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757571 
말기 암 환자의 완화적 진정제 투여에 대한 가족의 태도 : 투여 전과 투여 후 비교를 중심으로

                             

  • 기타서명

    (The) Attitude of Family Members about Sedative Injection for Relief to Terminal Cancer Patients : Centered in Cases before and after Injection Comparison

  • 저자

    조문애, 김달숙                                       

  • 형태사항

    III, 51 p.; 26 cm.

  • 일반주기

    충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金達淑
    참고문헌 : p. 36-4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충남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간호학(전문간호학-호스피스) 전공 2012. 2

  • DDC

    610.73 22

  • 발행국

    대전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2

  • 초록 (Abstract)
    •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attitude of family members about sedative before/after taking sedative. The objective of study is family members of patient in the end of cancer who are considered sedative-injection required from over two doctors for unc...
    •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attitude of family members about sedative before/after taking sedative.
      The objective of study is family members of patient in the end of cancer who are considered sedative-injection required from over two doctors for uncontrolled symptom. After hearing explanations about sedative for relief and receiving agreement with consent form, 27
      caregivers were sampled out of main caregivers.
      Data were collected by triangulation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To acquire quantitative data, 5 pairs of adjectives of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by Jang, Donghwan (1964) which were composed
      of four areas such as appraising factor, potency factor, active factor, and metal factor were used. Five pairs were composed of the followings; two pairs (baddy-good, defective-OK) in appraising factor, One pair(helpless-competent) in potency factor, one pair in active factor(risky-stable), and one pair(distressed-comfortable) in mental factor. The higher scores out of 10cm mean positive response. The lower scores mean negative response out of 10cm points.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by open question, ‘How do you feel now’?
      Quantitative data used paired t-test by inputting each point into data processing system. Qualitative data used computer program for morpheme analysis based on web by Gang, Namjun.
      In adjective analysis which is quantitative data, 4.82 cm ± 1.83 were figures before injecting sedative. It increased to 6.53cm ± 1.17 after injection.
      In morpheme analysis, before injecting sedative ‘pain’, ‘anxiety’,‘difficult’, ‘afraid’, ‘dreadful’, ‘sense of guilt’, ‘repulsion’, ‘tight feeling’,‘uncomfortable’, ‘faulty’, and ‘restlessness’ morphemes appeared.
      After injecting sedative, morphemes such as ‘comfortable’, ‘stable’,‘good’, ‘relief’, ‘relax’, ‘pain’, ‘restlessness’, ‘peace’, and ‘regrettable’appeared.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3
    • 3. 용어 정의 4
    • Ⅱ. 문헌고찰 6
    • 1. 임종기 말기 암 환자와 가족의 고통 6
    • 2. 완화적 진정제 사용 11
    • 3. 완화적 진정제 사용에 대한 가족의 태도 14
    • Ⅲ. 연구 방법 16
    • 1. 연구설계 16
    •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16
    • 3. 연구도구 17
    • 4. 자료분석 19
    • 5. 연구의 제한점 19
    • 6. 윤리적측면 20
    • Ⅳ. 연구 결과 22
    •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2
    • 2. 진정제 투여 전과 후에 대한 가족의 태도 25
    • Ⅴ. 논의 28
    • Ⅵ. 결론 및 제언 33
    • 1. 결론 33
    • 2. 제언 35
    • 참고문헌 36
    • 영문초록 42
    • 부록. 동의서 및 설문지 4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32 20 죽음과 죽어감 결정무능력환자와 자기결정권 / 이석배 2010  223
    331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위험노인 동년배상담가의 상담경험에 관한 연구 / 박종원 2018  223
    330 20 죽음과 죽어감 무연고자의 연명의료결정: 제도적 관점에서 / 김보배 외 2018  223
    329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을 위한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 / 박은철 2019  223
    32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형법적 고찰 / 박재민 2010  221
    327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과 자의적인 안락사 2006  221
    32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있어 환자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권세희 2009  218
    325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대한 임상 의사들의 경험 연구 / 신영태 2010  218
    324 20 죽음과 죽어감 2014년 보건복지부 지정 54개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내 음악치료 현황 / 김은정 2016  218
    32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와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에 관한 검토/원혜욱,백경희 2017  216
    32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 간호사의 섬망 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및 간호수행도의 관계 /장보정 외 2018  214
    321 20 죽음과 죽어감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상징적 자살의 윤리학 / 조소명 2018  214
    320 20 죽음과 죽어감 중국 연변지역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말기환자에 대한 생명의료윤리인식 및 호스피스 인식 / 이춘란 2014  212
    31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의 정당성 근거와 조건 / 유호종 2002  212
    31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논의와 「연명의료 중단 법률」의 주요쟁점에 대한 소고 / 이승호 2016  212
    317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죽음태도 및 영향요인 / 김종근 외 2016  211
    316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법의 새로운 과제 ; 죽음관련 법제의 현안 과제에 관한 일고찰 / 이인영 2016  211
    315 20 죽음과 죽어감 암환자와 가족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 하유리 2016  211
    314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병동 성인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다학제적 통증 관리에서의 약사의 역할 : 통증 관리와 진통제 사용 적절성 / 금민정 2015  211
    313 20 죽음과 죽어감 DNR 결정 환자에 대한 간호사의 간호활동 변화 / 이지윤,장재인 2017  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