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0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192816 
안락사 문제에 대한 불교적 연구

       

http://www.riss.kr/link?id=T11192816

  • 기타서명

    (A)Buddhist approach to an euthanasia

  • 저자

    김종민                                       

  • 형태사항

    iii, 48장 ; 26 cm.

  • 일반주기

    참고문헌: p. 4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 도덕.육리교육전공 2007

  • KDC

    224.1 4

  • 발행국

    부산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7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안락사에 대한 불교의 입장을 고찰하였다. 안락사 문제에 대한 불교의 입장은 매우 확고하다. 생명 존중의 대원칙을 지향하는 불교의 전통적인 입장에서는 모든 형태의 안락사에 ...
  • 본 연구는 안락사에 대한 불교의 입장을 고찰하였다. 안락사 문제에 대한 불교의 입장은 매우 확고하다. 생명 존중의 대원칙을 지향하는 불교의 전통적인 입장에서는 모든 형태의 안락사에 반대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고, 점차 노령화되어 가고 있는 사회적 추세와 안락사 허용에 관한 논의가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는 지금의 상황은 현실적인 대응 방안을 절실하게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대한 불교적 관점의 제시가 매우 필요한 시기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불교의 생명 윤리 문제에 대한 접근 방법을 인간관, 생명관, 윤리관을 바탕으로 살펴보았고, 경전에 나타난 안락사의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안락사 문제에 대한 불교적 관점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안락사를 반대하는 명확한 불교의 입장을 알 수 있었으며, 반면 자신의 삶과 죽음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자기 결정을 중요시하는 측면과 깨달음을 얻은 사람의 죽음을 통하여 자의적인 안락사의 가능성도 엿볼 수 있었다. 그리고 안락사 반대의 가장 큰 이유인 불살생계에 대한 재해석의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해석 가능성을 바탕으로 하여 현실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안락사 허용에 관한 논의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제는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죽음에 대한 자기 결정권의 존중이 필요하며, 죽음을 결정해야 하는 주변 사람들의 현명하고 신중한 판단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조건의 제시가 필요하다. 이제 안락사 문제는 허용하느냐 반대하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현실적인 상황에 대한 충분한 논의를 바탕으로 한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안락사 결정의 조건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안락사를 결정하는 의사 결정 과정에 대한 불교적 관점의 조건 제시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생명을 존중하는 불교의 대원칙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안락사를 허용할 수 있는 조건에 대한 신중한 검토는 지금의 불교가 제시해야 할 과제일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목적 1
  •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 Ⅱ. 불교의 생명윤리 접근방법 3
  • 1. 불교의 인간관 3
  • 2. 불교의 생명관 5
  • 3. 불교의 윤리관 6
  • Ⅲ. 안락사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규정 9
  • 1. 안락사의 정의와 분류 9
  • 2. 안락사에 대한 제 입장 13
  • Ⅳ. 안락사에 대한 불교적 입장과 대응 원칙 16
  • 1. 안락사에 대한 불교의 입장 16
  • 2. 안락사 문제에 대한 불교적 대응 원칙 28
  • Ⅴ. 결론 44
  • 참고문헌 46
  • Abstract 4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92 20 죽음과 죽어감 농촌노인의 자살시도경험 / 정명희 2017  198
291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박남주 2019  198
29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행위의 중단에 관한 윤리적 고찰(서울서부지방법원 민사 제12부의 2008년 11월 28일 판결을 중심으로)/이동익 2009  195
289 20 죽음과 죽어감 상급종합병원근무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미치는 영향요인 -장기기증·이식의 지식 및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및 인식- / 제남주 외 2018  194
28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말기 암 진실 통고 경험 / 강희정 2016  193
287 20 죽음과 죽어감 일본의 자살예방 대책 / 정진욱 2018  192
286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 호스피스ㆍ완화의료의 정책 / 장윤정 2018  192
285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과실소송에 있어서 환자의 증명책임의 완화에 관한 연구 / 전진용 2010  191
284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대한 한국 중년층의 인식유형과 특성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 신선호 2014  191
283 20 죽음과 죽어감 공법분야 투고논문 : 연명 중단의 고려 시점에 대한 분석 / 김필수 2013  190
282 20 죽음과 죽어감 연구논문(硏究論文) : 무의미한 연명의료의 중단과 존엄사의 제 문제/문성체 2009  188
28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에 대한 노인 환자와 보호자 간 인식 및 태도 비교 / 황혜영 2016  186
280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의 구성 요건: 의료인을 중심으로 2012  185
279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한 노인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용식 2017  185
27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태도 분석 : 전공의와 사법연수생의 비교 / 유종호 2005  184
277 20 죽음과 죽어감 영화를 활용한 웰빙 및 웰다잉교육의 통합적 접근 / 최용성 2016  184
27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가 말기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박주연 2016  183
27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임종돌봄태도, 의사소통능력, 소진이 봉사활동 지속성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이인숙 2015  183
274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의 합법화 / 김선택 2018  183
273 20 죽음과 죽어감 중국 농촌의 자살 현상에 관한 의료인류학적 분석 / 이현정 2013  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