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法學論叢(Chosun law journal)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365289 
존엄사에 대한 입법론적 고찰
= A Legislative Study on the Death with Dignity

                                  

  • 저자명

    조규범(Cho, Kyu-Beom)                                                                           

  • 학술지명

    法學論叢(Chosun law journal)                          

  • 권호사항

    Vol.17 No.1 [2010]                                                           

  • 발행처

    朝鮮大學校 法學硏究所                                    

  • 발행처 URL

    http://www.chosun.ac.kr/law/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17-247(31쪽)

  • 언어

    -

  • 발행년도

    2010년

초록 (Abstract)

  • 존엄사의 개념은 논자의 입장에 따라 유사 개념인 ‘치료중단’, ‘의사조력자살’ 등과 혼재되면서, 종래의 개념인 안락사의 일반적 분류유형과 정확하게 합치하지 못하고 그 의미도 변함...
  • 존엄사의 개념은 논자의 입장에 따라 유사 개념인 ‘치료중단’, ‘의사조력자살’ 등과 혼재되면서, 종래의 개념인 안락사의 일반적 분류유형과 정확하게 합치하지 못하고 그 의미도 변함에 따라 유형화 및 입법적 대책 마련의 어려 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그러나 안락사 또는 존엄사 개념의 모호성에도 불구하고 존엄사의 인정을 위한 법절차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말기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최대한 존중하고 그가 선택할 수 있는 최고의 존엄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중단”하는 측면으로만 논의의 범위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현행 형법에 따르면 촉탁 또는 승낙을 받아 사람을 자연적 사기(死期)에 앞서 사망에 이르게 한 자는 촉탁.승낙살인죄로 처벌받게 되지만, 형법학계 에서는 안락사라는 개념을 통하여 일정한 요건하의 치료중단행위는 위법성이 조각되는 행위로 파악되고 있다. 그러나 형법학계에서 주장하는 요건을 충족하는 안락사는 실제 의료현장에서는 별반 활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는 안락사가 논리적으로 모호하기 때문에 ‘존엄사’ 혹은‘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전면적 금지보다는 합리적인 기준을 마련할 필요성이 제기되며, 존엄사 입법을 위하여는 다음의 사항들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회복불능상태의 환자’ 또는 ‘말기상태의 환자’의 판정은 그 근거가 될 수 있는 의학적 판단의 기준을 명확한 절차와 함께 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치료중단의 허용여부를 둘러싼 논의도 중요하지만, 허용한다면 어떠한 기준과 요건 및 절차 하에 치료중단을 인정할 것인가를 판단하기 위한 심의기구의 설치 및 그 기구의 책무 및 지원 사항에 대하여도 구체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의식불능의 환자의 의사를 대행하기 위한 대리인의 동의권에 대한 법적 근거의 마련이 필요하고, 말기환자가 아니더라도 의식불능이 될 경우를 대비하여 의사표시의 기회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넷째, 무의미한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에도 ‘치료중지의 범위’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이 필요하며, ‘뇌사판정기준’, ‘명확한 회복불능의 판정기준’,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판정기준’ 등을 먼저 확립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존엄사 허용 이전에 치료중단의 관행을 제도적으로 인정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며,치료목적보다도 ‘삶을 마감하는 과정’을 도와주는 호스피스에 대한 제도화 방안도 존엄사 입법과 더불어 검토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설
  • Ⅱ. 존엄사의 개념과 입법의 필요성
  • Ⅲ. 안락사에 대한 찬반론과 법적 쟁점
  • Ⅳ. 존엄사 관련 법안과 그 주요내용 고찰
  • Ⅴ. 존엄사법의 입법방향과 향후 과제
  • Ⅵ. 결 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32 20 죽음과 죽어감 결정무능력환자와 자기결정권 / 이석배 2010  223
331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위험노인 동년배상담가의 상담경험에 관한 연구 / 박종원 2018  223
330 20 죽음과 죽어감 무연고자의 연명의료결정: 제도적 관점에서 / 김보배 외 2018  223
329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을 위한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 / 박은철 2019  223
32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형법적 고찰 / 박재민 2010  221
327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과 자의적인 안락사 2006  221
32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있어 환자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권세희 2009  218
325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대한 임상 의사들의 경험 연구 / 신영태 2010  218
324 20 죽음과 죽어감 2014년 보건복지부 지정 54개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내 음악치료 현황 / 김은정 2016  218
32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와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에 관한 검토/원혜욱,백경희 2017  216
32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 간호사의 섬망 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및 간호수행도의 관계 /장보정 외 2018  214
321 20 죽음과 죽어감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상징적 자살의 윤리학 / 조소명 2018  214
320 20 죽음과 죽어감 중국 연변지역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말기환자에 대한 생명의료윤리인식 및 호스피스 인식 / 이춘란 2014  212
31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의 정당성 근거와 조건 / 유호종 2002  212
31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논의와 「연명의료 중단 법률」의 주요쟁점에 대한 소고 / 이승호 2016  212
317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죽음태도 및 영향요인 / 김종근 외 2016  211
316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법의 새로운 과제 ; 죽음관련 법제의 현안 과제에 관한 일고찰 / 이인영 2016  211
315 20 죽음과 죽어감 암환자와 가족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 하유리 2016  211
314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병동 성인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다학제적 통증 관리에서의 약사의 역할 : 통증 관리와 진통제 사용 적절성 / 금민정 2015  211
313 20 죽음과 죽어감 DNR 결정 환자에 대한 간호사의 간호활동 변화 / 이지윤,장재인 2017  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