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928574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연구

                               

  • 저자

    강진아                                       

  • 형태사항

    ix, 97 p.

  • 일반주기

    지도교수: 황규호
    참고문헌: p. 78-8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2010. 2. 졸업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0

초록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을 담당할 교육자들에게 요구되는 자격기준, 역량기준을 도출하고 교육자 교육의 내용을 제안하고자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 교육�...
  • 본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을 담당할 교육자들에게 요구되는 자격기준, 역량기준을 도출하고 교육자 교육의 내용을 제안하고자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 교육에 대한 요구조사를 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첫째,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과 국외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 교육 분석, 국내 임상간호사 교육자 교육관련 연구 검토를 통해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의 역량기준 및 교육내용 기준을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총 98명을 대상으로 교육현황, 교육자가 갖출 역량, 지식, 교육자 교육의 필요성, 교육 내용에 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역량 및 지식과 교육내용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들은 60시간 이상의 교육을 받지 못한 자가 20%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호스피스·완화의료 실무에 필요한 충분한 지식과 기술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인식하는 사람이 많았다.
    둘째,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육자들은 대부분 강의법과 같은 일방향적인 교수방법을 주로 활용하고 있어서 교육방법의 개선을 위한 교육이 요구됨을 보여주었다.
    셋째,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를 위한 자격기준 설정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인 자격기준으로는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성직자 모두 임상경력이 최소 5년 이상, 학력기준으로는 석사이상이 요구됨을 나타내주었다.
    넷째,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에게 요구되는 역량 준거로서 설정한 8가지 역량, 즉 교육대상자에 대한 이해, 호스피스 전문지식, 호스피스 실무수행 능력,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강한 사명감과 열정, 다양한 교육방법 및 매체활용능력, 교육자료 개발 능력, 호스피스 연구 능력, 자기관리능력 모두 그 중요도 평가결과를 준거로 볼 때 교육방법 및 매체활용능력을 제외한 모든 영역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교육자교육의 내용으로 제안된 총 9가지 영역, 즉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주제별 핵심정리, 사례중심교육방법의 원리 및 실습, 소그룹토론교육방법의 원리 및 실습, 역할극을 활용한 교육방법의 원리 및 실습, 쌍방향식 강의법을 활용한 교육방법의 원리 및 실습, 교육대상자 이해를 위한 교육학적 원리이해, 교육자료개발방법, 교육매체 활용방법, 교육평가법 모두 그 중요도를 볼 때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높은 요구도는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를 위한 자격기준을 설정과 역량 및 교육내용기준 설정이 매우 필요함을 밝혀주는 것이다. 이러한 요구도를 기반으로 향후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B. 연구문제 = 4
  • Ⅱ. 이론적 배경 = 5
  • A. 의학교육 교육자 교육 = 6
  • B.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 = 9
  • C.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 = 20
  • D.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 프로그램개발의 준거설정 = 34
  • Ⅲ. 연구 방법 = 38
  • A. 연구대상 = 38
  • B. 조사도구 = 39
  • C. 자료분석 = 40
  • Ⅳ. 연구결과 = 41
  • A.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교육현황 = 41
  • B.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자격기준 = 51
  • C.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의 역량 및 지식 = 64
  • D.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요구도 = 66
  • Ⅴ. 요약 및 결론 = 68
  • A. 논의 = 68
  • B. 결론 = 75
  • C. 제언 = 76
  • 참고문헌 = 78
  • 부록 = 82
  • 부록1: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 교육 요구도조사 설문지 = 82
  • 부록2:교육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 분석표 = 89
  • 부록3:교육자가 갖추어야 할 지식 분석표 = 91
  • 부록4:교육자 교육내용 요구도 분석표 = 93
  • Abstract = 9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52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연명치료 중단관련 특성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노인환자의 태도 / 정승윤, 이해정, 이성화 2014  163
25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있어서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연구 / 이석배, 이원상 2010  163
250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사결정의 속성-생전유언을 중심으로 / 김신미 2010  162
249 20 죽음과 죽어감 가정 호스피스 활동에서의 본당 공동체의 역할 / 이종경 2002  162
248 20 죽음과 죽어감 핀란드 자살예방프로젝트에 대한 평가와 함의 / 티모파르토넨 2018  162
»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연구 / 강진아 2010  161
246 20 죽음과 죽어감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 신진영 외 2017  161
245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기준과 사상과 양심의 자유 / 유호종 2007  160
244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법에 대한 법·제도적 연구 / 선은애 2016  160
243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기관 종사자의 호스피스 인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조정숙 2018  160
242 20 죽음과 죽어감 치매 노인 사망 장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임은옥 2016  160
241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 관련 법안에 대한 검토 / 김종일 2016  159
240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후기 말기 암 환자의 정서적·영적 돌봄을 위한 의미요법 CD 프로그램 개발 /강경아 외 2009  158
239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만성심장질환자의 좋은죽음에 대한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 황연희 2017  156
238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 이금주 2017  156
237 20 죽음과 죽어감 장애인 환자의 연명의료결정 시 자기결정권 존중과 의사결정 조력 / 유수정,박소연 2017  156
23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생사학적 비판 / 오진탁 2017  156
235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현황 및 종사자들의 인식 조사 / 조현 2017  154
234 20 죽음과 죽어감 일명 ‘웰다잉법’(존엄사법)의 시행에 따른 형사정책적 과제 / 박미숙, 강태경, 김현철 2016  153
233 20 죽음과 죽어감 미성년자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소고 / 엄주희 2018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