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 의료관리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20408 

국내병원의 사전의료의향서 및 심폐소생술금지요청서 현황 / 김애리


저자 김애리

형태사항 60 p. : 삽화 ; 26 cm

일반주기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윤태영
             참고문헌 : p. 34-37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 의료관리학과 병원행정전공 2016. 2

DDC 351-E 2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주제어 연명치료, 심폐소생술금지. 사전의료의향서

소장기관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우리 사회는 개인의 알권리를 존중하는 서구의 개인주의 문화와는 사뭇 다른환경으로 말기 환자에게 질병에 대해 정확하게 고지하지 않는 경향이 형성되었다. 또한 가족을 공동운명체로 여기는 유교주의 문화에서 환자의 생명에 관해 환자 본인보다는 보호자인 가족의 결정을 중시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을 두고 동양의 전통 효 사상이 연명치료 거부에 대한 소극적 인식을 유발 시켰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최근 연명치료가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는 가운데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으나 우리나라 의료계에서는 사전의료의향서가 모든 병원에 적용되고 있지 않으며 사전의료의향서는 법적 효력이 없고 연명치료 중단은 현행법상 불법으로 취급되고 있다. 그러나 고령화로 인해 연명치료와 관련된 결정을 하여야만 하는 경우는 늘어나고, 저출산 및 비혼자의 증가로 가족 관계의 단순화가 나타나는 현실에서 연명치료 결정을 위한 제도 구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명치료 결정의 의미와 윤리적 근거를 살펴보고, 사전의료의향서 관련 법제화의 필요성과 도입 및 시행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연명치료 결정의 의미를 탐구하고, 국내 병원의 사전의료의향서 및 심폐소생술금지요청서의 현황을 분석하여 이것에 기반 하여 사전 의료의향서의 필요성을 고찰하며 사전의료의향서 도입 및 법제 관련 국내외 현황 및 그것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한계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1

  • 1. 연구계기 1
  • 2. 연구문제 및 연구목적 4
  • 제2장 이론적 배경 5
  • 1. 연명치료 관련 쟁점 5
  • 2. 연명치료 관련 법제 7
  • 가. 국외 법제 7
  • 나. 국내 법제 11
  • 다. 연명치료 관련 법제 논의 14
  • 제3장 사전의료의향서 윤리적 근거 16
  • 1. 환자 자율성 존중 16
  • 2. 환자 이익(선)의 증진 18
  • 제4장 사전의료의향서 및 심폐소생술금지요청서(DNR)현황 20
  • 1. 사전의료의향서 개념 및 도입배경 20
  • 2. 사전의료의향서 현황 분석 23
  • 3. 국내 심폐소생술 금지요청서(DNR)현황 30
  • 제5장 연구의 의의 및 한계 33
  • 참고문헌 34
  • ABSTRACT 38
  • 부 록 40
  • 부록 1 사전의료의향서 양식 40
  • 부록 2 중환자실 입실 동의서 양식 55
  • 부록 3 심폐소생술 금지 요청서 양식 5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72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와 임종과정에 대한 정의 및 의학적 판단지침 / 이상민, 김수정 외 2018  522
    571 20 죽음과 죽어감 부모의 죽음을 경험한 중년 여성의 글쓰기 체험 : 해석 현상학적 분석 / 박천영 2019  522
    57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보호자들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및 관련인자 / 윤지원 2010  516
    569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포항 지역민의 인식도 / 이상은 2008  515
    568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하게 죽을 권리에 대하여 / 이순성 2013  514
    567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의 안락사 논의와 입법 및 판례의 동향 / 홍석한 2010  514
    566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에 관한 가톨릭 생명윤리의 맥락과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성찰 / 정재우 2013  509
    565 20 죽음과 죽어감 윌리엄 메이(William F. May)의 생명윤리 방법론에 따른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고찰 / 김성용 2012  509
    564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유가족 및 목격자의 자살예방을 위한 최면상담 프로그램 개발 / 박주호 2017  509
    56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의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시기에 대한 분석 : 후향적 코호트 연구 / 안아름 2012  498
    562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우리나라의 최근 동향 / 최지윤, 권복규 2009  492
    561 20 죽음과 죽어감 진행성 암환자에서 완화적 항암치료 중단 시점의 결정에 대한 증례보고와 문헌고찰 / 정윤진, 김도연 2016  488
    560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이동옥 2015  485
    559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시점에서의 임상적 특성: 일개 종합병원 종양내과 사망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 강나영 외 2016  485
    »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병원의 사전의료의향서 및 심폐소생술금지요청서 현황 / 김애리 2016  484
    55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병동 말기 암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김계숙 2016  483
    556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명 종결 결정에 관한 연구 : 입법적 실천 방안을 위한 미국과의 비교법적 모색 / 엄주희 2013  481
    555 20 죽음과 죽어감 미성년자 연명의료 중단에 관한 소고 / 김혁돈, 이재호 2019  480
    554 20 죽음과 죽어감 조력자살과 형법 - 안락사의 일 유형으로서의 조력자살을 중심으로 / 이주희 2011  479
    55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환자 돌봄에 관한 연구 : 환자의 통증과 고통을 중심으로 / 박상현 2015  4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