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66364 
일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 주보호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http://www.riss.kr/link?id=T14066364  

     

  • 기타서명

    Knowledge and attitudes of residents' primary guardian in a long term care home regarding advance directives

  • 저자

    최성실                                       

  • 형태사항

    75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참고문헌 수록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6. 2

  • DDC

    610.73 2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초록 (Abstract)

  • 생애 말 삶의 질과 죽음의 질을 높이는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필요성과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노인요양시설에서의 사전의료의향서는 국외에서는 필수지침이나 국내에서는 ...
  • 생애 말 삶의 질과 죽음의 질을 높이는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필요성과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노인요양시설에서의 사전의료의향서는 국외에서는 필수지침이나 국내에서는 전무한 실정이다.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은 노환, 치매, 만성질환 등으로 인해 생애 말 의사결정을 하는 것에 있어 취약하며 작성과정에서 가족들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노인은 가족구성원에게 의존적이며,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가족의 태도는 환자의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노인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가족들이 현재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해 가지는 태도는 향후 노인들의 태도와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거주 노인 주부양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및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거주 노인을 가족으로 둔 대상자들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하는 관련요인을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S시의 한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의 가족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일대 일 개별면담을 통해 자료수집을 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3. 용어 정의 5
  • Ⅱ. 문헌고찰 7
  • 1. 사전의료의향서의 의미와 배경 7
  • 2.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10
  • 3. 사전의료의향서 작성과 가족들의 역할 15
  • Ⅲ. 연구방법 20
  • 1. 연구설계 20
  • 2. 연구대상 20
  • 3. 연구도구 21
  • 4. 자료수집방법 22
  • 5. 자료분석방법 23
  • Ⅳ. 연구결과 24
  • 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사전의료의향서에 관한 지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24
  •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사전의료의향서에 관한 지식에 따른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34
  • 3. 대상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7
  • Ⅴ. 논의 41
  • 1. 사전의료의향서에 관한 지식 41
  • 2.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43
  • 3. 대상자들의 특성에 따른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47
  • 4. 연구의 제한점 49
  • Ⅵ. 결론 및 제언 51
  • 1. 결론 51
  • 2. 제언 52
  • Ⅶ. 참고문헌 54
  • 부록 64
  • Abstract 7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12 20 죽음과 죽어감 임상간호사의 심폐소생술금지에 대한 태도와 임종간호수행 / 조정화 2015  205
311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준비교육이 일반인의 연명치료중단 및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 총배령 2015  294
31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의 중단 - 대법원 2009.5.21. 선고 2009다17417 판결과 관련하여 / 석희태 2009  252
309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논의와 내용에 관한 윤리적 고찰 / 이동익 2008  56
308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들의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의향과 불안과의 상관관계 / 고지운 2013  229
307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Advance Directives) 모형 개발을 위한 실증 연구 / 홍성애 2010  145
306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와 사전의료지시서 / 이재경 2008  95
30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와 윤리 : 사전 의료 지시서를 중심으로 / 홍영선 2008  116
304 20 죽음과 죽어감 인지면담을 이용한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 모델 개발 / 김신미 2013  136
303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의 한계 / 오세혁, 정화성 2010  78
302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광고 사전심의제도에 관한 법적 고찰 / 권용진, 임영덕 2011  117
30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병동 말기 암 환자 및 내과의사의 사전의료지시(서)에 대한 인식 2009  321
300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에 대한 역할인식, 간호스트레스 및 태도 / 이수정 2016  349
299 20 죽음과 죽어감 성년후견제도와 사회복지제도의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 박상현 2016  451
298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에게 적용한 사전의료의향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강보람 2016  133
29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제도의 개선 및 활용성 제고 방안 :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 정순태 2016  287
29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말기암 환자를 위한 음악치료 프로토콜 개발 및 효과검증 / 김은정 2016  884
» 20 죽음과 죽어감 일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 주보호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 최성실 2016  225
294 20 죽음과 죽어감 양로시설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정선월 2016  205
293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활성화 방안 연구 / 주지은 2016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