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 수사과학대학원 2016. 8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184840 


의료계 종사자들의 ‘웰다잉’에 대한 태도 

= The Attitude of Workers in The Medical Field Concerning About 'Well-Dying'



- 저자 : 이종식

- 형태사항 : i,37p. ; 26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이상한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 수사과학대학원 2016. 8

- 발행국 : 대구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6

- 주제어 : 의료 종사자, 웰다잉

- 소장기관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 초록 :


의료계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웰다잉에 대한 태도를 고찰하고자 대구, 경북, 울산 지역의 종합병원 의료계종사자

1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은 죽음에 대한 태도, 죽음 준비, 웰다잉, 노후 준비, 일반적 특성 등 

총 5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남성(43.2%), 여성(56.8%)이었다. 나이는 30대(34.2%), 

40대(27.9%), 20대(22.6%), 50대(14.2%)의 순이었다. 학력은 대부분 대졸자(77.9%)였다. 종교는 불교(25.5%),

개신교(19.7%), 가톨릭((18.6%)의 순이었다. 결혼 상태는 기혼자가 60.0%로 과반수 이상 이었다. 

직종 분포는 의료인이 57.4%로서 비의료인(42.6%)보다 많았다. 죽음에 대한 태도, 

죽음준비는 중간 값에 근사한 결과치가 나와서 ‘보통’ 정도의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웰다잉에 대한 분석에서는 3.53의 평균값이 산출되어, 5점 척도에서 보통(3.0)을 0.53정도 상회하는 반응이 나타났다. 

특히 친밀감에 대한 반응이 높았고, 통제감과 임상증상의 순이었다. 노후준비에 대한 반응도 평균값 3.62로서

높은 수준이었다. 죽음에 대한 태도와 노후준비는 종교인 집단과 나이와 학력이 높고 많을수록 적극적이었으며, 

기혼자와 건강상태가 좋은 집단,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긍정적인 반응이 높아 노후준비에 더 많이 신경을 쓰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로 죽음에 대한 인식은 일반인과 의료계종사자들이 큰 차이가 없었고, 

웰다잉과 죽음준비에 대한 부분은 평균보다 높아서 죽음과 자주 접하는 직업군이기에 죽음 준비에 대한 

인식도가 높았다. 앞으로 국가적인 차원에서 죽음에 대한 준비 교육프로그램들의 활성화와 호스피스 완화에 대한 

홍보와 교육 등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목차 


서 론 1

연구방법 3

결과 6

고찰 24

요약 28

참고문헌 29

Abstract 31

부록 3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92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박남주 2019  198
291 20 죽음과 죽어감 농촌노인의 자살시도경험 / 정명희 2017  197
29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행위의 중단에 관한 윤리적 고찰(서울서부지방법원 민사 제12부의 2008년 11월 28일 판결을 중심으로)/이동익 2009  195
289 20 죽음과 죽어감 상급종합병원근무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미치는 영향요인 -장기기증·이식의 지식 및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및 인식- / 제남주 외 2018  194
28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말기 암 진실 통고 경험 / 강희정 2016  193
287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 호스피스ㆍ완화의료의 정책 / 장윤정 2018  192
286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과실소송에 있어서 환자의 증명책임의 완화에 관한 연구 / 전진용 2010  191
285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대한 한국 중년층의 인식유형과 특성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 신선호 2014  191
284 20 죽음과 죽어감 일본의 자살예방 대책 / 정진욱 2018  191
283 20 죽음과 죽어감 공법분야 투고논문 : 연명 중단의 고려 시점에 대한 분석 / 김필수 2013  190
282 20 죽음과 죽어감 연구논문(硏究論文) : 무의미한 연명의료의 중단과 존엄사의 제 문제/문성체 2009  188
28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에 대한 노인 환자와 보호자 간 인식 및 태도 비교 / 황혜영 2016  186
280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의 구성 요건: 의료인을 중심으로 2012  185
279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한 노인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용식 2017  185
27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태도 분석 : 전공의와 사법연수생의 비교 / 유종호 2005  184
277 20 죽음과 죽어감 영화를 활용한 웰빙 및 웰다잉교육의 통합적 접근 / 최용성 2016  184
27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가 말기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박주연 2016  183
27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임종돌봄태도, 의사소통능력, 소진이 봉사활동 지속성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이인숙 2015  183
274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의 합법화 / 김선택 2018  183
273 20 죽음과 죽어감 중국 농촌의 자살 현상에 관한 의료인류학적 분석 / 이현정 2013  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