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1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330625 
말기 암 환자의 생존기간 예측을 위한 혈액학적 검사와 완화 의료 예후 지수의 유용성 평가에 대한 전향적 연구

                             

  • 기타서명

    Survival prediction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Laboratory variables and prospective validation of palliative prognostic index

  • 저자

    손효림                                       

  • 형태사항

    23 p. : 삽도 ; 30 cm.

  • 일반주기

    전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정익주
    참고문헌 : p.19-2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전남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2011. 2

  • DDC

    610 22

  • 발행국

    광주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1

초록 (Abstract)

  • 목적: 말기 암 환자를 진료하는 데 있어서 환자의 생존기간을 예측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로 완화 의료 예후 지수Palliative Prognostic Index (PPI)는 임상적 증상을 이용하여 남은 여생기간을 예측할...
  • 목적: 말기 암 환자를 진료하는 데 있어서 환자의 생존기간을 예측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로 완화 의료 예후 지수Palliative Prognostic Index (PPI)는 임상적 증상을 이용하여 남은 여생기간을 예측할 수 있게 고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말기 암 환자에서 조기 사망 위험도를 높이는 위험 인자를 알아내고, PPI가 생존기간 예측을 위한 예후 인자로서 유용한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 6월부터 2010년 3월까지 말기 암 환자로 완화치료를 목적으로 화순 전남대병원 완화병동에 입원한 239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PPI 점수에 의해 환자는 3 그룹으로 (그룹 1: PPI ≤ 4, 그룹 2: 4 < PPI ≤ 6, 그룹 3: PPI > 6) 분류하였다. 이와 더불어 입원 당시 혈액 검사 소견을 조사하여 단기간 (3주 이내) 생존기간을 분석하였다.
    결과: 그룹 1은 47명으로 평균 생존기간이 50일, 그룹 2는 52명으로 생존기간이 24일, 그룹 3은140명으로 14일 이었다. 그룹 3인 경우 3주 이내 사망률에 대한 민감도는 81.6%, 특이도 66.7%, 양성예측도 72.9%, 음성예측도76.8 % 의 소견을 보였다. 3주 생존율에 대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PPI > 6 (odds ratio 5.2, 95% CI 2.88-9.67)과 빌리루빈 > 1.3 mg/dL (odds ratio 2.0, 95% CI 1.04-3.86) 이었다. PPI > 6인 경우 (AUC=0.7, 95% CI 0.64-0.75)보다 PPI >6에 고빌리루빈혈증을 추가한 경우 (AUC=0.77, 95% CI 0.71-0.83) 생존율을 보다 더 정확히 예측하였다 (p-value < 0.001).
    결론: 임상적 증상으로 비교적 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는 PPI는 단기간 생존기간에 적용할 수 있었다. 고빌리루빈혈증은3주 생존 예측에 독립적인 예후인자로 확인되었고 이들 2개 인자를 통해 말기 암 환자에서 단기간 생존기간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1
  • 서론 3
  • 대상 및 방법 5
  • 결과 7
  • 고찰 9
  • 도표 12
  • 참고문헌 19
  • 영문초록 2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52 20 죽음과 죽어감 영화 「씨 인사이드(2004. 스페인)」와 「아무르(2012.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합작)」 그리고 「행복한 엠마, 행복한 돼지 그리고 남자(2006.독일)」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안락사 및 존엄사의 역사 및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 전경화 2016  18721
351 20 죽음과 죽어감 소극적 안락사에 관한 선교신학적 실천 방안에 관한 연구 / 옥필훈 2016  267
350 20 죽음과 죽어감 동물실험 연구자의 정신적 스트레스에 관한 예비 연구 / 모효정 2016  529
349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논의와 「연명의료 중단 법률」의 주요쟁점에 대한 소고 / 이승호 2016  212
34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존엄사, 그리고 웰다잉법 / 맹주만 2016  268
347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시기 돌봄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노년기 사전돌봄계획의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 안경진 2017  278
346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을 위한 돌봄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이정석 2006  420
345 20 죽음과 죽어감 사회복지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및 임종의료결정 도움 경험 등에 관한 비교 연구 -노인요양병원과 장기요양 입소시설을 중심으로 / 한수연 2016  411
344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 시범사업 일당정액제 도입이 재원일수 및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완화의료전문기관을 중심으로 / 신지연 2013  151
343 20 죽음과 죽어감 일 상급 종합병원 의료인의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 지식 및 의뢰 시 장애 요인 / 유민영 2016  242
342 20 죽음과 죽어감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의 전문간호 실무 프로토콜 개발 / 허윤정 2014  444
341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가족의 호스피스·완화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 함혜영 2013  206
340 20 죽음과 죽어감 군보건의료인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과 교육요구도 / 장호영 2016  152
339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화 사회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발전방안 / 이미정 2005  276
338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과실소송에 있어서 환자의 증명책임의 완화에 관한 연구 / 전진용 2010  191
33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병동 간호사의 부서이동 태도 / 권예원 2016  377
»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생존기간 예측을 위한 혈액학적 검사와 완화 의료 예후 지수의 유용성 평가에 대한 전향적 연구 / 손효림 2011  421
335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병동 성인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다학제적 통증 관리에서의 약사의 역할 : 통증 관리와 진통제 사용 적절성 / 금민정 2015  212
33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 :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현황과 발전방향 / 유선희 2014  612
33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연구 / 강진아 2010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