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011962 

의료과실소송에 있어서 환자의 증명책임의 완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atients with evidence of mitigating responsibility in Medical Malpractice Suit

                                          

  • 저자

    전진용                                       

  • 형태사항

    v, 83 p. ; 26cm

  • 일반주기

    전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이준영
    참고문헌 : p.80-8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전북대학교 대학원 : 법학(사법) 2010. 2

  • 발행국

    전라북도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0

  • 초록 (Abstract)
    • 의료행위상의 과실을 원인으로 한 의료과실소송은 고도의 전문성, 재량성, 밀실성 등의 특성을 갖기 때문에 일반소송과는 달리 환자가 자신의 손해를 증명하는데 있어 실질적인 어려움이 ...
    • 의료행위상의 과실을 원인으로 한 의료과실소송은 고도의 전문성, 재량성, 밀실성 등의 특성을 갖기 때문에 일반소송과는 달리 환자가 자신의 손해를 증명하는데 있어 실질적인 어려움이 있다. 그렇다고 하여 환자의 권리를 지나치게 보호하면 의료행위의 위축을 가져와 결국 또다시 환자에게 피해가 돌아가게 되고, 반면 의사의 의료행위 보호에 치우치면 환자의 권리에 해를 끼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사의 의료위축 또는 의료회피를 방지하면서 상대적으로 약자의 지위에 놓인 환자의 권리를 보호하고자 제창된 각 이론(증명책임의 전환, 증명책임의 완화, 증명의 방해)들에 관하여 살펴보았고, 특히 그 논의가 비교적 활발한 독일 등 다른 나라의 각 이론들과 판례를 검토·분석하고 이를 비판함으로써 우리의 현실과 비교·고찰하였다.
      의료과실소송은 의학이라는 학문을 배경으로 하는 소송이어서 그 개념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발전적이고 유동적이므로 다른 분야의 분쟁에 비하여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이 이러한 현실적 필요성에 부합하여 의료과실소송의 분쟁해결에 일조하고, 이론적 토대 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내용 2
    • 제2장 증명책임의 전환 4
    • 제1절 서 4
    • 1. 환자측에 유리한 증명책임의 전환 4
    • 2. 전환의 대상으로서의 과실과 인과관계 5
    • 제2절 귀책사유(고의·과실)에 관한 증명책임의 전환 6
    • 1. 의의 6
    • 2. 독일의 학설과 판례 6
    • 가. 학설 7
    • 나. 판례 8
    • 3. 우리나라의 학설과 판례 10
    • 가. 학설 10
    • 나. 판례 12
    • 제3절 인과관계에 관한 증명책임의 전환 13
    • 1. 독일의 판례 13
    • 2. 독일의 학설 14
    • 제4절 소 결 18
    • 제3장 증명책임의 완화 19
    • 제1절 서 19
    • 1. 증명책임의 수정원리 19
    • 2. 증명책임의 완화 개관 21
    • 제2절 개연성설 21
    • 1. 개념 21
    • 2. 연혁 22
    • 3. 개연성설과 의료과실소송 23
    • 4. 개연성설의 증거법상 본질 24
    • 5. 개연성설의 단점과 그 보완이론 28
    • 제3절 일응의 추정 29
    • 1. 의의 29
    • 가. 개념 29
    • 나. 연혁 31
    • 다. 성질 32
    • 2. 적용범위 33
    • 3. 관련 논점의 고찰 34
    • 가. 추정의 대상으로서의 과실 34
    • 나. 일응의 추정과 증명도의 경감 36
    • 다. 정형적 사상경과 38
    • 라. 일응의 추정과 경험칙 40
    • 제4절 간접반증 41
    • 1. 의의 41
    • 2. 기능과 적용 41
    • 3. 의료과실소송에 있어서 증명책임 43
    • 제5절 소 결 45
    • 제4장 증명의 방해 46
    • 제1절 서 46
    • 1. 의료과실소송과 증명의 방해 46
    • 2. 민사소송법의 규정 47
    • 3. 구체적 부담과 논의의 형식 48
    • 제2절 일반론 49
    • 1. 의의와 소송법적 기능 49
    • 2. 증명의 방해 유형 50
    • 가. 독일 판례에 나타난 유형 50
    • 나. 우리 판례에 나타난 유형 53
    • 3. 증명의 방해에 대한 제재의 근거 53
    • 가. 의의 53
    • 나. 근거에 관한 여러 견해 53
    • 제3절 증명의 방해와 의료과실소송 67
    • 1. 의료과실소송에의 적용 67
    • 2. 우리나라 민사소송법에 따른 검토 68
    • 3. 유형에 따른 분석 69
    • 가. 서증에 대한 증명의 방해 69
    • 나. 검증의 목적물에 대한 증명의 방해 72
    • 다. 감정에 있어서 증명의 방해 73
    • 라. 증명의 방해가 치료행위의 연장선상에 있거나 치료행위의 일부가 되는 경우 73
    • 제4절 의료과실소송에 있어서 증명방해의 효과 74
    • 제5절 소결 76
    • 제5장 결 론 77
    • 참고문헌 80
    • Abstract 8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52 20 죽음과 죽어감 영화 「씨 인사이드(2004. 스페인)」와 「아무르(2012.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합작)」 그리고 「행복한 엠마, 행복한 돼지 그리고 남자(2006.독일)」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안락사 및 존엄사의 역사 및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 전경화 2016  18715
    351 20 죽음과 죽어감 소극적 안락사에 관한 선교신학적 실천 방안에 관한 연구 / 옥필훈 2016  267
    350 20 죽음과 죽어감 동물실험 연구자의 정신적 스트레스에 관한 예비 연구 / 모효정 2016  529
    349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논의와 「연명의료 중단 법률」의 주요쟁점에 대한 소고 / 이승호 2016  212
    34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존엄사, 그리고 웰다잉법 / 맹주만 2016  261
    347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시기 돌봄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노년기 사전돌봄계획의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 안경진 2017  278
    346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을 위한 돌봄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이정석 2006  419
    345 20 죽음과 죽어감 사회복지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및 임종의료결정 도움 경험 등에 관한 비교 연구 -노인요양병원과 장기요양 입소시설을 중심으로 / 한수연 2016  411
    344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 시범사업 일당정액제 도입이 재원일수 및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완화의료전문기관을 중심으로 / 신지연 2013  151
    343 20 죽음과 죽어감 일 상급 종합병원 의료인의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 지식 및 의뢰 시 장애 요인 / 유민영 2016  242
    342 20 죽음과 죽어감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의 전문간호 실무 프로토콜 개발 / 허윤정 2014  444
    341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가족의 호스피스·완화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 함혜영 2013  206
    340 20 죽음과 죽어감 군보건의료인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과 교육요구도 / 장호영 2016  152
    339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화 사회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발전방안 / 이미정 2005  276
    »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과실소송에 있어서 환자의 증명책임의 완화에 관한 연구 / 전진용 2010  191
    33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병동 간호사의 부서이동 태도 / 권예원 2016  377
    33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생존기간 예측을 위한 혈액학적 검사와 완화 의료 예후 지수의 유용성 평가에 대한 전향적 연구 / 손효림 2011  421
    335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병동 성인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다학제적 통증 관리에서의 약사의 역할 : 통증 관리와 진통제 사용 적절성 / 금민정 2015  208
    33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 :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현황과 발전방향 / 유선희 2014  612
    33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연구 / 강진아 2010  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