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928574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연구

                               

  • 저자

    강진아                                       

  • 형태사항

    ix, 97 p.

  • 일반주기

    지도교수: 황규호
    참고문헌: p. 78-8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2010. 2. 졸업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0

초록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을 담당할 교육자들에게 요구되는 자격기준, 역량기준을 도출하고 교육자 교육의 내용을 제안하고자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 교육�...
  • 본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을 담당할 교육자들에게 요구되는 자격기준, 역량기준을 도출하고 교육자 교육의 내용을 제안하고자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 교육에 대한 요구조사를 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첫째,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과 국외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 교육 분석, 국내 임상간호사 교육자 교육관련 연구 검토를 통해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의 역량기준 및 교육내용 기준을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총 98명을 대상으로 교육현황, 교육자가 갖출 역량, 지식, 교육자 교육의 필요성, 교육 내용에 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역량 및 지식과 교육내용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들은 60시간 이상의 교육을 받지 못한 자가 20%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호스피스·완화의료 실무에 필요한 충분한 지식과 기술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인식하는 사람이 많았다.
    둘째,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육자들은 대부분 강의법과 같은 일방향적인 교수방법을 주로 활용하고 있어서 교육방법의 개선을 위한 교육이 요구됨을 보여주었다.
    셋째,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를 위한 자격기준 설정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인 자격기준으로는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성직자 모두 임상경력이 최소 5년 이상, 학력기준으로는 석사이상이 요구됨을 나타내주었다.
    넷째,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에게 요구되는 역량 준거로서 설정한 8가지 역량, 즉 교육대상자에 대한 이해, 호스피스 전문지식, 호스피스 실무수행 능력,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강한 사명감과 열정, 다양한 교육방법 및 매체활용능력, 교육자료 개발 능력, 호스피스 연구 능력, 자기관리능력 모두 그 중요도 평가결과를 준거로 볼 때 교육방법 및 매체활용능력을 제외한 모든 영역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교육자교육의 내용으로 제안된 총 9가지 영역, 즉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주제별 핵심정리, 사례중심교육방법의 원리 및 실습, 소그룹토론교육방법의 원리 및 실습, 역할극을 활용한 교육방법의 원리 및 실습, 쌍방향식 강의법을 활용한 교육방법의 원리 및 실습, 교육대상자 이해를 위한 교육학적 원리이해, 교육자료개발방법, 교육매체 활용방법, 교육평가법 모두 그 중요도를 볼 때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높은 요구도는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를 위한 자격기준을 설정과 역량 및 교육내용기준 설정이 매우 필요함을 밝혀주는 것이다. 이러한 요구도를 기반으로 향후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B. 연구문제 = 4
  • Ⅱ. 이론적 배경 = 5
  • A. 의학교육 교육자 교육 = 6
  • B.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 = 9
  • C.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 = 20
  • D.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 프로그램개발의 준거설정 = 34
  • Ⅲ. 연구 방법 = 38
  • A. 연구대상 = 38
  • B. 조사도구 = 39
  • C. 자료분석 = 40
  • Ⅳ. 연구결과 = 41
  • A.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교육현황 = 41
  • B.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자격기준 = 51
  • C.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의 역량 및 지식 = 64
  • D.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요구도 = 66
  • Ⅴ. 요약 및 결론 = 68
  • A. 논의 = 68
  • B. 결론 = 75
  • C. 제언 = 76
  • 참고문헌 = 78
  • 부록 = 82
  • 부록1: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 교육 요구도조사 설문지 = 82
  • 부록2:교육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 분석표 = 89
  • 부록3:교육자가 갖추어야 할 지식 분석표 = 91
  • 부록4:교육자 교육내용 요구도 분석표 = 93
  • Abstract = 9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5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제정 배경과 법률 내용 / 백수진 2018  238
35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존엄사 - 목회상담을 위한 메타윤리적 연구 / 홍순원 2016  235
350 20 죽음과 죽어감 혈액투석 환자의 스트레스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죽음에 대한 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정송자 2018  235
349 20 죽음과 죽어감 품위 있는 죽음과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태도 / 윤영호 2004  232
348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과 호스피스 정책; 생활행정학의 관점/조무성 2015  231
347 20 죽음과 죽어감 장애인 가족 돌봄부담의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 연구 / 이민경 2018  231
34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죽음불안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명희 2008  230
34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제정과정과 문제점 검토 / 이한주 2019  230
344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계 종사자들의 ‘웰다잉’에 대한 태도 / 이종식 2016  229
343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들의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의향과 불안과의 상관관계 / 고지운 2013  229
342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존엄사, 연명의료 중단, 그리고 장애인 / 조한진 2016  229
341 20 죽음과 죽어감 우리 사회에서 중환자의 사전돌봄계획의 현황과 연명의료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박소영 2018  229
340 20 죽음과 죽어감 <‘김 할머니’사건> 전후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및 의료비의 변화 / 김현지 2018  228
339 20 죽음과 죽어감 과학기술의 발전과 연명치료중단의 법제 / 김재경, 양승우 2012  227
33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형법적 고찰/문정희 2006  227
337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사회의 우울증과 자살예방을 위한 동태분석 연구: 청소년층을 중심으로 / 김정기 외 2017  227
336 20 죽음과 죽어감 일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 주보호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 최성실 2016  225
335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에 대한 책임과 자기결정권 / 정재우 2014  224
334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화 사회에서 근로세대와 은퇴세대간의 보건의료 혜택과 부담의 정의로운 분배 / 박상혁 2014  223
33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국민인식과 그 시사점/최영순 외 2015  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