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 간호학과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46518 

말기환자와 가족이 경험한 가정호스피스에 대한 문화기술지



 
저자 김형숙
형태사항 120 ; 26 cm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 간호학과 지역사회간호학 2016. 2
발행국 충청남도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소장기관 순천향대학교 도서관


 
초록
본 연구는 말기환자와 가족의 경험하는 팀 접근 가정호스피스의 문화적 의미를 확인하여 기술, 해석하고 이에 대한 비교문화적 검토를 함으로써 말기환자와 가족의 가정호스피스 경험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고자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중심으로 시도된 문화기술지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4년 2월부터 2015년 9월까지 총 161회의 가정방문을 중심으로 데이케어, 소풍 등에 대한 참여관찰과 말기환자 4명, 가족 6명의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참여관찰은 Spradley의 3단계 관찰 과정을 적용하여 서술관찰, 집중관찰, 선별관찰의 순서대로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radley의 분석단계에 따라 영역분석, 분류분석, 성분분석, 주제 분석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 결과, 확인된 문화적 중심주제는「삶의 조각보 만들며 갈림길로 나아감」이었으며, 「가시덤불 속에서 유일한 출구로 만남」「가족보다 더 가족 같은 길동무와 함께 함」「내 몸 같은 집에서 지냄」의 영역이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1. 말기환자와 가족의 가정호스피스 경험이 지니는 의미 구조의 문화적 중심 주제는「삶의 조각보 만들며 갈림길로 나아감」으로 ‘내게 딱 맞는 도움을 받음’ ‘삶의 조각을 맞추어감’ 의 범주로 구성되었다.
2. 두 번째 문화적 주제는「가시덤불 속에서 유일한 출구로 만남」으로 ‘가시덤불에 던져짐’ ‘뒤늦게 나갈 길을 찾음’의 범주로 구성되었다.
3. 세 번째 문화적 주제는「가족보다 더 가족 같은 길동무와 함께 함」으로 ‘믿고 의지할 수 있음’ ‘언제나 곁에 있음’ ‘다 품어줌’의 범주로 구성되었다.
4. 네 번째 문화적 주제는 「내 몸 같은 집에서 지냄」으로 ‘익숙함을 누림’ ‘소중한 나를 지킴’ 의 범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이론적 모형은 「가시덤불 속에서 유일한 출구로 만남」과 「내 몸 같은 집에서 지냄」이라는 제한된 조건을 배경으로「가족보다 더 가족 같은 길동무와 함께 함」을 통해 「삶의 조각보 만들며 갈림길로 나아감」의 과정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몸의 고통에서 벗어남’, ‘심리적 지진을 다스림’, ‘삶의 무게 덜어냄’, ‘지난 세월의 흔적 돌아봄’, ‘순간을 기뻐하고 감사함’, ‘물려받고 나줘 줌’의 경험이 연쇄적, 순차적 혹은 동시적으로 발생하는 구조이다.
연구 결과 가정호스피스 제도가 확립되지 않은 조건에서도 호스피스 원리와 가치를 체득한 가정호스피스 팀의 말기 돌봄으로 참여자들이 가정에서 가족과 함께 생활하며 삶을 마무리하고 준비된 상태에서 편안한 죽음을 맞이하고, 이 과정에 참여한 가족들 또한 영적 성장을 경험하면서 떠난 이의 삶과 죽음에 대한 긍정적 기억을 간직하며 삶을 이어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팀 접근을 통해 가정 및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호스피스 제도가 확립되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1. 말기환자 및 가족을 위한 가정호스피스가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가정호스피스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완화의료 적용대상을 확대하여 대상자가 적절한 시기에 의뢰될 수 있어야 하며 완화의료 필수약제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법제도 개선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 가정호스피스 팀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팀 구성, 서비스 제공시간, 방문빈도 및 주기 등 서비스 제공모델에 대한 이론개발 및 검증이 필요하다.
3. 간호사가 호스피스 팀의 중요한 접촉자로서 말기환자 및 가족을 위해 돌봄을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심리적, 영적 돌봄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이 요구된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제2절 연구 목적

제2장 문헌고찰
제1절 호스피스
제2절 가정호스피스
제3절 질적 연구방법으로서의 문화기술지

제3장 연구 방법 
제1절 사회적 상황
제2절 자료수집 방법
제3절 자료 분석
제4절 연구 결과의 엄밀성 확립을 위한 고려
제5절 연구진행과정에 따른 윤리적 고려

제4장 연구 결과
제1절 연구 참여자 개별적 소개
제2절 가정호스피스 경험의 의미
제3절 가정호스피스 경험의 의미 구조
제4절 가정호스피스 경험의 의미 구조 기술
제5절 가정호스피스 경험에 대한 비교문화적 검토

제5장 가정호스피스 경험에 대한 이론적 모형

제6장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부록1> 연구대상 기관의 가정호스피스 이용자 특성 및 서비스 실태분석 결과 101
<부록2> 연구참여자용 설명서 112
<부록3> 연구참여 동의서 115
<부록4> IRB 심의 승인서 116



주제어
가정호스피스, 말기환자, 문화기술지, 경험, 말기돌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92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 소아청소년을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 / 이경은 2017  386
491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 주 형법상 자살관여행위 규제에 관한 입장과 그 시사점 / 임정호 2014  382
»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환자와 가족이 경험한 가정호스피스에 대한 문화기술지 / 김형숙 2016  382
489 20 죽음과 죽어감 보훈병원에 내원한 국가유공자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 및 윤리적 태도 / 안혜영 2014  380
488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 고귀성과 삶의 존엄성 : 연명의료 제도화를 위한 한 가지 제언 / 강철 2014  380
48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병동 간호사의 죽음불안 및 임종간호태도/김성자 2015  379
48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의 기도 경험 / 박순복,이원희,오경환 2017  379
485 20 죽음과 죽어감 생의 마감에 관한 결정의 법적 측면 : 한국의 경우 / 박준석 2012  378
48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과 사전의사결정에 관한 고찰 / 이금미 2007  378
48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병동 간호사의 부서이동 태도 / 권예원 2016  377
482 20 죽음과 죽어감 DNR에 대한 환자 보호자의 윤리적 인식 및 태도 / 송경옥 2010  376
481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과 자기결정권, 그리고 의사의 진료의무 2008  375
480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연명치료 중단관련 특성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노인환자의 태도 / 정승윤 2014  370
479 20 죽음과 죽어감 우리나라 일부 병원에서 환자, 보호자, 의료진의 연명치료 중지 관련 의사결정에 관한 태도 연구 / 권복규 외 8인 2010  370
478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프랑스의 입법 동향 / 이지은 2015  370
47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법 시행을 앞둔 윤리적 논쟁점과 방향제시 /김광연 2017  369
476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청소년 죽음교육 모형 개발/정재걸 외 2015  365
475 20 죽음과 죽어감 소아청소년 호스피스.완화의료 / 강경아 황애란 2012  365
474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법제화에 관한 최근동향 / 주호노 2013  364
47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환자의 치료중단 특성과 주간호제공자의 경험 / 김정희 2003  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