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사회사상과 문화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566374 

제목 한국 청소년 죽음교육 모형 개발


영문명 The Development of Death Education Model for Korean Youth : Centered on the Comparison with Death Education Model for Japanese Youth
저자 정재걸(Jung, Jae-Geol),이승연(Lee, Sung-Yean),이현지(Lee, Hyun-Ji),백진호(Baek, Jin-Ho)
학술지명 사회사상과 문화(Journal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권호사항 Vol.18No.2[2015]
발행처 동양사회사상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25-35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
주제어 죽음교육,청소년 죽음교육,일본 청소년 죽음교육,도덕교육,death education,death education for youth,death education for youth in Japan,life respect education,moral education




초록

 "1960년대 미국에서 죽음준비교육으로 시작된 죽음교육은 이제 유럽, 아시아 등으로 확산되는 한편, 그 내용에 있어서도 생명존중교육, 자살예방 교육, 또는 죽음을 통한 삶의 성찰이라는 철학적 사유로까지 그 영역이 확대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2000년대에 들어 죽음교육의 필요성에 주목하기 시작했고, 최근에는 노인이나 시한부 환자를 넘어 청소년에게로 죽음교육의 대상이 확대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죽음교육의 구체적인 내용이나 방법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진척되지 않았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에 착안한 것으로 도덕수업과 죽음교육의 접목을 시도하여 학교현장에서 죽음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보고자한 것이다. 만약 죽음교육이 죽음준비교육을 넘어, 생명존중교육, 더 나아가 죽음에 대한 철학적 사유까지 포함한다면 그것이야말로 도덕교육의 중요한 구성요소가 되기 때문이다.
  특히 이 글에서는 일본 죽음교육 사례를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소개하였는데, 이는 일본이 죽음교육을 도덕수업의 주요 테마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선행 사례는 우리 죽음교육, 더 나아가 도덕교육에도 새로운 시사점을 던져 줄 것이라 생각한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언
Ⅱ. 일본 도덕교육과 죽음교육
Ⅲ. 한국 도덕교육과 죽음교육
Ⅳ.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92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 소아청소년을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 / 이경은 2017  386
491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 주 형법상 자살관여행위 규제에 관한 입장과 그 시사점 / 임정호 2014  382
490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환자와 가족이 경험한 가정호스피스에 대한 문화기술지 / 김형숙 2016  382
489 20 죽음과 죽어감 보훈병원에 내원한 국가유공자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 및 윤리적 태도 / 안혜영 2014  380
488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 고귀성과 삶의 존엄성 : 연명의료 제도화를 위한 한 가지 제언 / 강철 2014  380
48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병동 간호사의 죽음불안 및 임종간호태도/김성자 2015  379
48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의 기도 경험 / 박순복,이원희,오경환 2017  379
485 20 죽음과 죽어감 생의 마감에 관한 결정의 법적 측면 : 한국의 경우 / 박준석 2012  378
48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과 사전의사결정에 관한 고찰 / 이금미 2007  378
48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병동 간호사의 부서이동 태도 / 권예원 2016  377
482 20 죽음과 죽어감 DNR에 대한 환자 보호자의 윤리적 인식 및 태도 / 송경옥 2010  376
481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과 자기결정권, 그리고 의사의 진료의무 2008  375
480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연명치료 중단관련 특성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노인환자의 태도 / 정승윤 2014  370
479 20 죽음과 죽어감 우리나라 일부 병원에서 환자, 보호자, 의료진의 연명치료 중지 관련 의사결정에 관한 태도 연구 / 권복규 외 8인 2010  370
478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프랑스의 입법 동향 / 이지은 2015  370
47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법 시행을 앞둔 윤리적 논쟁점과 방향제시 /김광연 2017  369
»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청소년 죽음교육 모형 개발/정재걸 외 2015  365
475 20 죽음과 죽어감 소아청소년 호스피스.완화의료 / 강경아 황애란 2012  365
474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법제화에 관한 최근동향 / 주호노 2013  364
47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환자의 치료중단 특성과 주간호제공자의 경험 / 김정희 2003  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