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561505 

[DBpia:연구원내 무료 열람 가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3권 제3호, 2015.9, 192-219 (28 pages)

저소득 노인의 연명치료 중단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to the Withdrawing of Life Sustaining Treatment among Low Income Elderly
윤명숙, 김준수



  • 발행기관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561505




  •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의료기술발달과 급속한 고령화 사회에서 제기되는 연명치료 관련 논쟁과 존엄한 죽음문제에 주목하고 저소득 노인의 연명치료 중단의사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검증하여, 저소득 노인이 존엄한 죽음을 준비할 수 있도록 정책적ㆍ실천적 대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주, 군산, 익산, 김제, 남원, 고창, 진안 7개 지역 영구임대아파트에 거주 중인 65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 노인 529명을 대상으로 면대면 조사를 하였으며 다중회귀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의 심리적 특성 요인 중 체면의식이 가장 영향력이 높았고, 창피의식성 체면, 사회격식성 체면, 자괴의식성 체면이 높을수록 노인의 연명치료 중단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우울수준이 높을수록 연명치료 중단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정만족도가 낮은 노인의 경우 연명치료 중단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죽음불안이 높을수록 연명치료 지속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노인의 존엄한 죽음 관련 사회적 인식변화를 위한 사회복지기관의 노력과 가정 호스피스 제도의 확대, 사전의료의향서의 작성, 의사결정대리인 제도의 활성화 등 제도적ㆍ실천적 개입방안들을 제안하였다.


    목차

    1. 문제제기
    2. 연명치료 중단 영향 요인 선행연구 고찰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5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의료책임법상의 과제 / 이무송 2010  473
    551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김원정, 강지숙 2015  471
    550 20 죽음과 죽어감 생을 마감할 권리에 관한 헌법적 고찰- 의사조력사를 중심으로/김하열 2016  470
    549 20 죽음과 죽어감 자기의사결정강화프로그램이 노인의 사전의료지시에 미치는 영향 / 정혜영 2014  469
    » 20 죽음과 죽어감 저소득 노인의 연명치료 중단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윤명숙, 김준수 2015  469
    547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 가족 연구 동향 분석 : 1994년부터 2013년 상반기까지 / 차유림 2014  468
    54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도 / 김선현 2001  468
    545 20 죽음과 죽어감 일 종합병원 외래환자와 보호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태도 / 이선화 2014  467
    544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생명의료윤리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영희, 조옥희 2013  466
    543 20 죽음과 죽어감 생전유언의 법리와 제도 연구 / 박동섭 2013  455
    542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 금지(DNR) 결정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조충희 2018  452
    541 20 죽음과 죽어감 성년후견제도와 사회복지제도의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 박상현 2016  451
    540 20 죽음과 죽어감 한계상황으로서의 죽음의식이 삶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 : 야스퍼스 철학을 중심으로 / 홍경자 2013  451
    53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법제화의 한계와 문제점 / 신동일 2014  448
    538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 의료진의 임종 돌봄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 남금희 외 2016  447
    537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제언 / 김현주, 허정식 2013  445
    536 20 죽음과 죽어감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의 전문간호 실무 프로토콜 개발 / 허윤정 2014  444
    535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대한 인식과 태도 : 부정적 감정 수용과 자살 리터러시의 역할에 대한 탐색 2017  442
    53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 도우미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최금희 외 2018  439
    53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관련 국내 간호연구 논문 동향(1998~2017) / 김원순 2019  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