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168716 
호스피스 완화의료병동 간호사의 부서이동 태도 = Attitude of post transfer among hospice unit nurses

                                     

  • 저자

    권예원

  • 형태사항

    45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부록 수록
    지도교수: 김분한
    권두 국문요지, 권말 Abstract 수록
    참고문헌: p. 35-3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 간호학과 호스피스 전공 2016.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초록 (Abstract)

  • 전문화된 간호요구가 대두됨에 따라 간호 인력의 전문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나 간호부서의 근무부서이동은 전문성에 적합한 이동보다는 일방적이고 갑작스럽게 이루어져 전문성을 유지...
  • 전문화된 간호요구가 대두됨에 따라 간호 인력의 전문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나 간호부서의 근무부서이동은 전문성에 적합한 이동보다는 일방적이고 갑작스럽게 이루어져 전문성을 유지하기 어렵게 한다. 특히 호스피스 간호는 죽음이 예견되는 환자와 그의 가족을 대상으로 간호하기 때문에 일반병동과는 다른 가치관과 사명감을 가지고 있어야 함으로 더욱 그렇다. 이에 본 연구는 호스피스 완화의료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부서이동 태도를 파악하여 호스피스전문 간호의 질 향상과 간호부서의 효율적인 인사관리에 도 움을 주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수도권에 소재한 10개 종합병원 내의 산재형 또는 병동형 호 스피스 완화의료기관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하는 간호사 111명을 편의추출 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들은 30대가 39.6%로 가장 많았고, 종교는 64.9%가 가지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병원경력은 7년 이상이 46.8%, 현 부서 경력은 6개월 이상 ~ 1 년 미만, 1년 이상 ~ 3년 미만이 각 35.1%로 가장 많았고, 현 부서에 대한 만 족도는 보통이상이 90.9%로 나타났다. 근무부서이동 경험은 68.5%, 이동 경험 이 있는 경우 타의에 의한 이동 73.7% 였다. 정기적 부서이동의 필요성에 대 한 문항은 73%가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적절한 부서이동 주기로는 3년 이상 ~ 5년 미만 56.8%, 적절한 사전 공지일의 평균은 35.02±19.07일이였다. 2. 근무부서이동 태도의 총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44.72±6.08이며, ‘타부서 에 대한 이해를 증진 시킨다’, ‘다양한 간호경험을 얻는 기회가 된다’, ‘간호의 전문성 확보를 어렵게 한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 특성에서는 정기적 근무부서이동의 필요성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근무부서이동을 원하는 이유에 대한 총점 평균과 표준편차는 38.00±7.55으 로 나타났다. 근무부서이동을 원하는 이유는 ‘잦은 임종으로 인한 두려움과 소 진’, ‘호스피스 팀과의 상호협조 어려움’ 순으로 높았다. 이는 호스피스간호 특 성상 팀 접근 서비스의 중요성과 호스피스전문 간호에서의 의미 있는 결과로 볼 수 있다. 4. 근무부서이동을 원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총점 평균과 표준편차는 34.47±4.50으로, ‘호스피스에서는 특수한 간호의 보람이 있으므로’, ‘현 호스피 스완화병동에 만족함’, ‘호스피스 대상 환자와 가족이 좋아서’순으로 높게 나타 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호스피스간호사는 잦은 임종으로 인한 두려 움과 소진, 호스피스 특성상 팀 접근 간호임에도 호스피스간호에 대한 특수한 보람과 만족감을 얻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가 각 기관의 대표성이 없었으므로 호스피스간호사를 대 상으로 동일한 대표성을 갖는 반복연구를 제언하며, 호스피스간호사의 간호 전문성을 유지하기 위한 특수한 사명감을 현장에서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호스피스 가치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 근무부서이동 인사관리 내규가 재조정됨이 필요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ⅳ
  •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용어 정의 ...................................................................................................................4
  • Ⅱ. 문헌고찰 .........................................................................................................................6 1. 호스피스 완화간호 ..................................................................................................6 2. 부서이동 .....................................................................................................................8
  • Ⅲ. 연구방법 ........................................................................................................................11 1. 연구설계 ....................................................................................................................11 2. 연구대상 ....................................................................................................................11 3. 연구도구 ....................................................................................................................11 4.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12 5. 자료 분석방법 .........................................................................................................13 6. 연구의 제한점 .........................................................................................................13
  • Ⅳ. 연구결과 .......................................................................................................................14 1. 대상자의 특성 .........................................................................................................14 2. 근무부서이동태도 ...................................................................................................18 3.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부서이동 태도 ..............................................................2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52 20 죽음과 죽어감 영화 「씨 인사이드(2004. 스페인)」와 「아무르(2012.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합작)」 그리고 「행복한 엠마, 행복한 돼지 그리고 남자(2006.독일)」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안락사 및 존엄사의 역사 및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 전경화 2016  18715
351 20 죽음과 죽어감 소극적 안락사에 관한 선교신학적 실천 방안에 관한 연구 / 옥필훈 2016  267
350 20 죽음과 죽어감 동물실험 연구자의 정신적 스트레스에 관한 예비 연구 / 모효정 2016  529
349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논의와 「연명의료 중단 법률」의 주요쟁점에 대한 소고 / 이승호 2016  212
34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존엄사, 그리고 웰다잉법 / 맹주만 2016  261
347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시기 돌봄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노년기 사전돌봄계획의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 안경진 2017  278
346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을 위한 돌봄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이정석 2006  419
345 20 죽음과 죽어감 사회복지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및 임종의료결정 도움 경험 등에 관한 비교 연구 -노인요양병원과 장기요양 입소시설을 중심으로 / 한수연 2016  411
344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 시범사업 일당정액제 도입이 재원일수 및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완화의료전문기관을 중심으로 / 신지연 2013  151
343 20 죽음과 죽어감 일 상급 종합병원 의료인의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 지식 및 의뢰 시 장애 요인 / 유민영 2016  242
342 20 죽음과 죽어감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의 전문간호 실무 프로토콜 개발 / 허윤정 2014  444
341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가족의 호스피스·완화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 함혜영 2013  206
340 20 죽음과 죽어감 군보건의료인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과 교육요구도 / 장호영 2016  152
339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화 사회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발전방안 / 이미정 2005  276
338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과실소송에 있어서 환자의 증명책임의 완화에 관한 연구 / 전진용 2010  191
»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병동 간호사의 부서이동 태도 / 권예원 2016  377
33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생존기간 예측을 위한 혈액학적 검사와 완화 의료 예후 지수의 유용성 평가에 대한 전향적 연구 / 손효림 2011  421
335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병동 성인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다학제적 통증 관리에서의 약사의 역할 : 통증 관리와 진통제 사용 적절성 / 금민정 2015  208
33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 :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현황과 발전방향 / 유선희 2014  612
33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연구 / 강진아 2010  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