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950266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 A Study on Development of Youth Death Education Program and its Effectiveness



http://www.riss.kr/link?id=T13950266


 - 저자  : 박현정

 - 형태사항  :  264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국환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박사)--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 기독교교육전공(Ph.D) 2016. 2

 - 발행국  : 경기도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6

 - 주제어 :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종교교육, 기독교교육상담, 영적 안녕감, 삶의 의미, 자살생각

 - 소장기관 : 성결대학교 도서관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에게 기독교교육상담적 죽음교육을 통해 자살예방 및 영적 안녕감과 삶의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을 연구하여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데 있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선행연구와 청소년들의 죽음교육에 대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죽음교육에 관한 질문 결과에서 청소년 죽음교육이 매우 부족한 반면에 죽음교육의 필요성과 참여의사는 높게 나왔다. 죽음교육 시기 및 방법에 대한 질문에는 중․고등학교 시절, 학교에서 3~5회기 정도의 수업시간에 강의와 토론의 조화를 이룬 교육방법을 선호하였다.
사후세계의 존재 및 죽음교육의 필요성과 죽음교육 참여여부는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종교가 있는 학생들이 종교가 없는 학생들보다 죽음교육 참여의사와 사후세계 존재에 대해 응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세계에 대해 생각하는 학생들이 죽음교육의 필요성과 죽음교육 참여 의사가 높게 나타났다. 성별과 학력에 따른 죽음태도와 죽음에 대한 불안도는 차이가 없지만,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죽음에 대한 수용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죽음교육의 목적은 삶을 돌아보고 알차게 보내기 위해서, 자살예방과 다가 올 죽음 준비와 죽음 이 후 및 현재 행복을 위해 등 다양한 내용을 배우기 위해서라고 대답했다. 그리고 자살예방과 현재 삶의 의미, 죽음의 의미와 삶의 가치 및 장기 기증, 시신기증 등과 종교에서 다루는 내용도 다루어주길 희망했다.
청소년을 위한 기독교교육상담적 죽음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과정은 기독교교육학자인 로더(James E. Loder. Jr)의 변형이론 다섯 단계에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1회기에서 5회기까지 구성하였다. 교육방법은 기독교 사립학교에서 종교수업 시간에 교육상담방법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 한 설문자료를 SPSS 22.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및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죽음 태도는 요인(성별, 학력, 종교)간의 차이를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사후분석은 Duncan방법을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방법은 죽음교육 프로그램 실시 전 · 후 검사지(영적 안녕감, 삶의 의미, 자살생각)를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하여 효과성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한 후에 성별과 학력에 차이 없이 동일하게 영적 안녕감과 삶의 의미가 유의미하게 높아졌고, 자살생각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에게 죽음교육이 필요하다는 것과 청소년의 자살문제를 죽음교육을 통해 예방할 수 있고, 삶의 의미와 영적 안녕감을 부여할 수 있다는 긍정적 변화와 기독교교육에서 영적 안녕감에 관한 연구와 함께 이에 관련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청소년 죽음교육의 중 · 장기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질적 연구에 대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주제어 :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종교교육, 기독교교육상담, 영적 안녕감, 삶의 의미, 자살생각



[목차]


목차 1

  • 국문초록 9

  • Ⅰ. 서론 1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1

  • 2. 선행연구 15

  • 3. 연구방법 19

  • 4. 연구문제 20

  • 5. 용어의 정의 21

  • Ⅱ. 청소년 죽음교육에 관한 이론적 배경 25

  • 1. 죽음에 대한 일반적 이해 25

  • 1) 의학적 죽음 27

  • 2) 철학적 죽음 32

  • 3) 심리적 죽음 36

  • 4) 종교적 죽음 40

  • 2. 죽음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 46

  • 1) 죽음에 대한 성서적 관점 46

  • 2) 죽음에 대한 신학적 관점 57

  • 3. 청소년 죽음교육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이해 68

  • 1) 죽음교육과 청소년 68

  • 2) 죽음교육에 대한 종교교육적 접근 77

  • 3) 죽음교육에 대한 기독교교육상담적 접근 86

  • 4.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이해 91

  • 1)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문헌연구 91

  • 2)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현황연구 113

  • Ⅲ.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 123

  • 1.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 절차 123

  • 1) ADDIE 모형을 통한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 절차 123

  • 2)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128

  • 2.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156

  • 1) 교육 목적 및 목표 157

  • 2) 교육 내용 157

  • 3) 교수-학습 과정 및 방법 159

  • 4) 평가 164

  • 5) 프로그램 교육과정 개발 165

  • Ⅳ.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의 적용과 결과 180

  • 1. 연구방법 180

  • 1) 연구대상 180

  • 2) 연구도구 181

  • 3) 연구절차 184

  • 4) 자료처리 및 분석 186

  • 2. 연구결과 및 해석 187

  • 1)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이 영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187

  • 2)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191

  • 3)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효과 195

  • 4)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죽음교육 프로그램 효과 199

  • 5) 청소년의 학력에 따른 죽음교육 프로그램 효과 202

  • 6)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결과 205

  • Ⅴ. 결 론 212

  • 1. 요약 및 결론 212

  • 2. 연구의 적용 및 의의 218

  • 3.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225

  • 참고문헌 227

  • 부록 237

  • ABSTRACT 25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3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관련 판례 분석 / 박송이 2018  154
    23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인간다운 죽음은 실현될 수 있는가? /이은영 2018  154
    230 20 죽음과 죽어감 미성년자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소고 / 엄주희 2018  153
    22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팀의 호스피스 및 연명의료결정참여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 한수연 2019  153
    228 20 죽음과 죽어감 [논고] 이른바 '죽을 권리'는 '죽일 권리'인가/윤성혜 2016  152
    227 20 죽음과 죽어감 종합병원 간호사의 연명의료 결정과 관련요인 / 최유남 2016  152
    226 20 죽음과 죽어감 군보건의료인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과 교육요구도 / 장호영 2016  152
    225 20 죽음과 죽어감 자연스런 죽음을 맞이할 권리 확보 방안 고찰 :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법률 개정(안) / 이병철 2017  152
    224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Advanced Directive /이영규 2017  152
    223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 시범사업 일당정액제 도입이 재원일수 및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완화의료전문기관을 중심으로 / 신지연 2013  151
    222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대한 입법론적 고찰 / 조규범 2010  150
    221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임종기치료 선호도 영향요인 – 죽음준비도, 죽음불안을 중심으로 / 김애리 2019  150
    220 20 죽음과 죽어감 영국 Specialist Palliative Care (SPC)가 우리나라 호스피스완화의료에 주는 시사점 / 태윤희 2016  149
    219 20 죽음과 죽어감 소위 연명의료결정법의 법적 쟁점 및 과제 -환자중심의료를 중심으로- / 이무선 2018  149
    218 20 죽음과 죽어감 재발성 혹은 전이성 암 환자에서 의사에 의해 제안된 연명의료계획서(POLST)의 작성률과 환자들의 연명의료에 관한 전반적 태도 연구 2019  149
    217 20 죽음과 죽어감 중국 농촌 여성의 자살은 과연 저항인가: 서구 저항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자살행위에 관한 인류학적 사례분석 / 이현정 2010  148
    21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노쇠환자의 삶의 질을 고려한 적정의료에 대한 연구 / 김도경 2013  148
    215 20 죽음과 죽어감 사례 중심으로 풀어보는 연명의료 / 이명아 2017  147
    214 20 죽음과 죽어감 비교법연구(比較法硏究) : 안락사에 관한 국제법 및 비교법적 고찰 / 장복희 2011  147
    21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환자의 가족보호자가 지각하는 미충족 요구와 돌봄 부담감 / 이지현 2016  146