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176657 
지역사회 노인들의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의향과 불안과의 상관관계
= Correlations between Intention to use Advance Directives and Death Anxiety i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http://www.riss.kr/link?id=A100176657   

  • 저자명

    고지운                           

  • 학술지명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권호사항

    Vol.8 No.2 [2013]                

  • 발행처

    한국농촌간호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65-73(9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3년

초록 (Abstract)

  • 의학지식과 생명연장 의료기술의 발달은 죽음의 본질 의 변화를 가져왔다. 더 이상 '순간'이 아닌, 죽음은 연속 적인 과정이 되었으며 이 과정은 무기한으로 늘어났다“ (Schwarz, 1992, p. 92). 사...
  • 의학지식과 생명연장 의료기술의 발달은 죽음의 본질 의 변화를 가져왔다. 더 이상 '순간'이 아닌, 죽음은 연속 적인 과정이 되었으며 이 과정은 무기한으로 늘어났다“ (Schwarz, 1992, p. 92). 사전의료의향서(Advanced Directives: AD)에 대한 관 심은 온정주의에 치우친 임종기 치료의 지속과 결정 능 력을 상실한 환자를 원하지 않는 무의미한 삶의 연장을 위한 치료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모색에서 시작되었다(Chan, 2004). AD는 대상자 스스로가 본인의 임종기 에 이루어지는 의료행위의 지속여부 혹은 방향에 대하여 의사결정 능력이 있을 때 원하는 바를 결정하여 문서화한 것으로 생전유언 혹은 대리인 지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김신미, 홍영선, 김현숙, 2010; 박재원, 송준아, 2013). 우리사회에서 AD에 대한 관심은 1997년 보라매 병원 사건을 계기로 치료적 결정권에 대한 관심의 증가 와 함께 2000년대에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2009년 세 브란스병원의 김할머니 사건에 대하여 대법원이 자기결 정권의 행사를 인정함으로써 AD에 대한 집중적인 논의 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김신미, 홍영선, 김현숙, 2010; 홍선우, 김신미, 2013). AD 작성에 대하여 사전의료의향 서 쓰기운동을 진행하거나 병원별 문서작성 또는 AD관 련 법안이 상정되기는 하였으나(박재원와 송준아, 2013; 허대석, 2009) 아직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표준서식이나 관련 제도는 미흡하다(김신미, 홍선우, 은영, 고수진, 2012).


  •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II. 연구방법
    • III. 연구결과
    • IV. 논의
    • V. 결론
    • 참 고 문 헌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5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제정 배경과 법률 내용 / 백수진 2018  238
    35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존엄사 - 목회상담을 위한 메타윤리적 연구 / 홍순원 2016  235
    350 20 죽음과 죽어감 혈액투석 환자의 스트레스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죽음에 대한 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정송자 2018  234
    349 20 죽음과 죽어감 품위 있는 죽음과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태도 / 윤영호 2004  232
    348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과 호스피스 정책; 생활행정학의 관점/조무성 2015  231
    347 20 죽음과 죽어감 장애인 가족 돌봄부담의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 연구 / 이민경 2018  231
    34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죽음불안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명희 2008  230
    34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제정과정과 문제점 검토 / 이한주 2019  230
    344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계 종사자들의 ‘웰다잉’에 대한 태도 / 이종식 2016  229
    »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들의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의향과 불안과의 상관관계 / 고지운 2013  229
    342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존엄사, 연명의료 중단, 그리고 장애인 / 조한진 2016  229
    341 20 죽음과 죽어감 우리 사회에서 중환자의 사전돌봄계획의 현황과 연명의료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박소영 2018  229
    340 20 죽음과 죽어감 <‘김 할머니’사건> 전후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및 의료비의 변화 / 김현지 2018  228
    339 20 죽음과 죽어감 과학기술의 발전과 연명치료중단의 법제 / 김재경, 양승우 2012  227
    33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형법적 고찰/문정희 2006  227
    337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사회의 우울증과 자살예방을 위한 동태분석 연구: 청소년층을 중심으로 / 김정기 외 2017  227
    336 20 죽음과 죽어감 일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 주보호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 최성실 2016  225
    335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에 대한 책임과 자기결정권 / 정재우 2014  224
    334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화 사회에서 근로세대와 은퇴세대간의 보건의료 혜택과 부담의 정의로운 분배 / 박상혁 2014  223
    333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위험노인 동년배상담가의 상담경험에 관한 연구 / 박종원 2018  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