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신학과 실천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123686 
안락사와 존엄사 - 목회상담을 위한 메타윤리적 연구 -


http://www.riss.kr/link?id=A102123686  


  • 저자명

    홍순원                                         

  • 학술지명

    신학과 실천               

  • 권호사항

    Vol.51 No.- [2016]                                                       

  • 발행처

    한국실천신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439-460(22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초록 (Abstract)
    • 안락사 논의의 근본적인 동기는 견디기 힘든 고통의 상황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환자의 자율적 결단을 존중하려는 데 있다. 환자의 자율성과 고통으로부터의 해방은 우리가 인정하지 않을...
    • 안락사 논의의 근본적인 동기는 견디기 힘든 고통의 상황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환자의 자율적 결단을 존중하려는 데 있다. 환자의 자율성과 고통으로부터의 해방은 우리가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중요한 가치들이다. 고통의 제거와 환자의 자율성이 죽음을 선택하는 상황과 그 상황 속에서 의사의 의료행위에 적용될 경우 사람들의 태도는 나누어진다. 엄밀히 말하자면 환자의 결단을 놓고 정당성과 부당성을 논한다는 것 자체가 외람된 것일 수 있다. 생명의 존엄성관 관련하여 안락사를 반대한다면 우리는 또한 동일한 근거를 가지고 안락사를 찬성해야 한다. 안락사에 대한 논의가 좀처럼 합치점에 도달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환자의 자율성과 극심한 고통이 동시에 수용되어야 할 뿐 아니라 그것들의 경계가 모호하기 때문이다. 안락사의 사례에서는 객관적 규범 대신에 환자와 의사의 주관적 판단이 결정적 역할을 하며 환자와 의사 사이의 개인적 관계가 전제된다. 안락사에 대한 일반적인 찬부양론은 너무 광범위하고 불명료하게 설정된 것이다. 기독교적 관점에서 죽음은 인간에 대한 하나님의 주권을 암시한다. 그것은 개체적이며 생물학적 현상이 아니라 인격적이며 관계적인 사건이다. 죽음을 선택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끝까지 죽음을 거부하는 것도 생명에 대한 하나님의 주권에 대립될 수 있다. 인간 생명이 하나님으로부터 부여받은 것이라면 인간은 자신의 생명에 대한 청지기이며 그것의 마감도 인간이 좌우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자의적 간접적, 수동적 안락사의 길을 열어놓는 것이다. 환자 자신의 결단으로 죽음을 수용하는 것은 어떤 의미에서는 기독교적일 수 있다. 그것은 생명에 대한 하나님의 주권을 인식하고 응답하는 것이 된다. 이제 안락사에 대한 앞으로의 논의방향은 통전적인 의미에서 “생명마감돌봄”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안락사의 개념규정에 있어서 모호성
    • III. 안락사의 근거설정에 있어서 모호성
    • IV. 노아의 질서의 표징으로서 안락사
    • V. 미끄러운 경사면 논쟁의 이중적 함의
    • VI. 안락사의 기독교적 수용방향
    • VII. 나가는 말: 존엄사의 기독교 생사학적 지평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5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제정 배경과 법률 내용 / 백수진 2018  238
    »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존엄사 - 목회상담을 위한 메타윤리적 연구 / 홍순원 2016  235
    350 20 죽음과 죽어감 혈액투석 환자의 스트레스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죽음에 대한 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정송자 2018  234
    349 20 죽음과 죽어감 품위 있는 죽음과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태도 / 윤영호 2004  232
    348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과 호스피스 정책; 생활행정학의 관점/조무성 2015  231
    347 20 죽음과 죽어감 장애인 가족 돌봄부담의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 연구 / 이민경 2018  231
    34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죽음불안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명희 2008  230
    34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제정과정과 문제점 검토 / 이한주 2019  230
    344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계 종사자들의 ‘웰다잉’에 대한 태도 / 이종식 2016  229
    343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들의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의향과 불안과의 상관관계 / 고지운 2013  229
    342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존엄사, 연명의료 중단, 그리고 장애인 / 조한진 2016  229
    341 20 죽음과 죽어감 우리 사회에서 중환자의 사전돌봄계획의 현황과 연명의료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박소영 2018  229
    340 20 죽음과 죽어감 <‘김 할머니’사건> 전후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및 의료비의 변화 / 김현지 2018  228
    339 20 죽음과 죽어감 과학기술의 발전과 연명치료중단의 법제 / 김재경, 양승우 2012  227
    33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형법적 고찰/문정희 2006  227
    337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사회의 우울증과 자살예방을 위한 동태분석 연구: 청소년층을 중심으로 / 김정기 외 2017  227
    336 20 죽음과 죽어감 일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 주보호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 최성실 2016  225
    335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에 대한 책임과 자기결정권 / 정재우 2014  224
    334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화 사회에서 근로세대와 은퇴세대간의 보건의료 혜택과 부담의 정의로운 분배 / 박상혁 2014  223
    333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위험노인 동년배상담가의 상담경험에 관한 연구 / 박종원 2018  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