의 종말기의료의 현단계 / 마치노 사쿠 2014  315
305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연령에 따른 삶의 질 가치와 사전의사결정(Advance Directives)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 / 김정선 2012  318
304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에 대한 연구 / 박종익 2012  318
30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허용범위 제한에 관한 헌법적 검토 / 김현귀 2015  320
302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도덕성 논쟁 1998  320
301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통합적 위기개입모델 다층효과 연구 : 자살생각·우울을 중심으로 / 김은주 , 육성필 2017  320
300 20 죽음과 죽어감 사회복지사의 임종케어 제공의향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과 미국 비교연구 중심으로/권성애, 박용순, 석말숙 2015  321
29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병동 말기 암 환자 및 내과의사의 사전의료지시(서)에 대한 인식 2009  321
298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 가족의 연명의료 결정에 대한 의사결정 갈등, 치료결정 후회와 심리적 스트레스 / 전보민 2016  324
297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상급종합병원 의료인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식비교 / 박정아, 정덕유 2013  325
296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설은미, 고진강 2015  325
29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의료 환경에서 수행되는 음악치료 현황과 관련 의료인의 인식 조사 연구 / 정지연 외 2016  325
294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환자의 영적 간호 방안 : 호스피스 병동을 중심으로 / 이은정 2012  326
293 20 죽음과 죽어감 '부모-자녀 동반자살'을 통해 살펴 본 동아시아 지역의 가족 관념 : 한국, 중국, 일본 사회에 대한 비교문화적 접근 / 이현정 2012  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